미국

한진해운, 세계 물류대란 ‘줄소송’ 우려

by 뉴스로_USA posted Sep 05,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韓정부 “손놓고 있다 사태 키워” 비난

 

뉴스로=임지환기자 newsroh@gmail.com

 

 

한진해운 사태로 인한 전 세계 물류대란(物類大亂)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안이한 대응으로 사태를 키웠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한진해운 소속 선박들이 항만 접안(接岸)을 거부당하면서 해상에 계류하고 있다. 화물을 압류당하는 사례도 빈발하고 해운동맹(CKYHE)에서도 퇴출신세에 직면했다.

 

3일 현재 한진해운의 선박은 세계 28개 항만에서 53척이 오도가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주에게 압류되거나 입출항, 통항 거부로 묶인 화물은 한진해운이 보유한 120만 TEU 140억 달러어치 중 41만 TEU의 막대한 물량이다.

 

영국 선주회사인 '조디악'이 이날 한진해운을 상대로 용선료(선박 임대 비용) 청구 소송을 내는 등 화물 지연에 따른 줄소송이 예상되는 가운데 매출 급감, 환적화물 감소, 운임 폭등 등 천문학적인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엄계에서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 따른 물류대란이 예고된 것이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가 한국 정부의 무감각, 무대책, 무능력이 빚은 인재(人災)라고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정부는 4일 '관계부처 합동대책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는 등 긴급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정부는 "화주(貨主)들에 대한 도의적 차원에서 한진그룹이 지급보증 등을 통해 입항 금지 조치 등을 풀라"며 한진그룹을 압박하고 있으나 돈이 없어 법정관리를 피하지 못한 한진그룹에 자금 지원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다.

 

사태가 악화되면서 미 조지아주 사바나 항을 통해 수출입을 하는 조지아와 앨라배마주 소재한 기아차와 현대차 공장들은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물류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에서 사바나항으로 오는데 25일이 걸리는데 현대·기아차의 화물을 받을 수 없게 되어 큰 일이다”라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한진해운은 물동량 기준으로 일일 2만5000여 개에 달하는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7번째로 큰 규모이다.

 

월스트리스저널에 따르면 조지아와 뉴욕, 캘리포니아 항구들은 한진해운 선박을 통해 수출 예정이던 컨테이너들을 다시 화주에게 돌려보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11월 넷째주 추수감사절과 블랙프라이데이, 크리스마스와 연말까지 이어지는 등 연중 최대의 세일시즌을 앞두고 물량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수출입 업체들은 “성수기여서 대체 해운사를 찾기가 어렵지만 여유 선박을 찾는다해도 납기일을 맞출 수 없어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울상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한진해운이 무너지면 대한민국 해운업이 망가지는 것으로 국가 신인도가 큰 타격을 입는다. 정부가 보증을 서든지, 재원을 투입해서라도 물류를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비상 대책을 주문했다.

 

 

 

8600_TEU_Class_HANJIN_LONG_BEACH.jpg

<사진=한진해운 웹사이트>

 

 

 


Articles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