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7Wzq5bHa_9eeb87b63e0d12b0

연방통계청의 유색인종별 핵심거주빈곤 인구 비율 도표

 

서아시아인 19.5%에 이어 18.7%로 높아

캐나다 전체 7.7%, 유색인 11.3%와 비교

 

캐나다 한인들이 그 어느 민족에 비해서도 소득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왔다. 특히 밴쿠버에 이민을 온 경우라면 최악인 것이다.

 

연방통계청이 2021년 인구센서스를 기초로 내놓은 핵심거주빈곤(core housing need) 분석자료에서 한인들이 서아시아인 다음으로 안 좋은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거주빈곤이란 세전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것과 같이 주거비 적절성(adequacy), 여유도(affordability), 또는 적합성 3가지 지표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즉 하우스 푸어나 주거비 푸어를 의미한다.

 

2021년 기준 캐나다 전체로 핵심주거빈곤 인구는 7.7%, 그리고 유색인종은 11.3%이다. 각 소수민족별로 볼 때 서아시아인은 19.5%, 한인은 18.7%로 절대적인 1,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아랍인이 14.9%, 흑인이 13.2%, 중국인이 12.9%, 라틴아메리카인 12.4%, 동남아시아인이 10.1%, 일본인이 9.4%, 그리고 남아시아인이 9.1%였다. 필리핀인이 5.1%로 유색인종뿐만 아니라 캐나다 평균보다도 낮았다.

 

2016년도에도 한인은 27.4%로 서아시아인의 30.8%에 이어 2번째로 높았다. 이때 캐나다 전체로 10.6%, 그리고 유색인종이 17.8%였다. 5년 사이에 전체적으로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렇게 핵심거주빈곤인구가 감소한 이유로 연방통계청은 코로나19로 정부 보조금이 나오면서 상대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는 기현상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 근거로 2016년에 풀타임 노동자 중 가장 낮은 평균 소득이나 주급을 받던 민족이 바로 서아시아인, 한인, 그리고 흑인이었다는 점을 들었다. 

 

또 같은 유색인종 중에서도 이민을 온 경우가 캐나다에서 태어난 경우(보다 더 핵심거주빈곤층이 될 가능성이 11.4% 대 9.8%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2021년에 캐나다 전체로 자가 비율은 71.9%인 반면 유색인종은 64.7%였다. 한인은 63.9%로 중국인 84.5%, 동남아시아인 71.9%, 남아시아인 70.3%, 일본인 69.8%, 필리핀인 65.2%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서아시아인(57.8%), 라틴아메리카인(48.6%), 아랍인(48%), 그리고 흑인(45.2%)은 한인보다 낮았다.

 

각 대도시별로 핵심거주빈곤 소수민족 비율을 보면 핼리팍스가 16.1%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밴쿠버가 14.9%로 2번째로 높았다. 이어 온타리오주의 오타와-가티뉴 14.3%, 토론토 14.2%, 퀘벡주의 오타와-가티누가 12.9%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55 캐나다 퀘벡주, 장기 기증 관련 법안 변경 예정 file Hancatimes 23.05.13.
5854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19일부터 파업 시작 file Hancatimes 23.05.13.
5853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불법 택시 문제로 인한 안전 우려 file Hancatimes 23.05.13.
5852 캐나다 퀘벡주 의료 개혁 법안, 의료 전문가들의 불만 쏟아져 file Hancatimes 23.05.13.
5851 캐나다 일부 지자체 및 자치구, 정전 피해 주민을 위한 전자기기 충전 서비스 및 대피처 오픈 file Hancatimes 23.05.13.
5850 캐나다 하이드로 퀘벡, 24시간 안에 1/3이상 가구 다시 복구 예상 file Hancatimes 23.05.13.
5849 캐나다 퀘벡 주, 16세 이하 청소년은 일주일에 최대 17시간까지 일 할 수 도록 제한 file Hancatimes 23.05.13.
5848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퀘벡 주 예산안에 실망 file Hancatimes 23.05.13.
5847 캐나다 BC주 삶의 만족도 상대적으로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6 캐나다 세계적 플루리스트 최나경 밴쿠버서 VMO와 협연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5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한 마약 밀매 조직 대규모 소탕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4 캐나다 세계 청소년도 함께 즐기는 한국 전통예술 한마당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3 캐나다 캐나다 신생아 이름 중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2 캐나다 지금 BC주민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주택, 의료, 범죄 순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1 캐나다 4월 고용증가 모두 파트타임 취업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40 캐나다 BC주정부, "필요인력 교육에 지원 아끼지 않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39 캐나다 밴쿠버 비 내리지만, BC 내륙 사상최고 기온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38 캐나다 밴쿠버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오페라 공연 김우경 교수 출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5837 캐나다 코로나19 정부지원금 환수 관련 불만 있다면 주목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5836 캐나다 BC주로 총기 밀수하다 걸려 30개월 징역형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