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은 반대 세력의 주목을 받고 있어.jpg

 

몽골 국립대학교 국제관계행정학교 교수 S.Bayasgalan박사와 최근 국제관계 현황에 대해 인터뷰를 요청했다. 
-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몽골 방문에 이어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고위 당국자들이 몽골을 방문할 예정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7일 몽골을 방문할 예정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COVID-19 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아시아 순방 일정을 단축했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이 이번 주에 몽골을 공식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그 방문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대체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초강대국의 최근 적대감은 제2차 냉전의 시작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이른바 민주국가는 한편으로, 러시아와 중국은 두 극으로 나뉘어 여전히 갈등을 빚고 있다. 과거 냉전과 달리 중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해졌다. 이런 맥락에서 독특한 지리적 위치가 있고 냉전 이후 큰 주목을 받지 못한 몽골은 상대적으로 열강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늘날 세계의 관심은 중국에 쏠려 있다. 과거 개발도상국이었던 중국이 너무 강대해져 힘의 균형을 뒤엎고 다른 나라들을 경계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태평양 지역 국가들을 겨냥한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인도양에서 이해관계를 확대하고 입지를 강화하는 중국의 정책도 인도의 고민거리다.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원인 일본, 호주, 인도는 모두 자국의 시각으로 정책을 보기 때문에 직접적인 동맹국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항해 연대 정책을 추진하는 데는 기득권이 있다. 가장 최근에는 독일과 프랑스가 인도-태평양 전략에 동참하고 있다. 중국에 맞서는 세력균형을 맞추기 위해 양국이 뭉친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미국 국무장관의 방문 주요 목적은 민주주의의 의미에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몽골을 통합하는 데 있었다고 생각한다. 
러시아, 중국, 미국, 인도가 철도, 전기, 가스관, 보조금 등을 통해 몽골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중국 측은 '지역과 도로' 구상의 하나로 몽골의 인프라와 경제 투자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은 몽골에 대한 특정 프로젝트, 프로그램, 재정적 지원을 약속할 수 있다. 
- 몽골의 두 이웃은 최근 몇 년 동안 미국과 마찰을 빚어왔다. 이러한 방문들이 몽골의 지정학적 가치를 강대국들이 더욱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인가?
- 그렇다. 일반적으로 인도-태평양 전략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정책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은 몽골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잃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인도-태평양 전략은 중국을 둘러싼 민주주의 국가에서 경제적 영향력을 확립하고자 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COVID-19 전염병 때문에 방문을 주저하지 않고 일본과 몽골, 한국을 방문할 계획이었다. 미국은 이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동맹국인 일본과 한국 두 곳만 방문했지만, 이번에는 몽골 방문도 포함되었다. 
미 국무장관은 이날 4개국·미국·인도·일본·호주 등이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회담을 가진 뒤 몽골로 돌아가는 등 태평양 지역의 핵심 동맹국인 일본과 아시아 순방을 시작했다. 상기 쟁점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목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4개국은 안보와 전략적 협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중국을 견제하는 것도 목표다. 중국은 '지역과 도로' 구상의 일환으로 주변국의 인프라를 구축해 무역과 경제를 자유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미-인도-태평양 전략은 중국의 '지역과 도로' 구상에 반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미국은 어떤 나라도 강대국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으로 단결하고 있으며,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경제 및 중소기업 발전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있다. 
- 그러면 몽골의 외교 분야는 강대국 간의 대립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몽골이 외국 파트너를 외면하지 않고 상호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한가? 
- 몽골은 이웃 간의 균형 유지 정책을 추구한다. 이것은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 냉전 시대 몽골은 소련의 동맹국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조금씩 다르다. 몽골은 3대 강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을 한쪽으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미국이 두 나라에 압박을 가했기 때문에 전략적 우방국이 된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러시아는 중국을 경계하는 것은 국가 간 관계가 궁극적으로 이익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국제관계에서 중국은 더욱 강해지고 불균형해졌다. 
따라서 몽골은 러시아에 갈 것인지, 아니면 제3의 이웃에 의지할 것인지 등, 몽골에 온 강대국들의 이익 균형을 맞추기 위해 더욱 민감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중국, 미국, 러시아와 어떤 분야에서, 어느 정도까지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하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것은 우리가 더 똑똑하고 선견지명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3국 외에도 이들 국가가 시행하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지역과 도로', '유라시아 경제연합' 중 몽골에 이로운 것이 무엇인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물론 러시아, 미국, 중국은 몽골에서 영향력을 얻기 위해 자본과 금융 협정을 제공할 것이다. 사실 지금은 어느 나라의 힘보다 우리 자신의 힘에 의지해야 할 때다. 이를 통해 몽골의 대외 의존도를 어느 정도 줄여야 한다. 
- N.Enkhtaivan 장관의 러시아 방문은 우호 관계에 관한 포괄적 전략협정을 비준하는 것이 중요했다. 유라시아 경제연합 가입 여부도 연구하고 협상하는 과정에 있다. 몽골의 유라시아 경제 연합 가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유라시아경제연합은 러시아의 공간이나 통합이다. 이러한 통합은 부분적으로 중국의 '지역과 도로'에 대항하기 위한 정책이기도 하다. 일부 사람들은 "지역과 도로" 정책은 단지 인프라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본질에서 이 정책은 교통과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른 나라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중국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중국의 수출을 촉진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운송비를 늘려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반면 러시아는 유라시아 경제연합의 독자적인 버전을 갖고 있다. 
- 위의 방문 중 어떤 것을 강조할 것인가?
-N.Enkhtaivan 장관의 러시아 방문을 강조하고 싶다. 몽골의 추가 발전과 관련된 많은 중요한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철도, 에너지 등의 문제가 논의되었다. 앞서 몽골을 거쳐 가스관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부분적으로 폐쇄됐다. 이 경우 공급자와 고객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몽골을 통과하는 가스관은 지리적으로 중요하다. 개인적으로 러시아가 러시아, 중국과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고 있다. 최악의 경우 기껏해야 러시아와 몽골을 통제해 우리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몽골은 여전히 가스 수입국이다. 몽골을 주시하기 위한 러시아로부터의 세 가지 주요 지렛대는 에너지, 가스관, 철도다. 
[news.mn 2020.10.05.]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59 기타 응괴성 여드름  제거 법 라이프프라자 23.02.20.
11958 캄보디아 훈센 총리, 시진핑 주석 접견…"양국 협력관계 증진"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7 캄보디아 최초의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캄보디아인 생도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6 캄보디아 훈마넷, 국제학교에 크메르어 수업 촉구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5 캄보디아 “깜뽓-껩 소금”, 지리적 표시(GI) 4월부터 출시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4 캄보디아 툭툭이 타고 있던 2살 아기, 트럭 추돌 사고로 숨져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3 캄보디아 캄보디아-라오스 국경 연결 사업 추진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2 캄보디아 캄보디아, “발렌타인데이는 ‘모두’와 마음을 나누는 날”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1 캄보디아 아세안 리더십 자유무역 신뢰도 23.5% 달성, 미국·유럽보다 앞서 뉴스브리핑캄.. 23.02.16.
11950 캄보디아 “민생회복에 집중”… 촛불당, 총선 5대 공약 발표 뉴스브리핑캄.. 23.02.15.
11949 캄보디아 캄보디아산 바닐라, 1년 후 첫 수확 기대 뉴스브리핑캄.. 23.02.15.
11948 캄보디아 캄보디아, 튀르키예 구호 활동 원조 뉴스브리핑캄.. 23.02.15.
11947 캄보디아 훈센 총리, 삼랑시 지지자들의 안전한 입국을 보장 뉴스브리핑캄.. 23.02.15.
11946 캄보디아 외교부, 꽁꼬암 전 촛불당 고문에 대해 소송 취하 뉴스브리핑캄.. 23.02.10.
11945 캄보디아 바탐방,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후보지 뉴스브리핑캄.. 23.02.10.
11944 캄보디아 롱춘, 촛불당 국회의원 출마 선언 뉴스브리핑캄.. 23.02.07.
11943 캄보디아 캄보디아 은메달리스트, 중국 최대 규모 킥복싱 대회 첫 출전 뉴스브리핑캄.. 23.02.07.
11942 캄보디아 미국상공회의소, 2년 만에 두 배 규모로 커져 뉴스브리핑캄.. 23.02.07.
11941 캄보디아 아지노모토 기업, 제32회 동남아시아경기대회와 제12회 아세안 장애인 올림픽 공식 스폰서 체결 뉴스브리핑캄.. 23.02.07.
11940 캄보디아 캄보디아, 오토바이 운전자 안전모 미착용 심각 뉴스브리핑캄.. 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