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에 한국어 포함 총 인구는 10만 9705명

중국어, 일어, 러시아어 주사용자도 소수 존재

언어로만 진정한 한인 추산하는데 어려워

 

 

캐나다의 인구센서스가 조사 기간 중 캐나다에 (단기여행 제외)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전수 조사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이지만 그 결과가 정확히 한인 수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특히 한국 공관이나 각 지역 한인사회가 파악하고 있는 한인 숫자와도 너무 큰 차이가 나 이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도 필요하다.

 

연방통계청이 2016년도 인구센서스 조사를 기준으로 2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모국어 중에 한국어가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 총 수는 10만 9705명이다. 이중 단일 응답자는 총 10만 8420명이었고, 영어나 불어와 같은 공식언어가 주 모국어라고 대답한 수는 2700명이었다. 이들 중 영어가 모국어라 한 수는 2655명, 불어는 50명이으로 5명은 영어와 불어 모두 사용하는 인구다.

 

공식언어가 아닌 한국어를 주 모국어라 대답한 순 숫자는 총 10만 5475명이다.

 

복수 응답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대답한 인구 중 6만 8685명은 영어나 불어를 가정에서 주로 쓰지 않는다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에서 한국어를 모국어 중의 하나로 사용하지만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인구도 3만 9735명이었다. 불어는 240명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한국어를 단일 모국어로 꼽지도 않고 영어나 프랑스어도 아닌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은 몇 명이고 누구일까하는 의문이 남는다. 한국어와 공식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수는 560명이다. 이들을 보면 일어가 80명, 중국어가 115명 등으로 재일동포나 중국 조선족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또 러시아어도 5명, 크로아티아도 5명 등은 구소련에 의해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이탈리아가 15명, 네덜란드 5명, 베트남어 5명, 필리핀어 사용자 5명 등도 나타났다. 더 이상한 것은 벵골어 사용자 5명, 우르두어 사용자 5명, 카렌어 사용자 5명, 티벳-버마 5명, 그리고 북아프리카 지역 언어인 셈족어를 쓰다는 사람도 5명 등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응답도 나왔다.

 

데이터를 메트로밴쿠버 지역으로만 한정해서 다시 도출해 보면 모국어에 한국어를 포함 한 수는 총 3만 4220명이다. 이중 단일 응답의 경우 공식언어 사용자가 775명으로 비공식어 사용자는 3만 3065명이다. 

이들 중 한국어 단일 응답자는 3만 2985명이었다. 이외에 일본어 사용자가 30명, 중국어가 30명, 몽고어가 5명, 독어가 5명, 스페인어가 5명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이란어가 5명, 우르두어가 5명, 베트남어가 5명 등이 섞어 있다.

 

모국어 중 하나로 한국어라고 한 인구 중 가정에서 주로 영어를 쓰는 인구는 1만 1770명이고 불어가 10명이었으며 공식어 이외의 언어를 쓰는 인구가 2만 2180명이었다.

 

이번 인구센서스 통계 자료를 통해 모국어 중 한국어를 포함 시킨 인구와 이중 한국어만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모국어라고 대답한 경우, 그리고 이민 2세 이상의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한인 등이 영어를 모국어라고 대답했을 경우 인구센서스의 한국어 사용자만으로 전국적이나 메트로밴쿠버 지역의 한인 인구를 추산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2017년도 한국 외교부의 재외동포 현황 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로 한인 수는 24만 942명이다. 밴쿠버 총영사관 관할지역(BC, 알버타, 사스카추언)은 10만 1802명이다. 이는 인구센서스의 한국어 기준으로 본 결과와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수치다.  

 

이는 비단 캐나다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등에서도 외교부 등 한국 정부나 한인사회의 비공식 한인 추정치와 한국어 사용자로 추산되는 한인 수가 2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결국 한국어 사용자로 한인을 구분할 지 아니면 한국적 정서와 유대감을 갖고 재외동포로 볼 지 아니면 한국 국적자만 한국인으로 볼지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요구된다.

 

특히 한국에서 자유한국당 국회의원과 주요 언론사들이 재외동포를 매국노 외국인으로 적대시 보는 마당에 한국적 동질감을 누구까지 포함시킬지 한국과 재외동포 사회가 심도 있게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75 캐나다 한인, 돈없어서 치과 못갔다는 소리는 하기 싫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7.
6074 캐나다 평통 서병길 전 밴쿠버협의회장, 평통발전 특별위원 임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7.
6073 캐나다 10월 메트로밴쿠버 집값 전달과 비교 한풀 꺾여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6072 캐나다 2025년부터 이민자 연간 50만 명 시대가 열린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6071 캐나다 윤보다 못한 트뤼도의 지지율, 어떡하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6070 캐나다 버나비 한인여성들의 수난시대-우기철 더 조심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6069 캐나다 재외동포기본법 10일부터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1.
6068 캐나다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64% 인정하는 분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3.10.31.
6067 캐나다 유학생 입학서류 이민부가 직접 챙겨 보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31.
6066 캐나다 한인 여성들의 경력향상을 위한 의지는 뜨겁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6.
6065 캐나다 캐나다수출개발공사, 서울에 대표부 개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6.
6064 캐나다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 Zagae VFW 봄/여름 패션위크에서 화려한 데뷔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4.
6063 캐나다 캐나다 국민, 이념보다 "민생이 먼저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4.
6062 캐나다 한-캐나다 청년교류 지원 협의회 출범 밴쿠버중앙일.. 23.10.24.
6061 캐나다 밴쿠버패션위크, 일본 디자이너 열풍, 한류 시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6060 캐나다 "지난 2년 캐나다 한인 수 맞먹는 재외동포 감쪽같이 사라졌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6059 캐나다 지지층도 떠나간 현 정부 어떻게 하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6058 캐나다 캐나다서 살아가기 위해 평균 6만 7천불 벌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6057 캐나다 제7회 투게더 행사 K-POP 알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8.
6056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5년, 사용자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