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윤성학교수, 스푸트닉 인터뷰

 

뉴스로=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문재인 정부가 원자력발전소를 점차 없애나가는 탈원전 정책을 공언(公言)하면서 부족한 전력공급을 러시아 전기로 해결하자는 제안이 제기돼 관심을 끈다.

 

고려대 러시아CIS연구소 윤성학 교수는 22일 ‘스푸트니크'와의 인터뷰에서 "부족한 전기를 한국에서 생산하려고 하지말고 발전자원이 풍부해 전기 값이 싼 러시아에서 사와서 쓰면 경제적, 환경적, 외교안보적, 정치적, 미래적으로 모두 유리하다"고 밝혔다.

 

 

러시아전기쓰자.bmp.jpg

 

 

'극동러시아는 발전원가가 공짜인 수력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러시아 수력발전소는 수요 부족으로 가동률(稼動率)이 상당히 낮다. 게다가 러시아는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 대국으로, 시베리아와 사할린에서 생산된 가스는 수천 킬로미터 가스관을 따라 블라디보스톡으로 집결, 가스발전소를 돌려 전기를 만든다.

 

윤 교수는 "액화와 기화가 필요한 액화천연가스(LNG)와는 달리 파이프라인천연가스(Pipeline Natural Gas, PNG) 는 그대로 연료 사용이 가능하고, 한국 가스발전소보다 비용이 훨씬 적게 먹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또 "러시아가 북한에 공급하려는 전력공급가격은 1kWh 당 0.05달러(57원)인 반면 한국 발전소가 한전에 공급하는 가격은 87원"이라며 "러시아의 전력 요금도 한국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덧붙였다.

 

윤교수는 한국에서 가스발전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지만 세계최대 천연가스 대국인 카타르 사태 등 지정학적 문제가 발생하면 가격이 폭등, 발전단가에 돌이킬 수 없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참에 한국이 가스발전과 수력발전으로 생산된 러시아 전기를 수입, 경제와 환경은 물론 외교안보적와 국내정치, 미래 등 5마리의 투끼를 모두 잡자는 것이다.

 

윤 교수는 한국이 러시아 전기를 사오는 방법을 2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북한을 통해 전기를 받는 방식이다. 북한이 전력선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계약서에 "전력선으로 제공 받는 전력 중 일부를 북한에 공급해준다"는 조항을 계약서에 반영하면 사전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윤 교수는 "북한이 러시아-한국간 전선을 차단하면 자신들도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도록 설계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방법이 어렵다면, 이미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로 공급하고 있는 해저 전선을 이용한 고압직류송전(HVDC)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윤 교수는 "육상 송전보다 설치 비용이 몇 배나 비싸다는 난점이 있긴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 하는 경기부양책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면서 "HVDC의 장점으로 충분히 메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기를 HVDC 방식으로 쓴다는 것은 단순히 단기 경제성 개선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물인터넷과 스마트그리드 등이 일상화 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실적인 전제조건(前提條件)이 된다.

 

윤 교수는 "러시아 전기가 한국에 들어오려면 일단 송전선이 교류가 아닌 직류가 돼야 한다"면서 "직류 송전은 2000km 이내에서 전력 손실율이 제로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또 "직류 송전은 양방향 송전이 가능하고 전력과 정보를 결합, 스마트그리드의 길을 열어준다"면서 "게다가 고주파도 발생하지 않고 전선 지중화에도 용이하다"고 덧붙였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미국의 셰일가스 특수전략과 한국전력의 저항이 변수”

 

물론 걸림돌은 있다. 대외적으로는 셰일가스 특수를 노리는 미국이 한러의 거래를 수수방관(袖手傍觀)할 리 만무하고, 전력수급 및 가격통제권 상실을 우려한 한국전력의 저항도 예상되기때문이다.

 

윤성학 교수는 그러나 "친환경적 에너지구상을 밝힌 문재인 정부가 성공하려면, 우선 시장논리를 거스르는 전력수급정책의 부당성이 폭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문재인 정부가 남북러 경협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과 동아시아평화, 동북아그리드를 통한 지역평화협력구상을 구체화하려는 큰 그림을 제시하면 국내(정치)는 물론 주변국들도 크게 호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유럽이 오랜 분쟁과 대립을 딛고 하나의 정치경제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석탄과 철강 산업을 공유하면서 부터"라면서 "손정의 회장이 몽골의 태양광 전기를 사서 쓰려는 것은 유럽연합(EU)의 이런 업적을 동북아슈퍼그리드로 다시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 |
  1. 러시아전기쓰자.bmp.jpg (File Size:63.2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2 러시아 ‘북한, 미국 기만 증거 없어’ 러 전문가 file 뉴스로_USA 19.02.14.
731 러시아 “동해명칭 모든 연안국가 고려해야” 러전문가 뉴스로_USA 19.02.12.
730 러시아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두개의 시각’ file 뉴스로_USA 19.02.10.
729 러시아 ‘핵전쟁위협은 현재진행형’ 러 일간지 뉴스로_USA 19.02.08.
728 러시아 “국가예산으로 조선소 지원하는 러시아 정부” 뉴스로_USA 19.02.08.
727 러시아 ‘미국은 러시아와의 미사일협정을 파기할까?’ 뉴스로_USA 19.02.08.
726 러시아 “러시아-중국이 긴밀하다고?” 뉴스로_USA 19.02.04.
725 러시아 “북한에 비핵화 대가로 원전건설 제안 터무니없어” 주북한 러시아대사, file 뉴스로_USA 19.02.04.
724 러시아 “러일전쟁시 독도도 공격대상” 러통신 file 뉴스로_USA 19.02.02.
723 러시아 ’절망한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러언론 file 뉴스로_USA 19.02.01.
722 러시아 “미국의 新MD전략 세계 안정에 도전” 러통신 file 뉴스로_USA 19.01.29.
721 러시아 “美, 北의 러시아판 사드 기술 구입 비난 의도” file 뉴스로_USA 19.01.23.
720 러시아 러시아, 북한과 ‘수형자 이송조약 비준법안’ 뉴스로_USA 19.01.10.
719 러시아 ‘북미정상회담 2018년 10대 국제뉴스 2위’ 러언론 선정 뉴스로_USA 19.01.08.
718 러시아 “미국, 핵전쟁 준비하나?” 러 전문가 뉴스로_USA 19.01.02.
717 러시아 러시아, ‘세계 분쟁위협’ 경고 뉴스로_USA 18.12.31.
716 러시아 “UN안보리 北건설적 조치에 호응해야” 러외교장관 뉴스로_USA 18.12.31.
715 러시아 러-중 ‘동방동맹’, 미국 어떻게 대처할까 뉴스로_USA 18.12.20.
714 러시아 ‘트럼프의 침묵과 우크라이나사태’ file 뉴스로_USA 18.12.07.
713 러시아 러 대주교, 北 김위원장에 러시아 정교회 선물 전달 file 뉴스로_USA 1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