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망원인).jpeg

호주인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환은 심장병, 치매, 폐암, 뇌졸중, 폐 관련 질환, 당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주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호주 전국 사망자 76만5,911명의 사망 원인을 분석한 것으로, 지역별 사망 원인도 차이를 보였다. 사진은 시드니 동부 웨이벌리 공원 묘지(Waverley Cemetery).

 

보건복지연구원 분석... 지역별 차이 속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가장 높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는 심장질환과 뇌졸중이다 (2016년 사망자 5,690만 명 대상). 그렇다면 호주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병은 무엇일까.

금주 수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국가보건자료를 인용, 호주와 시드니에서 발생한 지역별 사망의 원인에 대한 기사로 눈길을 끌었다.

호주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호주 전국 사망자 76만5,911명의 사망 원인을 분석한 결과 호주인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환은 심장병, 치매, 폐암, 뇌졸중, 폐 관련 질환, 당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5위까지의 사망원인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6위부터는 사망원인 질환별로 순위가 달랐다. 흡연자나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이 있고, 노인 또는 젊은이들이 더 많이 거주하는 지역적 인구특성이 서로 다른 것도 하나의 요인이다.

NSW 주 북서부에 위치한 브로큰 힐(Broken Hill) 등 먼 내륙에서는 2012-16년 사이 탈수에 의한 사망자 43명이 발생해 사망원인 6위로 꼽혔으며, 멜번 북쪽에 위치한 흄(Hume) 지역(region)의 6번째 사망원인은 독감이었다. 또한 호주에서 비만인구가 가장 많기로 유명한 빅토리아(Victoria) 주 시골마을 아라라트(Ararat) 지역은 당뇨에 의한 사망자가 특히 많아 이로 인한 호주 전체 사망 비율의 두 배가 넘었다.

시드니, 퍼스, 멜번 등 대도시 도심 지역(suburb)의 경우 일곱 번째 사망원인은 마약중독으로, 시드니의 경우 2012-16년 사이 100명 이상이 마약으로 목숨을 잃어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보였다. 시드니 도심 킹스크로스(Kings Cross)와 멜번의 야라(Yarra) 지역에서 가장 많은 마약중독 사망자가 발생됐으며, 이들에게 처방된 오피오이드(opiod) 남용에 의한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토리아 주는 다른 주(states) 및 테리토리(territories)에 비해 우연한 추락사고 또는 감기에 의한 사망자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조사돼, 추락사고는 빅토리아 주의 사망원인 10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NSW 주에서는 추락사고가 사망원인 20위로 두 지역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노던 테리토리는 다른 지역보다 자동차 사고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 6위를 기록한 반면,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에서는 이것이 18번째 사망원인으로 집계됐다. 또 노던 테리토리에서는 폭행이 사망원인 20위를 기록하며, 다른 지역의 5배가 넘는 사망률을 보였다.

‘Sunshine State’로도 불리는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서는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이 발생해 흑색종에 의한 사망자 수가 국가 전체보다 25% 높았다.

지난 5년간 사망자들의 평균 나이는 남성의 경우 78세, 여성의 경우 84세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5~64세 사이와 75세 이상 사망자들의 가장 큰 원인은 심장병이었으며, 심장마비는 65세와 74세 사이의 두 번째 사망원인이었다. 그런 한편 15~44세 사망자들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자살이었다.

 

■ 시드니 일부 지역의 주요 사망원인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5년 사이, 상위 사망 원인)

▲ 시드니(Sydney city)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1.6%(404명)

-폐암 : 6.6%(231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5.5%(191명)

-뇌혈관 질환 : 5.3%(184명)

-만성 폐쇄환성 폐질환 : 4.1%(144명)

-자살: 4.1%(144명)

-불의의 중독 : 3.살9%(136명)

-직장암 : 2.8%(96명)

-기타 원인 불명 : 2.2%(78명)

-간암 : 2.1%(72명)

-간 질환 : 2%환(71명)

-유방암 : 2%(71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70명)

-췌장암 : 2%(69명)

-당뇨병 : 1.9%(67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1.6%(55명)

-전립선암 : 1.5% (54명)

-독감 및 폐렴 : 1.4%(49명)

-고혈압병 : 1.4%(48명)

-추락사고 : 1.3%(44명)

 

▲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1.3%(97명)

-뇌혈관 질환 : 10.6%(91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8.4%(72명)

-폐암 : 4.3%(37명)

-당뇨병 : 3.6%(30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4%(29명)

-직장암 : 2.7%(23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2.6%(22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6%(22명)

-기타 원인 불명 : 2.3%(20명)

-독감 및 폐렴 : 2%(17명)

-폐혈증 : 1.9%(16명)

-췌장암 : 1.8%(15명)

-신장병 : 1.7%(14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5%(13명)

-자살 : 1.3%(11명)

-전립선암 : 1.3%(11명)

-파키슨병 : 1.3%(11명)

-위암 : 1.3%(11명)

-간암 : 1.2%(11명)

 

▲ 라이드(Ryde)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3.5%(467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8.7%(301명)

-뇌혈관 질환 : 8.2%(285명)

-폐암 : 4.5%(155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10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6%(92명)

-직장암 : 2.6%(91명)

-당뇨병 : 2.3%(81명)

-고혈압병 : 2.3%(78명)

-심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2.2%(75명)

-독감 및 폐렴 : 1.9%(67명)

-폐혈증 : 1.9%(65명)

-유방암 : 1.8%(63명)

-전립선암 : 1.8%(62명)

-췌장암 : 1.7%(59명)

-심장부정맥 : 1.5%(52명)

-간암 : 1.4%(49명)

-신장병 : 1.4%(48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3%(46명)

-파키슨병 : 1.3%(46명)

 

▲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2.7%(1345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7.3%(772명)

-뇌혈관 질환 : 6.7%(703명)

-폐암 : 5.8%(611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4.3%(455명)

-당뇨병 : 3.1%(323명)

-직장암 : 2.7%(288명)

-기타 심장질 : 2.5%(26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3%(240명)

-폐혈증 : 1.9%(201명)

-췌장암 : 1.9%(197명)

-신장병 : 1.7%(182명)

-고혈압병 : 1.7%(180명)

-유방암 : 1.6%(173명)

-심장부정맥 : 1.6%(172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6%(171명)

-간암 : 1.6%(171명)

-전립선암 : 1.6%(168명)

-독감 및 폐렴 : 1.5%(159명)

-기타 원인 불명 : 1.4%(149명)

 

▲ 윌로비(Willoughby)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3%(238명)

-뇌혈관 질환 : 9.4%(172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9.3%(171명)

-폐암 : 4.7%(85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55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3%(54명)

-직장암 : 2.5%(4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3%(43명)

-심장부정맥 : 2.1%(38명)

-췌장암 : 2.1%(38명)

-당뇨병 : 2%(36명)

-유방암 : 2%(36명)

-전립선암 : 1.9%(35명)

-독감 및 폐렴 : 1.9%(34명)

-신장병 : 1.8%(33명)

-폐혈증 : 1.7%(30명)

-고혈압병 : 1.5%(27명)

-림프종 : 1.5%(27명)

-자살 : 1.3%(24명)

-추락사고 : 1.3%(23명)

Data: Australian Insititute of Health and Welfare.

 

■ 2012-16년 호주 전국 사망원인 상위 20위

-심장마비 : 98,992명

-치매 : 59,017명

-뇌졸증 : 53,392명

-폐암 : 41,480명

-폐질환 : 33,800명

-당뇨병 : 22,359명

-대장암 : 21,305명

-기타암 : 19,254명

-심부전 : 17,103명

-전립선암 : 15,736명

-유방암 : 14,526명

-독감 폐렴 : 14,472명

-자살 : 13,965명

-췌장암 : 13,301명

-추락사고 : 11,492명

-신장병 : 11,209명

-고혈압 질환 : 10,752명

-심장부정맥 : 10,396명

-기타 원인 불명 : 9,070명

-간 질환 : 8,719명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망원인).jpeg (File Size:78.8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73 호주 심화되는 시드니 주거지 부족 문제... “샌프란시스코처럼 될 위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72 호주 올 1월 주택가격 0.4% 상승... 금리인하 예상 속, ‘오름세 지속’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71 호주 ‘Tourism Australia’ 선정, 2024년 최고의 해변은 ‘Squeaky Beach’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70 호주 RBA, 올해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 ‘안정적 유지’ 결정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69 호주 NSW 정부, 시드니 새 공항도시 ‘Bradfield City’ 마스터플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68 호주 NSW 주 초-중등학교 교사 당 학생 비율, 최고-최악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67 호주 ‘노화’ 영향 줄인다는 anti-ageing 스킨케어 제품들, 실제로 작용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66 호주 CB City-Georges River 카운슬, 산불 위험 최소화 전략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8.
5165 호주 Reading fictions... 단순한 흥미 이상으로 더 많은 실질적 이점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64 호주 Stage 3 tax cuts- 상위 소득자의 세금감면 혜택, 절반으로 줄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63 호주 Stage 3 tax cut- 세금감면 변경안, winner와 loser는 누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62 호주 시드니 주택위기 보여주는 ‘충격’ 통계... 신규 공급, 5년 사이 42%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61 호주 2023년도 호주 부동산 가격, 8.1% 상승... 각 주별 주택시장 동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60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역의 ‘urban canopy’, 서부 교외에서 빠르게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59 호주 30년 넘게 ‘녹색 거리’ 담당했던 한 공무원, 이제는 ‘청정도시’ 조성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5158 호주 [아시안컵] '우승후보' 한국•일본•이란•호주, 첫 경기 나란히 '순항' file 라이프프라자 24.01.16.
5157 호주 연간 수십 만 명 달하는 이민자 유입... 호주, 수년간 높은 임대료 이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6 호주 HSC 2023- ‘Success Rate’ 최고 성적, North Sydney Boys High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5 호주 HSC 2023- 남녀 학생간 학업성적 격차, 지난 5년 사이 크기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4 호주 “스마트폰, 재난상황에서 생명 구하는 데 도움 될 수 있다”...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