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 Canada Twitter

캐나다 통계청이 26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퀘벡주에서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이민자 비율이 몇 년 동안 계속 감소했다.

 

가장 최근 인구조사 수치에 따르면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해당 지역에 정착한 신규 이민자 중 이들의 비율은 75.8%로 이는 지난 인구조사에서 이루어진 신규 이민자와 같은 조건에서 약 5% 하락한 수치이다.

 

이전 인구조사에서 해당 비율은 각각 80.7%(2016년), 80.8%(2011년), 77.7%(2006년)이었다.

 

캐나다 통계청 인구통계센터의 에릭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인터뷰에서 해당 비율에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신규 이민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프랑스어나 영어가 아닌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실은 퀘벡주 뿐만 아니라 캐나다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는데 최근 이민자의 69.4%가 또 다른 모국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응답자의 60% 이상이 집에서 정기적으로 하나 또는 다른 공용어를 같이 사용한다고 답했다. 특히 프랑스어를 집에서 주기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4.5%에 불과했다.

 

또한 그는 퀘벡주에서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쓰는 비율도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2016년에는 60.5%에서 2021년 인구조사에서는 54.5%만이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했다. 해당 비율은 2011년에는 58.8%, 2006년에는 54.2%였다.

 

퀘벡주에서 영어만을 공식 언어로 사용한 비율은 25.5%였으며 14.7%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사용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캐나다 통계청은 해당 자료를 발표하면서 “대부분 이민자는 영어나 프랑스어를 알고 있거나 잘 구사할 수 있다고 해도 사적 영역보다는 공공 영역에서만 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언급하며, 직장 내에서 쓰이는 언어에 대한 자료가 11월에 발표되면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tatistics Canada Twitter

또한 신규 이민자(영주권자 혹은 캐나다 시민권자)가 캐나다 인구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연방 역사상 가장 높은 비율이며, 이는 G7 국가 중 가장 높은 이민자 비율을 나타내기도 한다.

 

정부 기관은 이에 최근 입국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이민자라고 지적했으며, 캐나다 통계청은 신규 이민자들이 주와 준주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메울 수 있다고 추정했다.

 

반면, 캐나다 통계청은 캐나다 통계청은 몬트리올이 2021년에 더 적은 비율로 이민자를 받았다고 밝혔으며(이전 인구조사 연도인 12.2%), 이는 캐나다 3대 도심 중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또한 오타와와 가티노 지역과 같은 주요 도심 외곽에 이전보다 더 많은 새로운 사람들이 정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최근 이민자들이 캐나다 농촌 지역에 정착한 비율은 전체의 3.2%에 불과했다.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입국한 신규 이민자의 60% 이상이 아시아에서 왔으며, 가장 많은 신규 이민자가 온 국가는 인도이며, 필리핀이 2위를 차지했다. 필리핀은 저번 인구조사에서 해당 부분 1위를 차지했었다.

 

캐나다 통계청의 엘렌 마외(Hélène Maheux) 수석 분석가는 퀘벡주만이 이와 다르게 프랑스, 알제리, 시리아 등 아프리카 국가에서 태어난 이민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다고 언급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새로운 이민자 중 3분의 1 이상이 영주권 취득 전에 임시직 근로자, 유학생 등 다른 이유로 캐나다에 이미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이러한 이민 배경이 장단기적으로 프랑스어와 영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fxmC_CXwAMg2Yo-min-696x696.jpg (File Size:65.0KB/Download:2)
  2. Ff_1CZgXkAQE27W-min-2048x2048.jpg (File Size:308.9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08 캐나다 급등한 기준금리, 실생활에 어떤 파급효과가 이어질까 밴쿠버중앙일.. 23.02.03.
5707 캐나다 과연 캐나다 복지 선진국답게 청렴한 국가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2.01.
5706 캐나다 IMF, 올해 세계 2.9%, 캐나다 1.5% 경제성장률 전망 밴쿠버중앙일.. 23.02.01.
5705 캐나다 밴쿠버영사관, 재외공관 국유화 사업 후순위에 밀려 file 밴쿠버중앙일.. 23.01.31.
5704 캐나다 31일부터 BC 마약 소지 한시적으로 비범죄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1.31.
5703 캐나다 캐나다, 한국 승용차 주요 수출 대상국 2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1.31.
5702 캐나다 포레스텔라, 밴쿠버 한인에게 BTS 그 이상 - LA보다 2배 많은 관객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8.
5701 캐나다 밴쿠버 빈 렌트주택 비율은 급감, 렌트비는 고공행진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8.
5700 캐나다 병원 치료는 공짜보다 비싸야 만족도 높아 밴쿠버중앙일.. 23.01.28.
5699 캐나다 기준금리 새해 또 0.25%p 인상돼 4.5% -대출 이자 부담 1년 새 16배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7.
5698 캐나다 제일 과대 평가된 캐나다 관광 도시는?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7.
5697 캐나다 BC 한인사회, 설날 밥상을 '차려줘도 못 먹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7.
5696 캐나다 한인 주거비 고통 캐나다 모든 민족 중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4.
5695 캐나다 BC주에도 드리워진 최강 전파력 'XBB.1.5'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0.
5694 캐나다 코퀴틀람RCMP 1월 곳곳에서 교통집중 단속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0.
5693 캐나다 한인 높은 학력 불구 좋은 직장, 높은 임금 받기 힘들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1.20.
5692 캐나다 BC정부 "건축 허가 빠르고 신속하게"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9.
5691 캐나다 12월 소비자 물가지수 전년대비 6.3%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9.
5690 캐나다 이런 직원 잘못 채용했다가는 수 만 달러 손해 본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9.
5689 캐나다 한인사회 캐나다 이민사회 속 발언권 점차 위축 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