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현재 전 세계 연구진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합한 백신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렇다면, 다른 바이러스처럼 COVID-19을 받아들이고 함께 생존해가는 길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사진은 호주 과학기술연구소 CSIRO 연구원들의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 사진 : CSIRO

 

전염병 전문가들, “백신 없는 미래 대비한 ‘모닝콜’ 필요하다” 강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해결책은 없을 수도 있다.”

COVID-19 백신에 전 세계의 희망이 고정되는 상황에서 이달 초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나온 이 발언은 곤혹스런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사실 다수의 전염병 전문가들은 전 세계가 백신 없는 미래를 예상할 수 있도록 주의를 촉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멜번(Melbourne) 기반의 스윈번대학교(Swinburne University) 보건학부 학장인 브루스 톰슨(Bruce Thompson) 교수는 “그럴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수년 동안 (백신에 대한) 그 어떤 변화를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설령 지금 백신이 개발되었다 해도 우리 모두가 GP(General Practitioner)를 방문해 이 백신을 접종받기까지는 최소 18개월이 걸릴 것이라는 게 그의 말이다.

게다가 과연 그 백신이 정말로 효과적인지, 만성질환자와 노약자 등 코로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장담할 수도 없다. 아울러 백신을 접종할 수 없거나 이 백신을 접종받지 않으려는 이들의 경우 바이러스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퀸즐랜드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전염병 학자인 린다 쉘비(Linda Selvey) 박사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간단하게 말해 COVID-19와 함께 살아가는 길을 마련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쉘비 박사에 따르면 COVID-19를 극복하기 위한 백신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주가 안전한 성 행위 교육 및 예방약물을 통해 에이즈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를 어느 정도 차단한 것이 그 증거이다.

그렇다면, 백신이 없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우리는 무엇에 집중해야 할까.

 

▲ 빠른 테스트= 전염병 전문가들은 이런 가정 하에서 ‘빠른 검진 결과’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현 시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를 가려내는 방법은 유일한 방법은 콧속이나 구강인두(oropharyngeal)에서 시료를 채취, 시험 클리닉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이 방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조만간 의료기술이 보다 간편하게 테스트하는 방법을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멜번 과학기술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미생물 학자인 타그리드 이스티반(Taghrid Istivan) 교수에 따르면 집에서도 간단하게 COVID-19 검사가 가능한 또 하나의 옵션이 가능할 수 있다. “임신여부를 간단하게 진단하는 것과 같은 검사키트 개발 기술이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의 한 제약회사는 한 방울의 혈액(손가락을 찔러)에서 10분 이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정확도 또한 98%에 이르는 테스트 키트를 개발해 냈다.

호주 치료약품 규제기관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TGA)은 간편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여부를 가려내기 위한 진단키트에 대해 신속하게 승인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며, 호주 의료연구기관인 ‘도허티 연구소’(Doherty Institute)가 이에 대한 내용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연방정부는 이미 30분 이내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병리검사 개발에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다. 여기에다 ‘호흡 테스트’ 방식은 타스마니아(Tasmania) 기반의 연구원들이 한 폭발물 탐지도구 업체와 협력해 검사방법을 찾고 있는 또 하나의 유망한 옵션이다.

타스마니아대학교(Tasmania University) 마이클 브레드모어(Michael Breadmore) 교수는 “15년 전 우리는 ‘GreyScan’ 사로부터 폭발물을 신속하게 탐지하는 기술개발 요청을 받은 바 있다”면서 “화학물질을 통해 기존 30분이 소요되던 폭발물 탐지를 30초 이내 가능하게 했던 이 연구를,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GreyScan’은 모바일 장치로 고감도 폭발물 추적감지가 가능한 도구를 만드는 회사이다.

브레드모어 교수는 “이것이 현실화된다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감염자 추적= 퀸즐랜드대학교 쉘비 박사는 호주 정부가 내놓은 ‘COVIDSafe’ 앱(App)이 예상보다 덜 활용되지만 포괄적으로 개선된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더 많은 자유를 얻을 수 있는 티켓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쉘비 박사는 “접촉자 추적은 우리가 정상적인 생활을 재개할수록 더욱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이런 모바일 앱을 통한 추적방식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COVIDSafe’의 기능은 잠금상태의 아이폰 상에서 짧은 시간 동안에만 작동한다는 효율성 문제가 제기됐다. 하지만 스윈번대학교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감염자 접촉을 경고하고 감염자의 이동 및 이동 방향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연구팀이 개발 중인 ‘Beat COVID-19 now’라는 이름의 앱은 사용자가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에 대한 질문에 우선 답하는 것(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을 기반으로 한다.

스윈번대학교 앱 개발연구팀 책임자인 리차드 오스번(Richard Osborne) 교수는 “COVID-19 감염자 발생 지역을 파악, 지역사회와 의료서비스 기관이 더 나은 방역계획을 세우고 사람들로 하여금 직접 진단을 받기 전에 바이러스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윈번대학교 보건학부 톰슨 학장은 코로나 바이러스 앱이 보다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면서 “사람들의 인식 또한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이 정보도구를 사용하는 데 있어 정부를 신뢰해야 한다”는 것이다.

톰슨 학장은 “많은 이들이 개인정보 침해를 우려하지만 우리가 이 바이러스 사태를 극복하고 이전처럼 다시 어울리기 위해서는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5-2.jpg

가까운 장래에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매우 효과적인 백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 개의 백신연구에만 몰두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는 게 전염병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사진 : BioWorld

 

▲ 일하는 방식, 업무환경= 일하는 방식, 고용주의 기대치, 업무수행을 위해 제공하는 환경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톰슨 학장은 “이는 이미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 사업장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우려가 있음에도 고용주는 직원들에게 일을 하도록 강요하는 잘못된 결정을 내렸다”며 “이로 인해 그들은 사업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고 지적했다. 일부 기업들에게는 어려운 과제일 수 있겠지만 만약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한다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발생할 경우 집에 머물도록 적극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퀸즐랜드대학교 린다 쉘비 박사는 “가령 작업장 환기를 개선해 보다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투자비용이 소요되지만 직원 수를 늘린다면 큰 차이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분야, 즉 COVID-19 감염자가 무더기로 발생한 바 있는 도축장, 고령자 간병시설 등의 업무환경 재설계는 지난 수개월간 전문가들이 논의해온 일이다.

WHO가 백신과 관련, ‘해결책이 없을 수 있다’고 말한 것에 대해 쉘비 박사는 “WHO의 의도는 각국 정부와 지역사회간 대화와 토론을 장려한 것이라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작업장 환경을 재설계하는 것이 며칠 사이에 이루어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감염에서 회복하는 방법= 만약 COVID-19를 치료할 수 없다면 우리는 긍정적으로 그것을 대할 수는 있다. 공공의료기구인 ‘Mater Health Services’의 전염병 책임자 폴 그리핀(Paul Griffin) 박사는 “전염병 치료 방법에는 두 가지 주요 목표, 즉 사람들을 낫게 하는 것, 그리고 바이러스 규모를 줄이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현재 증상치료를 위한 덱사메타손 시험과 항바이러스 요법인 램데시비르(Remdesivir)는 어느 정도 잠재력을 보였지만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매우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는 발병을 돕는 일종의 예방적 치료로 사용될 수 있기에 큰 진전이 될 것”이라며 “그것이 무엇인지 아직은 모르지만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리핀 박사는 현재 진행 중인 두 가지 치료제 개발(미국 바이오 제약사 ‘Novavax’와 퀸즐랜드대학교 연구팀 공동 작업)의 수석 연구원으로, 조만간 세 번째 백신 연구을 시작할 예정이다. 그는 또한 호주에서의 치료법 개발을 위한 합동 연구팀 일원이기도 하다.

RMIT의 이스티반 교수 또한 치료법 연구의 일원으로, 그는 “이의 진행은 자금지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과학은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기까지는 자금이 필요하다”면서 “치료제를 위한 작업이 무리 없이 진행되려면 이를 위한 자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백신개발 진행 상황은= 하지만 백신 개발은 단정이 어렵다. 그리핀 박사는 가까운 장래에 매우 효과적인 백신이 하나 이상은 나올 것으로 ‘확신’하면서도 “하나에만 모든 것을 투자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it's not wise to put all our eggs in one basket)고 말했다. 또한 백신접종 거부(anti-vaxxer. 스스로 건강에 대한 전문가라고 생각하며 건강을 위한 처방을 거부하는 사람) 정서가 크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현재 멜번 소재 ‘Royal Children's Hospital’-멜번대학교 부설 의료연구소인 ‘Murdoch Children's Research Institute’에서는 6개의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3상 시험 중에 있다.

이 3상 시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것, 즉 ‘백신은 정말로 COVID-19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답변이 될 것이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60.4KB/Download:18)
  2. 5-2.jpg (File Size:75.1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2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7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6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5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3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2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1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0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8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7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6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5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4 호주 NSW budget 2022- 새 예산 계획의 Winner and Loser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3 호주 NSW budget 2022- 다문화 커뮤니티 문화 행사 지원 예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2 호주 NSW budget 2022- 주 정부 예산적자, 113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1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0 호주 호주 국경 개방 이후 출입국 증가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9 호주 호주 아동기 암 환자 생존율, 지난 수십 년 사이 ‘지속적 향상’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8 호주 “호주의 스포츠 산업, 향후 10년간 일자리 창출 ‘황금기’ 맞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7 호주 5월 NSW 주의 노동시장 참여율, 66.2%로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6 호주 Wollongong Art Gallery 후원자 Bob Sredersas, “나치 정보원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5 호주 호주 각 도시-지방 지역 주택, 광역시드니 중간 가격으로 구매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4 호주 광역시드니 5월 주택경매 낙찰률, 지난 1년 평균 비해 크게 낮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3 호주 센터링크 구직자 지원 프로그램, 다음달부터 ‘Workforce Australia’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2 호주 올해 전 세계의 '높은 생활비' 조사 결과 호주 도시들, 낮은 순위에 랭크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1 호주 NSW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 부동산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0 호주 법률센터-고용 관련 단체들, 이주노동자 대상의 보다 나은 보호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9 호주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호주의 ‘2022 카타르’ 본선 토너먼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8 호주 호주 사커루, 대륙간 플레이오프서 페루에 신승... 카타르 본선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7 호주 시드니-고스포드 고속철도 계획, 2시간 소요→25분으로 단축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6 호주 NSW 주, 갱년기 건강 서비스 제공 위한 4천만 달러 기금 지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5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4 호주 파라마타 경전철 1단계 12km 구간, 16개 트램 역 명칭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3 호주 RBA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금 상환-저축예금 금리는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2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1 호주 올 겨울 독감환자 지속 증가... 안면 마스크는 이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80 호주 ‘가장 지루한 직업’ 그리고 취미를 찾기 위한 연구, 놀라운 결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9 호주 노동당 정부, 공정근로위원회에 최소 5.1% 최저임금 인상안 공식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결정... 0.8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