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onours system 1).gif

영국 왕실이 수여하는 국민 훈장은 물론 1975년 호주 훈장(Order of Australia)이 제정된 이후에도 호주 사회에서는 이 '명예'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 제도 자체는 물론 대상자에 대해서도 논란이 이어졌던 것이다. 사진은 호주 훈장 가운데 기사 작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인 ‘Companion of the Order of Australia’ 메달. 사진 : Twitter / Lames Paterson(@SenPaterson)

 

“민주주의 정신과 불일치”... 명예 훈장 제도에 대한 호주 내 상반된 시각 ‘지속’

 

호주 건국기념일이라 하는 ‘Australia Day’를 기념하는 이벤트 중 하나는 각 부문에서 모범적 활동을 펼쳐온 이들을 선정, 수여하는 명예 훈장이다. 올해에도 다수의 인사들이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지만, 이와 관련된 논쟁이 끊이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지난 2014년, 당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총리 집권 하에서는 ‘호주 국민훈장’(Order of Australia) 부문에 기사작위(knighthood)와 여성에게 수여하는 ‘데임후드’(damehood)가 부활됐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남편인 필립공(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2021년 4월 9일 작고)에게 호주 기사작위(Knight of the Order of Australia)가 수여되면서 이 명예훈장에 대한 논쟁은 더욱 가열됐고, 이에 대한 비판의 연장으로 당시 집권 자유당 대표였던 애보트 총리가 당내 대표직 도전에 직면해 총리직을 내놓아야 한 것에 일조했다.

지난 10여년 사이에는 이 훈장 수훈자들의 성별 균형에 대한 논란도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서 호주 여성 작가이자 사회비평가인 베티나 아른트(Bettina Arndt), 메이저 대회 24회 우승(호주오픈 11회, 프랑스오픈 5회, 윔블던 3회, US 오픈5회)을 기록한 세계 최고의 여성 테니스 스타였던 마가렛 코트(Margaret Smith Court)의 호주 명예훈장 수훈에 대해서도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최근 <Honouring a Nation- A History of Australia's Honours System>(호주국립대학교 출판부)라는 저서를 통해 ‘First Fleet’(1788년 첫 백인정착 선박)에서 2021년까지 호주 명예훈장의 역사를 처음으로 조명한 호주국립대 ‘National Center of Biography’의 카렌 폭스(Karen Fox) 선임연구원은 호주 비영리 온라인 학술 매거진 ‘The Conversation’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호주인들은 항상 일부 사람들을 다른 이들보다 우선시하는 이 명예 시스템에 대해 상반된 시각을 보여왔다”고 설명했다.

 

호주에서

‘명예훈장’ 타이틀이 필요한가

 

그녀에 따르면 특히 평등주의적 민주주의 체제에서 기사 또는 부인작위(knighthood and damehood)가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논쟁의 주축이 됐다. 1901년 호주 연방이 구성되기 이전, 영국 식민지였던 호주 내에서의 공통적인 주장은 이런 ‘칭호’가 이곳 호주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1890년 남부호주(South Australian)에서 발행되던 ‘Kapunda Herald’는 ‘(명예) 타이틀의 구분은, 알려진 업적의 명성이 유일한 것은 아니더라도 가장 가치 있는 신생 민주주의 정신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종합(honours system 2).jpg

1960, 70년대 세계 최고의 여성 테니스 스타였던 호주의 마가렛 코트(Margaret Court)가 호주 훈장을 수훈했을 때에도 사회적 반발을 가져온 바 있다. 사진은 1970년 호주 오픈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을 당시의 마가렛 코트 선수. 사진 :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rame

 

이 명예훈장이라는 타이틀에 대한 반대는 단시 수사학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1880년대, NSW 주 하원의 데이빗 뷰캐넌( David Buchanan) 의원은 하원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의 반대안을 가결시키고자 노력한 바 있다. 1884년 뷰캐언 의원은 “우리 민주주의 시스템의 정신에 위배되는 것으로,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모든 이들이 그의 말에 동조한 것은 아니다. 특히 이 ‘명예’ 칭호가 다른 이들에게 영감과 자극을 줄 수 있는 실제 서비스 또는 성취에 대해 보상을 받을만한 경우에는 더욱 그러했다. 가령 1887년 퀸즐랜드 주 록햄턴(Rockhampton, Queensland)에서 발행되던 ‘Morning Bulletin’은 “공직에서 다른 이들보다 더 잘한 사람을 표시하는 것은 경쟁을 자극한다”면서 이런 ‘명예’ 칭호가 적절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평가 대상에서

소외된 여성들

 

당시 미디어가 주로 남성을 언급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19세기 전반에 걸쳐 여성에게는 대체로 그 ‘명예’에 해당하는 타이틀 자격이 거의 주어지지 않았다. 19세기 마지막 수년에 걸쳐 일부 사람들은 이를 바꾸어야 한다고 강하게 제기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7년, 전쟁 기여자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영국에서 ‘대영제국 훈장’(Order of the British Empire)이 만들어지면서 제법 많은 여성들이 이 ‘명예’ 제도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호주 국민들도 새로운 영광을 얻었다. 1975년 ‘호주 훈장’(Order of Australia)이 제정되기 전까지 호주는 영국 시스템을 통해서만이 이 ‘명예’를 받았다.

하지만 곧이어 이 ‘명예’ 명단에서의 여성의 처우에 대한 귀에 익은 불평이 나타났다. 1930년 호주의 신문들은 그해 영국의 여성 비행사 에이미 존슨(Amy Johnson)이 런던에서 호주까지 단독 비행에 성공했지만 이 성과에 상응하는 ‘명예’를 얻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영국 여성운동가들의 항의를 보도했다. 운동가 그룹인 ‘여성자유연맹’(Women's Freedom League)은 “부적절하고 경우에 맞지 않다”(inadequate and inappropriate)고 실망감을 표하면서 “여성에 대한 영예는 거의 없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비판과 논란은 최근 수년 사이 호주에서도 보다 더 분명해지고 있다. 지난 2017년에는 이 ‘명예’ 제도에서 양성평등을 추구하는 로비그룹 ‘Honour a Woman’이 설립됐다.

 

종합(honours system 3).jpg

‘Medal of the Order of Australia’(OAM) 수훈자인 캐럴 키어넌(Carol Kiernan), 엘리자베스 핫넬-영(Elizabeth Hartnell-Young), 루스 맥고완(Ruth McGowan. 사진 왼쪽부터)씨. 이들은 호주 훈장 대상자 선정에서 양성 평등을 주장하는 시민단체 ‘Honor a Woman’을 설립했다. 사진 : Honour a Woman

   

이들이 목표로 한 ‘평등’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변화의 조짐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호주훈장 여성 수훈자 비율은 이것이 제정된 1975년, 21%에서 2020년에는 42%로 늘어났다. 2018년 6월에는 처음으로 이 명예의 최고 등급인 ‘Companion of the Order of Australia’에 선정된 여성의 수가 남성을 앞질렀다.

 

어떤 유형의

서비스가 인정되나

 

명예훈장 제도에서 여성에 대한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 중 하나는 지역사회 봉사가 낮은 수준에서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그런 한편 역사적으로 남성이 주로 차지했던 부문인 정치나 비즈니스 등 전문 분야에서의 기여는 보다 높은 수준의 ‘명예’를 받는 경향이 있다.

지역사회 활동, 특히 자원봉사자에 대한 높은 인식을 요구하는 것은 이 명예훈장에 대한 논란의 공통적 내용이다. 지난 1995년, 연방정부가 호주훈장 시스템 검토를 위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호주인들은 단순히 뛰어난 일을 한 사람보다 지역사회 봉사자, 영웅적 행동, 의학 또는 과학적 발전을 가져온 이들에게 국민훈장을 수여해야 한다는 반응이었다.

호주에서 국민훈장이 제정된 이래 수십 년 동안 사람들은 특정 직종에서 더 많은 이들이 이 명예를 차지하기를 갈망해 왔다. 교사, 의사, 성직자, 예술계 인사, 최근에는 COVID-19 전염병 방역의 최일선에서 일하는 이들이 더 많은 영광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는 제안이 늘어나고 있다.

 

종합(honours system 4).jpg

호주 내에서의 훈장 제도는 정당 사이에서도 큰 입장 차이를 보여 호주 훈장이 제정되기 전 비노동당은 정기적으로 영국 국민훈장에 호주 국민을 추천했지만 노동당은 그 반대였다. 사진은 1954년 호주를 방문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Queen Elizabeth)과 필립공(Prince Philip). 여왕의 호주 방문은 또 한 번, 훈장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가져왔다. 사진 : Wikimedia

   

정당별 입장, 큰 차이도

 

명예훈장 역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 가운데 또 하나는 비교적 오랜 기간, 노동당과 비노동당 사이에 입장차이가 컸다는 점이다. 1975년, 호주훈장이 제정되기 전 비노동당 정부는 정기적으로 호주인들 가운데 공로가 있는 이들을 영국 국민훈장에 추천했지만 노동당 정부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분열은 1954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남편인 필립공(Prince Philip)과 함께 호주를 방문했을 때 짧지만 격렬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일반적으로 영국 여왕이 연방 국가를 방문할 경우 왕실 방문을 담당한 해당 국가 인사들을 선정해 상을 수여해 왔다.

호주 내 정당 분열의 한 예는 빅토리아(Victoria) 주 정부가 보인 것에서 잘 드러난다. 당시(1954년) 빅토리아 노동당 정부의 존 케인(John Cain) 주 총리는 왕실 방문단 직원들을 위한 장식을 금지시켰다. 케인 주 총리는 이에 대해 “제국의 ‘명예훈장’ 시스템에 반대하는 노동당의 오랜 정책”이라고 주장했지만 빅토리아 야당(자유당)의 헨리 볼트(Henry Bolte) 당대표는 이 같은 결정을 “어리석고 우스꽝스러운 일”이라고 비난했다.

카렌 폭스 연구원은 이 칼럼에서 “호주 훈장의 역사는 호주 고유의 명예로, 이것이 제정되기 전과 후 모두 이 시스템의 형태, 기능, 공정성 등에서 논란이 있어 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이 같은 논쟁은 종종 정체성과 가치, 영국 전통과의 관계, 공로와 인정의 개념에 대한 다른 논란의 대용물이었다”면서 “호주 명예의 역사는 여러 면에서 호주 자체의 역사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honours system 1).gif (File Size:74.2KB/Download:9)
  2. 종합(honours system 2).jpg (File Size:65.5KB/Download:8)
  3. 종합(honours system 3).jpg (File Size:100.6KB/Download:8)
  4. 종합(honours system 4).jpg (File Size:114.0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77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6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5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3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2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1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70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6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6068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7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6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5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3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2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1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60 호주 이전 정부에 제출된 ‘비밀’ 보고서, “5년 이내 간병인 10만 명 부족” 예측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9 호주 UniSA 연구팀, 신진대사와 치매 관련 뇌 측정 사이 연관성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8 호주 “제1형 당뇨 환자의 질병에 따른 ‘심적 부담’ 문제에도 주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7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감안, “투자자가 제공하는 임대주택 표준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