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 특파원 리포트]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 12월 26일과 27일 이틀 간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 방문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기사입력  2017/01/04 [11:15]
 
【Orlando(U.S.A)=Break News GW】
2016년 몽골 캠퍼스 겨울방학을 이용해,  짧은 고국 방문에 나선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취재 차, 미국 방문에 올라, 지난 12월 26일 월요일과 27일 화요일 이틀 간에 걸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를 방문했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숙소인 하얏트 센트릭 키웨스트 리조트 & 스파 (Hyatt Centric Key West Resort & Spa) 정문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로 가는 길은 참으로 멀었다. 자동차로 장장 10시간이 걸리는 대장정이었다. 이 기회를 빌려, 운전대를 잡은, 미국 플로리다 현지의 코리아 위클리 김명곤 대표이사 겸 기자(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정회원)에게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김명곤 기자에 대한 얘기는 다음 기사에 언급하기로 한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묵었던 하얏트 센트릭 키웨스트 리조트 & 스파(Hyatt Centric Key West Resort & Spa) 객실 뒤로 바다 풍경이 시원하게 펼쳐져 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입장하기 직전 집을 둘러싸고 있는 담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주지하다시피, 헤밍웨이는 평생 동안, 4번의 혼인을 거듭하며, 4명의 부인와 같이 살았다.

1. 해들리 리처드슨(Hadley Richardson,1891~1979)=>같이 산 기간(1921~1927)
2.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1895~1951)=>같이 산 기간(1927~1940)
3. 마사 겔혼(Martha Gellhorn,1908~1998)=>같이 산 기간(1940~1945)
4. 메리 웰시(Mary Welsh,1908~1986)=>같이 산 기간(1946~1961)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위 왼쪽부터) 첫 번째 부인 해들리 리처드슨(Hadley Richardson,1891~1979),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1895~1951), (아래 왼쪽부터) 세 번째 부인 마사 겔혼(Martha Gellhorn,1908~1998), 네 번째 부인 메리 웰시(Mary Welsh,1908~1986).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이 네 명의 부인들은 헤밍웨이의 작품들을 태어나게 해 준 보석 같은 존재들이었다. 왜냐. 첫 번째 결혼에서는 <해는 또 다시 떠오른다(The Sun Also Rises, 1926)>, 두 번째 결혼에서는 <무기여 잘 있거라(Farewell to Arms, 1929)>, 세 번째 결혼에서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 1940)>, 네 번째 결혼에서는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1951)>를, 헤밍웨이가 각각 써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자살로 삶을 마감했을지언정, 헤밍웨이로서는 현세에서는 부인을 갈아치울 정도로 참으로 여복이 많았던 셈이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 30대 거주지 현관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거실 벽 1시 방향 사진의 왼쪽에 50대의 헤밍웨이, 오른쪽에 소설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의 주인공 실제 모델인 그레고리오 푸엔테스(Gregorio Fuentes)가 나란히 등장했다. 쿠바 국민인 푸엔테스는 헤밍웨이 낚시 보트의 요리사 겸 친구로서 헤밍웨이와는 막역한 사이였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기자가 방문한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는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1895~1951)와의 삶의 추억이 얽힌 곳이다. 훗날 세 번째 부인 마사 겔혼(Martha Gellhorn,1908~1998)과 함께 쿠바로 건너가면서 이 거주지는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1895~1951)에게 "너 가져라!" 하고 넘겨주었다고 역사는 전한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헤밍웨이와 첫 번째 부인 해들리 리처드슨(Hadley Richardson,1891~1979)의 혼인 예식 사진은 지금으로부터 자그마치 96년 전에 촬영됐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헤밍웨이가 첫 번째부인에게서 얻은 아들 존(John)과 찍은 사진이 벽에 걸려 있다. 이후, 헤밍웨는, 두 번째 부인에게서 패트릭(Patrick)과 그레고리(Gregory) 등 두 아들을 더 얻어, 모두 세 명의 아들들을 남겼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세월무상을 대변해 주는 헤밍웨이의 사진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가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1895~1951)와의 삶의 추억이 얽힌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를 돌아보며, 본 기자는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Farewell to Arms, 1929)>의 영화 장면의 마지막 부분을 떠올렸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벽에 걸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적십자사의 구급차 운전사로 참전한 19세의 헤밍웨이가 짝사랑했던 26세의 적십자사 간호사인 아그네스 폰 쿠롭스키(Agnes Von Kurowski) 사진이 눈길을 끈다. 당시 이탈리아 장교와 사귀고 있던 이 간호사는 헤밍웨이에게 실연의 아픔을 남겼다.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 바로 <무기여 잘 있거라>였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Pauline Pfeiffer)와 공유했던 침실이 포근해 보인다. 헤밍웨는, 이 두 번째 부인에게서 패트릭(Patrick)과 그레고리(Gregory) 등 두 아들을 얻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인 중위 프레더릭 헨리가 난산 끝에 숨을 거두는 영국의 간호사 캐서린 버클리에게 울면서 이렇게 말한다. "Cold, cold! You are so cold, Cat, like a statue!(몸이 차군, 차네! 캐서린, 몸이 아주 차군, 동상(銅像)처럼 말이야!)"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출생 직후 죽어버린 간난아들과 캐서린의 죽음, 죽은 두 모자를 뒤로 하고 병원을 나서 휘청거리며 걸어가던 프레더릭을 보며, "왜 인생은 이렇게 슬프게 끝나는 것인가?"를 안타까워 하던 본 기자의 젊은 날은 이제 가고 없다. 어차피, 소설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로 치닫게 되고, 결국, 인생이라는 것은 그런 희로애락이 담긴 한 편의 소설인 것을!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헤밍웨이가 포획한 청새치를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거실을 둘러본 본 기자는 이번에는 거실 건너편 2층에 있는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을 들렀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 전경.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지금은 바야흐로 컴퓨터 자판 입력 시대임에도, 본 기자는 서재 및 작업실 테이블에 놓여 있는 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에 주목했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 테이블에 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가 눈길을 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에 주목하며 본 기자는 문인로서의 본 기자의 향후 활동을 헤밍웨이가 하늘에서 음우(陰佑)하고 외호(外護)해 주기를 간절히 소망했다.
 
▲헤밍웨이와 타자기.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11시 방향(빨간 원)에 있는 헤밍웨이 타자기를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거실 건너편에 있는 헤밍웨이의 2층 서재 및 작업실을 내려와 뜰로 나서니 대략 50여 마리에 달하는 고양이들로 뜰은 그야말로 고양이판이었다. 이 고양이들은 선천적으로 다지증(Polydactyl) 유전 인자를 가진 6개 발가락의 고양이들로서 헤밍웨이가 키우던 고양이들의 후손이라고 한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다지증(Polydactyl) 유전 인자를 가진 6개 발가락의 고양이를 안고 수영장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와 다지증(Polydactyl) 유전 인자를 가진 6개 발가락의 고양이.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앞에 안았던 고양이하고는 다른 고양이이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이 고양이들은 털 관리는 물론 건강 진단 및 예방 접종 관리를 받고 있어 사람 이상의 대우를 받고 있다고 한다. 뜰 한 켠에는. 고양이 묘지(Cat Cemetery)도 보였는데, 상황이 이쯤 되니, 본 기자는 이 집이 헤밍웨이 거주지인지, 고양이 양성소인지 잠시 분간이 안 될 정도였다. 그야말로, 고양이 팔자 상팔자이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뜰 벤치에 앉은 강외산 교수가 잠시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Farewell to Arms, 1929)>의 영화 장면의 마지막 부분을 떠올리며 생각에 잠겼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를 나선 본 기자는 미국 영토 최남단인 서던 모스트 포인트(Southernmost Point)를 찾아갔다. 이곳에서 90마일(약 145km) 떨어진 곳이 쿠바 영토여서, 날씨가 쾌청한 날엔 쿠바가 가사 거리에 들어오기도 한다고 한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관광객들이 기념 촬영에 여념이 없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미국 영토 최남단인 서던 모스트 포인트(Southernmost Point)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에 나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강외산 교수가  미국 영토 최남단인 서던 모스트 포인트(Southernmost Point) 옆의 바다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에 나섰다. 실상은 이곳이 포토 존보다 몇 미터 쿠바에 더 가깝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에 들른 김에, 할 수만 있으면, 일정을 변경해서라도 쿠바로 넘어가고 싶었으나, 아무런 준비 없이 쿠바 방문을 결행할 수는 없는 법이어서, 아쉽게도 다음 기회로 미루고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본 기자는 미국 영토 최남단인 서던 모스트 포인트(Southernmost Point)를 둘러본 뒤 올랜드 복귀를 서둘렀다. 다시 자동차로 10시간을 달려야 하는 여정이었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키웨스트 거리에는 성조기가 곳곳에 휘날렸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오른쪽에 대서양, 왼쪽에 뉴멕시코만(灣)을 끼고 올랜드 복귀를 위해 달리던 본 기자는, Duck Key Bridge에서 추억 같은 바다 낚시를 했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오른쪽에 펼쳐진 대서양 풍경이 평화롭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본 기자는 Duck Key Bridge에서 추억 같은 바다 낚시를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Duck Key Bridge에서 낚싯줄을 드리우며, <노인과 바다>의 마지막 문장 "The old man was dreaming about the lions. (노인은 사자 꿈을 꾸고 있었다)"를 추억처럼 떠올렸다.

노인은 큰 물고기를 잡았지만 돌아오는 길에 상어떼에게 다 뜯기고 뼈만 남는다. 삶이란 그렇게 허망한 것이거늘, 왜 인간들은 그렇게 아등바등(억지스럽게 우기거나 몹시 애를 쓰는 모양) 사는 것일까?

하지만, 본 기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밍웨이가 언급한, 사자꿈의 실현을 위해 몸부림 치기로 했다. 한 번뿐인 인생을 그저 꿈으로만 끝낼 수는 없는 일 아닌가! 왜냐. 본 기자는 청춘 세대는 아니나, 현재, 노년에는 이르지 못한, 아직 팔팔한 황금의 중년 세대이기 때문이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Duck Key Bridge를 중심으로 오른쪽이 대서양, 왼쪽이 뉴멕시코만(灣)이므로 이 물고기는 대서양 산(産)이다. 본 기자는 아직, 노년에는 이르지 못했을 망정, 청춘 시대를 이미 넘어선 나이이니, 이 사진은 <중년과 바다>라는 제목이 어울리는 표현일 성 싶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올랜드로 오는 중 허기가 졌다. 마이애미를 지나면서, 본 기자는 '가보세'라는 한국 식당에 들러,푸짐한 저녁 식사를 했다. 본 기자의 1박 2일 간의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 방문은 그렇게 무정하게, 봄꿈처럼, 끝장이 나고 있었다.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한편, 본 기자가 키웨스트에 도착하던 날, 12월 26일 저녁, 현지에는 추적추적 비가 내렸음을 굳이 기록으로 남겨 둔다. 태양이 작열하는 뜨거운 날씨를 기대했던 본 기자는, 하얏트 센트릭 키웨스트 리조트 & 스파(Hyatt Centric Key West Resort & Spa)에 여장을 풀자 마자 , 다소 우울한 기분으로,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를 기어이 찾아갔다.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 전경.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에 네온 불이 켜지기 시작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를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에 음악 공연이 한창이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는 이 Sloppy Joe's Bar에서 무슨 생각을 했으며, 무슨 대화를 나눴을까? 가까운 장래에 이곳에 다시 오긴 힘들 것이다!" 본 기자는 그런 생각을 했다.

플로리다 최남단에 온 김에 무대에 나가 춤을 추고 싶었다. 그러지 않으면 두고 두고 후회로 남을 것 같았다. 하지만, 홀 안은 춤을 추는 현지인들로 북적였다. 버드와이저 맥주 한 병을 꼴짝꼴짝 마시면서 홀 안이 다소 진정되기를 기다렸다.

홀 안이 다소 진정되기를 기다리던 본 기자는, 어느 순간, 즉각, 무대 중앙으로 단독으로 진입해, 태권도 품새선을 활용한 댄스 시연에 나섰다. 순간적인 기지(機智)였다고나 할까.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에서 태권도 품새선을 활용한 댄스 시연에 나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기자의 댄스에 대한 현지 반응은 의외로 폭발적이어서, 본 기자도 깜짝 놀랄 정도의 대 히트(Hit)였다. 현지인들에게는 본 기자의 댄싱이 홍콩 액션 배우 재키 첸(Jackie Chan)의 키웨스트 강림(降臨)쯤으로 보였을까? 
 
Sloppy Joe's Bar에서는 퓰리처 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밍웨이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술잔을 들고 본 기자를 맞아 주는 듯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헤밍웨이가 그 자리에 있었더라면, 분명히, "Welcome, Alex! You've come a long way from Mongolia! Bravo! Beer is on me!(환영하네, 알렉스! 몽골에서 먼 길을 왔군! 브라보일세! 내가 맥주 한 잔 살 터이니 때려마시게나!)" 했을 터이다.

홀 안을 발칵 뒤집어 놓은 채, 한창, 댄스에 열중하고 있노라니, 사진 촬영에 응해 달라는 즉석 요청이 들어왔다. 특대(特待=Special treatment)였다. 자못 유쾌해진 본 기자는 의기양양하게 사진 촬영에 기꺼이 응해 주었다.

 
2014052828271485.gif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는 유명한 바인 Sloppy Joe's Bar에서 사진 촬영 요청을 받은 강외산 교수가 미국 국적의 아가씨와 추억 같은 기념 촬영에 나섰다. "Hi, Sweetie! 성은(聖恩)을 입음이 아니더냐!"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혹시나 하고 단단히 긴장하며 대비했던 동네 건달들이 시비를 걸어오는 일은 없었다. 미국 플로리다 키웨스트에서의 첫날밤이 그렇게 깊어가고 있었다.

 
2015122402215842.jpg
▲Reported by Alex E. KANG, who is a Korean Correspondent to Mongolia certified by the MFA(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Mongolia, led by Minister Ts. Munkh-Orgil).     © Alex E. KANG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7/01/04 [11:15]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201401243017305.gif
2014012431167852.gif
2014012430083224.gif
2017010323172484.jpg

 

  • |
  1. SAM_2299.JPG (File Size:55.6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75 몽골 벅드 산 인근 2.5 지진 발생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74 몽골 역외탈세자금 7,490만 달러 몽골로 환수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73 몽골 작년에 투그릭 가치는 8.9% 하락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72 몽골 차기 국회의장으로 Ts.Nyamdorj를 지지하는 것으로 협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71 몽골 Ts.Tsolmon: 국회 목요일에 긴급 회의 소집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70 몽골 국회의장 해임 관련 법 개정안 상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9 몽골 M.Enkhbold 해임 관련하여 화요일에 논의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8 몽골 4만명 가량의 정부 공무원 중 37%만 자산소득을 알고 있다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7 몽골 가공한 연료 사용 시 대기 오염 50% 감소 가능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6 몽골 250백만 + 800백만 달러가 들어올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5 몽골 매달 160억 투그릭을 아파트 대출 지원 하고 있다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4 몽골 차강사르 명절 기간에 5부제 실시 안 해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3 몽골 몽골정부의 330호 결의안 효력정지를 위해 행정법원에 이의 제기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2 몽골 대출 이자, 사회보험료를 내릴 것을 요구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1 몽골 Asgat, Salkhit 광산을 정부가 관리하는 것이 맞다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60 몽골 B.Gankhuyag: Tavantolgoi IPO를 홍콩 증권시장에 상장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59 몽골 국제 여권 발급 규정 변경, 영업 5일 이내에 발급하도록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58 몽골 날라이흐 도로를 11월까지 완공하도록 지시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57 몽골 3.3톤 돼지고기와 313마리 돼지 폐기처분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
1856 몽골 종아일에서 32번로타리까지 도로 건설 5월부터 착공 file 몽골한국신문 19.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