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jpg

2008년에서 2018년 사이 호주 노동자 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나 특정 젊은 계층의 실질소득은 매년 1.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상당 비율의 노동 수요는 파트타임 직으로 전환됐다. 사진은 한 직업훈련시설의 젊은이. 사진 : 트위터 / P-Tech Australia

 

생산성위원회 보고서... 35세 이상 계층 비해 실질소득, 매년 1.6% 감소

장기간의 불경기-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젊은층 부담은 더욱 늘어날 듯

 

지난 10년 사이 호주 노동자들의 임금은 지속적인 상승을 기록했지만 젊은층의 실질 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젊은층의 소득 상황은 갈수록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방정부 경제 싱크탱크인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가 지난 달 말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8년에서 2018년 사이, 15-24세 사이 계층의 평균 소득(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된)은 매년 1.6%씩 감소했다.

이에 대해 생산성위원회는 보고서에서 “2018년 젊은층의 수입은 사실상 2001년 수준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5-34세 사이 연령층의 소득은 이들에 비해 0.7% 감소했으며, 2008년까지 이들의 임금증가율은 21%로 15-24세 계층에 비해 나았음을 보여준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소득이 높아져 ‘prime-aged’ 계층인 35-64세 사이 호주인의 평균소득은 매년 1.4%, 65세 이상 노년층 소득은 연 평균 3.2%가 증가했다.

생산성위원회는 “이 기간(2008년-2018년), 1인당 가처분 소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계층은 65세 이상 연령 그룹으로, 2001년에 비해 86%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청년층 임금 정체

 

가처분 소득의 증가는 임금 성장에 따른 것이었다. 생산성위원회는 “분석 결과 2008년에서 2018년 사이 20-34세 사이 계층의 임금인상률은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반면 35-54세 연령층의 평균 임금성장은 2008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지난 10년 사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장년층의 임금성장과 달리 젊은이들의 임금이 더 낮아진 이유는 무엇일까. 생산성위원회는 “특정 그룹의 젊은이들이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기 때문이 아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장년 그룹과 달리 젊은층의 소득 불평등은 증가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6-2.png

연령별 평균 가처분 소득을 보여주는 그라프. 2008년 이전에 비해 이후 젊은층의 가처분 소득은 크게 감소했다. 이는 매년 호주 가정의 소득을 조사하는 ‘HILDA'(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in Australia) 집계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것임. 그래프 : Productivity Commission

 

생산성위원회에 따르면 청년층과 장년 그룹간 임금성장률 격차는 특정 교육 수준, 산업 또는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니다. 또한 직업양극화(job polarisation. 제조업 등 중간 소득의 일자리 상실 등)와 같은 장기적 추세에 의한 것도 아니다.

생산성위원회는 “이는 일부 젊은층에서 다소 임금상승이 이루어졌다 해도 35세 미만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장기 재직의 이점

 

생산성위원회는 임금과 관련된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몇 가지 이론을 갖고 있다. 동 위원회는 “노동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은 구직자 입장에서 더 큰 경쟁에 직면하게 하는 반면 장년 노동자의 경우 현역의 이점을 누리며, 이것이 임금증가율 차이와 일치한다”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들은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고 밝혔다.

 

6-3.png

지난 10년 사이 35세 미만 계층의 실질임금과 노동시간은 감소한 반면 35세 이상 장년층은 크게 높아졌다. 그래프 : Productivity Commission

 

노동시장의 불균형 문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호주의 경제성장이 약화됨에 따른 수요 측면, 그리고 광산업 투자 붐에 따른 공급 부문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반면 이전 연구에 따르면 호주의 높은 이민자 유입 비율은 상대적으로 청년층이 겪는 임금정체의 큰 요인이 아니다.

생산성위원회는 “호주로 유입되는 이민자로 인해 노동력 공급이 증가했지만 이들이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 회사들이 새로운 노동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전체적은 효과는 변화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이민자 유입이 중단되면 노동력 공급을 감소시킴으로써 젊은층 노동자들에게는 류리하게 작용하지만 수요와 일자리 창출에는 불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로 생산성위원회는 과거의 연구를 기반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젊은층에게는 암울한 미래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생산성위원회는 “노동 수요와 공급 사이의 두드러진 불균형은 여러 조정(adjustment)으로 이어졌고, 광범위한 실업보다는 여유 노동력 흡수가 많은 분야의 파트타임 일자리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동력 흡수가 많았던 소매, 접객 및 관광업은 현재 전 세계가 겪고 있는 전염병 위기로 가장 큰 피해상황에 처했으며 회복 패턴이 불확실한 분야이기도 하다.

 

6-4.png

1990년 이후의 호주 연령그룹별 실업률 추이. 25세 미만 계층의 장기 실업률은 두 배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그래프 : Productivity Commission

 

전염병 사태 이후의 암울한 전망

 

생산성위원회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3개월 동안의 상황을 보면, 이 부문(소매-접객 및 관광업) 피해 노동자들은 주로 젊고 낮은 임금을 받던 이들”이라고 밝혔다. 동 위원회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이 발생하기 전에도 25세 미만 장기 실업률은 2018년까지, 지난 10년 사이 두 배로 증가했다.

아울러 생산성위원회는 오늘날 젊은층의 암울한 전망에 더하여, 35세 미만 노동자들의 경우 팬데믹 상황에서 버틸 수 있는 저축액이 적었고 대다수는 이미 이를 소진했으며, 현재까지의 불경기는 ‘주식투자자’(장년 이상 계층)보다 ‘일반노동자’(젊은 계층)들에게 훨씬 더 큰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생산성위원회는 “이런 여러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앞으로 수십 년 간의 직장생활을 앞두고 있는 젊은이들은 이번 전염병 사태와 장기간 이어온 불황에 따른 부담을 가장 무겁게 부담해야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국가 재정회복 측면에서 향후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지금의 청소년 계층은 ‘세금 폭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언급하면서 “이는 현재 경기침체의 분배적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제시했다.

생산성위원회는 이러한 ‘분배적 영향’ 중 하나로 “부모의 소득이 낮거나 재산이 적은 젊은이들이 세대간 불평등의 불균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생산성위원회는 20대 후반의 연령층으로 부모 집에 얹혀사는 이들의 비율이 1981년 10%에서 2016년 17%로 증가한 가운데, 이들은 주택 임대료로 지출되는 수입의 3분의 1을 저축할 수 있지만 이것이 모든 이들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실 가족간 주택양도는 젊은이들로 하여금 현재 직면하고 있는 기대수입 감소를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호주 고령층의 소득 증가를 반영한다는 게 생산성위원회의 주장이다. 반면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저소득 가정은 그렇지 못하다.

소득이 높은 가정은 취약한 노동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젊은층 자녀를 돕고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젊은이들은 정부의 복지혜택으로 소득의 대부분을 충당하는 실정이다.

 

6-5.png

2008년에서 2018년 사이, 각 연력그룹별 임금소득, 양도소득 및 기타소득 성장률. 이는 매년 호주 가정의 소득을 조사하는 ‘HILDA'(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in Australia) 집계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것임. 그래프 : Productivity Commission

 

생산성위원회는 15-19세 계층의 양도소득은 크게 감소했으며 20-34세 젊은층의 경우 실질소득은 비교적 안정적인 유지를 보인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지금의 65세 이상 그룹만이 정부가 제공하는 고령연금으로부터 소득증가 혜택을 본 유일한 계층이었으며 그 외 모든 연령그룹은 감소했다.

이와 함께 생산성위원회는 “현재 호주 젊은이들이 처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해도 이전 세대와 비교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대학을 졸업한 이들이 수년 이내 거의 모두 직업을 구하지만 이전 세대가 가졌던 (양호한) 직업적 상태를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어 위원회는 “결과적으로 2008년 이후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젊은이들은 소득 및 직업선택에서 장기간 이어진 부정적 영향을 떠안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6-1.jpg (File Size:106.7KB/Download:21)
  2. 6-2.png (File Size:85.9KB/Download:18)
  3. 6-3.png (File Size:72.5KB/Download:15)
  4. 6-4.png (File Size:79.8KB/Download:17)
  5. 6-5.png (File Size:45.6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77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6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5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3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2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1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0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6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68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7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6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5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3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2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1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0 호주 이전 정부에 제출된 ‘비밀’ 보고서, “5년 이내 간병인 10만 명 부족” 예측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9 호주 UniSA 연구팀, 신진대사와 치매 관련 뇌 측정 사이 연관성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8 호주 “제1형 당뇨 환자의 질병에 따른 ‘심적 부담’ 문제에도 주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7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감안, “투자자가 제공하는 임대주택 표준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