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재인 3).jpg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의 호주 일정 첫날(13일), 한국산 자주포와 탄약운반 장갑차의 호주 도입 계약이 마무리됐다. 모리슨 총리와 문 대통령이 임석한 가운데 호주 국방부 국방물자 관리청(CASG) 토니 프레이저(Tont Frazer. 오른쪽) 부청장과 강은호 한국 방위사업청장이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문 대통령 방호 중 ‘방산 협력 양해각서 MOU-자주포 방산협력 계약’ 서명

 

호주 국방부가 한국과 10억 달러의 무기 계약을 마무리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됐다. 지난 12월 12일(일), 호주 정부 초청으로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날인 13일(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후 양국간 무기협력 계약서에 서명했다.

이날 서명은 양국 정상의 단독회담과 확대회담 이후 진행됐으며 호주 국빈 방문단 수행단으로 동행한 강은호 방위사업청장과 호주 국방부 국방물자 관리청인 ‘Capability Acquisition and Sustainment Group’(CASG) 토니 프레이저(Tont Frazer) 부청장이 K-9 자주포 30문, 15대의 탄약운반 장갑차 도입이 포함된 ‘한-호주 방위산업 양해각서 및 방산물자 협력 계약’에 서명했다. 이 서명에는 모리슨 총리 및 문 대통령이 임석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는 연방정부와 협력하여 멜번 남부에 자리한 도시 질롱(Geelong)에 장갑차 센터(Armoured Vehicle Centre)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는 현 모리슨 정부가 지난 2019년 연방 총선을 기해 처음 발표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사업을 통해 정부는 최소 3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계약과 관련, 호주 공영 ABC 방송은 “한화는 문 대통령의 방문이 호주 육군을 위한 300억 달러 규모의 보병전투차량 도입 계약에서 유리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방송은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문 대통령의 4일간의 호주 방문으로 호주가 전략적 접근에서 반아시아적이라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을 불식시키고 역내 국가들에게 시기적절한 메시지를 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6년까지 주한 호주대사를 역임한 빌 패터슨(Bill Paterson) 전 대사는 “문 대통령이 부상하는 중국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관계를 강화하고자 호주를 방문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패터슨 전 대사는 “5년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또한 전염병 사태의 한 가운데서 문 대통령은 (호주 방문을 통해) 호주의 쿼드(Quad) 가입 및 AUKUS 협정에 대해 어느 정도 지지를 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사실 그의 분석은 문 대통령이 호주 방문에서 주력한 것에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모리슨 총리와 희토류, 리튬 등 호주가 보유한 핵심 자원들에 대한 공급망 협력에도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최근 중국 측의 수출 제한으로 발생한 ‘요소수 사태’에서 보듯 한국 주력 산업에서 핵심 품목의 도입선 다변화와 공급망 안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180억 달러 상당의 철광석, 석탄, 천연가스 및 쇠고기를 포함해 250억 달러 이상의 상품과 서비스를 수입하는(2020년 기준) 호주의 네 번째 큰 교역 파트너이다.

한편 강은호 방위사업청장은 이날(13일) 캔버라 프레스센터에서의 미디어 브리핑에서 이번 국방무기 계약이 현재 진행 중인 한국산 장갑차 ‘레드백’(Redback) 도입 여부와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방위사업청장으로서야 당연히 한국이 사업을 수주하도록 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K-9 자주포 협력사업이 아주 좋은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양국 간에 일종의 사고파는, 즉 바이앤셀러(buy and seller) 관계식의 일회성 관계가 아니라 양국이 서로 기술적 장점을 결합하고, 또 산업 협력 측면에서도 양국이 상호 윈윈하는 협력 관계를 K-9 자주포 사업을 통해서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청장은 “그 과정에서 레드백 협력사업과 관련해서도 훨씬 더 신뢰가 깊어질 것이고, 또한 호주도 우리 측을 선정하는 것이 훨씬 더 국익에 맞다고 판단된다면 당연히 레드백을 선정할 것”이라며 “빅토리아 주, 질롱(Geelong)을 한국의 창원처럼 군수혁신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문재인 3).jpg (File Size:87.2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63 호주 동포기업 ‘가스펠 피아노’, 올해 시드니 국제 피아노 경연 우승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2 호주 시드니서 소개하는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과 내일, ‘대한민국 예술원 특별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61 호주 “한국 ‘인삼’의 영어 명칭, ‘Ginseng’ 아닌 ‘Insam’으로 표기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60 뉴질랜드 사단법인 재뉴질랜드 대한체육회 회장 이. 취임식 “소통과 화합” 제15대 유광석 회장 취임 일요시사 23.07.19.
3159 뉴질랜드 뉴질랜드 민주평통, 골든벨행사 성황리에 마쳐 일요시사 23.07.19.
3158 뉴질랜드 오클랜드 제17대 한인회장선거 '홍승필 당선' 일요시사 23.07.19.
3157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인회관 알박기 절대 불허한다. 일요시사 23.07.19.
3156 뉴질랜드 뉴질랜드 태권도의 대부 이정남 회장 所天 이민사회 '교민장'으로 장례 진행 일요시사 23.07.19.
3155 호주 “높게 강하게 도전하라”... 여자 월드컵 한국대표팀, 시드니서 마지막 담금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4 호주 스토리 메이커이자 화가가 던지는 ‘나는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3 호주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즉각 제소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3152 호주 동포 비즈니스 중심 이스트우드, 시드니 전역 20개 이상 ‘Nightlife’ 핫스폿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1 호주 “여름 대표 보양식... 금산의 자랑, 인삼 가득 정성 담은 삼계탕 준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0 호주 한국전 정전 70년... 우리는 어떻게 호주 참전용사들을 기억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9 호주 한국문화원, ‘시드니영화제’ 협력으로 일련의 한국문화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8 호주 “긍정적 사회 변화를 위한 활동의 중요한 경험 중 하나... 기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7 호주 올해 최고 수준의 K-Pop 커버 호주 댄스팀은? 채스우드 콩코스서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6 호주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 시드니 한인 동포들, ‘5.18’ 의미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3145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WONDER: Wordless Picture Books’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3144 호주 한국 외교부, 인천에 재외동포청 설치... 통합민원실은 서울(광화문)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