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신매매 1).jpg

중국 당국의 한 자녀 정책으로 아들을 선호해 온 중국의 결혼 적령기 여성 부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인근 국가인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지에서 돈을 지급하고 신부를 매매하는 행위가 빈번하게 일어나며 심각한 인권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17세 당시 중국으로 팔려갔던 미얀마 여성 난다르(Nandar)씨. 브로커가 그녀에게 지급한 돈은 미화 1만1,630달러였다.

인권 감기시구 ‘Human Rights Watch’ 보고서, ‘성 노예’ 거래까지 횡행

 

셍 문(Seng Moon)이 미얀마 카친(Kachin) 주에서 중국 남서부 지역으로 팔려간 것은 그녀의 나이 16살 때였다. 이곳 한 가정의 ‘수입 신부’로 인신매매된 것이었다.

지난 2011년 발생한 미얀마 정부군과 ‘카친 독립군’(Kachin Independence Army) 사이의 전투가 발생하자 중국으로 피신하기도 했던 그녀의 가족은 미얀마 실향민을 위한 캠프에서 거주하고 있었다.

현재 21살이 된 그녀는 캠프에서 거주할 당시, 시누이로부터 카친과 접해 있는 중국 남부 윈난 성(Yunnan)의 요리사 일자리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고, 캠프에서 일을 해 벌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다고 들은 사연을 회상했다.

셍 문의 가족들은 돈을 벌 기회를 포기하지 않았고, 그녀의 시누이와 함께 차에 태워 윈난 성으로 보내졌다. 그 차량 안에서 어느 순간 정신을 잃은 뒤 그녀가 마지막으로 기억한 것은, 시누이로부터 차멀미 약을 받아먹은 것이었고, 깨어났을 때 그녀의 두 손은 허리 뒤로 묶여 있었다.

윈난 성에 도착한 뒤 그녀는 2개월 동안 어느 집 방에 갇혀 있었고, 그 뒤 한 중국인 가족이 와서 그녀를 데리고 나갔다. 신부를 구하는 중국인 가정에 팔려간 것이다.

그녀를 데리고 간 나이 많은 중국인 남성은 그녀에게 한 남자를 가리키며 “이제 네 남편이다. 너는 결혼한 몸이니 서로 잘 지내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어라”고 말했다.

 

종합(인신매매 2).jpg

내전이 진행되고 있는 미얀마 카친(Kachin) 주. ‘카친 독립군’(Kachin Independence Army)이 장악하고 있는 이 지역 여성들의 경우 가난을 피해 중국으로 ‘팔려가는’ 사례가 많다.

 

“아이를 낳아줘. 그러면 너를 보내주겠다”

 

셍 문씨의 사연은 지난 3월21일(목) 발표된 국제인권감시단(Human Rights Watch. HRW)의 인권피해 사례 보고서와 관련해 실제 피해자 37명이 털어놓은 인신매매 경험의 전형적인 이야기이다. 그녀가 발표한 경험담의 제목은 <Give us a baby and we'll let you go: Trafficking of Kachin ‘Brides’ from Myanmar to China>였다.

총 112페이지에 달하는 HRW의 이번 보고서는 미얀마 카친 및 북부 샨(Shan) 주의 어린 소녀들이 성 노예로 중국에 팔려가는 현실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인신매매 되는 소녀들은 불과 14세밖에 안 되는 아이들도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중국은 인구 억제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한 가정에 한 자녀만 가질 것을 독려했다. 그러다 보니 태아의 성별을 미리 파악, 남아 출생을 선호했고, 이는 결국 결혼적령기 남성 비율이 여성을 크게 앞지르는 현실이 됐다. 여성이 부족해 결혼을 하지 못하는 중국 남자들이 무지기수라는 얘기다. 이는 특히 지방의 경우가 심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신매매 피해 경험을 가진 37명의 여성 사례 가운데 12명은 18세가 안 되는 나이의 여성이었으며, 가장 어린 소녀는 14세였다.

 

종합(인신매매 3).jpg

중국으로 갔다가 빠져나온 여성들은 대부분 직장을 구해주고 돈을 벌게 해 준다는 브로커의 말에 속은 경우이다.

 

HRW의 여성부 공동 책임자인 헤더 바(Heather Barr)씨는 미얀마와 중국 정부가 인신매매 방지, 피해자 지원, 인신매매 범죄자 기소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 책임자는 호주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HRW)가 우려하는 것 중 하나는 국제간 인신매매에 대해 어느 한쪽 국가도 법 집행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며 “미얀마에서는 딸이 인신매매 당했다고 가족들이 경찰에 신고해도 외면당하기 일쑤”라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심지어 뇌물을 요구받는가 하면, 뇌물을 주지 않으면 수사에 착수하지도 않거나, 조사하는 시늉만 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바 책임자는 인신매매된 딸을 찾아달라고 중국 공안에 신고해도 사정은 마찬가지라고 한탄했다. 중국 공안은 인신매매 조직에서 간신히 빠져나온 여성들이 신고하면 범죄조직을 수사하기는커녕 피해 여성들을 이민법 위반자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기술된 인신매매 피해자 증언에 따르면 대개는 미얀마에 있는 친척들에게 속아 중국으로 팔려간 여성들이다. 이들은 중국에서 일자리를 마련해 주겠다고 약속한 뒤 중국으로 건너간 뒤 ‘신부’를 필요로 하는 중국 가정에 어린 소녀들을 넘기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이들이 받는 돈은 고작 4,240달러에서 1만8,380달러 사이이다.

인신매매 근절을 위해 일한다는 카친독립기구(Kachin Independence Organisation)의 한 관리자는 “미얀마 측 브로커들은 중국의 인신매매 중개인으로부터 일정 비율의 커미션을 받는다”고 HRW 측에 설명했다. 이 관리는 ‘인신매매 여성의 가격’은 “여성이 얼마나 귀엽고 예쁜지에 달려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종합(인신매매 4).jpg

브로커에 속아 중국으로 갔던 여성들은 중국 공안에 신고하지만 오히려 이민법 위반으로 수감되기도 한다. ‘취업’이라는 말에 속아 윈난성으로 갔던 한 여성은 아이까지 낳아주고 미얀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도 사회문제로 부각

 

어린 신부를 사고파는 문제는 미얀마뿐 아니라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등 빈곤 국가에서도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인권 사안을 다루는 ‘태평양 링크 재단’(Pacific Links Foundation)의 미미 부(Mimi Vu) 자문관은 ABC 방송에서 “베트남은 신부밀매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

부 자문관은 “매년 베트남에서 중국으로 팔려가는 어린 신부들의 숫자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공식적으로 연간 1천 명가량이 중국에서 다시 돌아오고 있다”며 “이는 매매된 전체 여성의 극히 일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국가이며, 국경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중국 지역이든 베트남 지역이든)은 비슷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 측에 어린 신부로 팔려나갈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베트남 여성들의 경우 생활력이 강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도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인기(?)가 높다.

NSW대학교 ‘중국 및 아시아학부’의 판 왕(Pan Wang) 선임 강사는 “중국 농촌 지역 남성의 경우 결혼 대상 여성이 크게 부족하기에 중국 내 외딴 지역에서의 외국 신부 수요가 높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 농촌 지역은 아직도 아들선호 의식이 강하게 남아 있어 임신한 여성은 태아의 성별을 미리 파악해 여아인 경우 낙태를 해 왔기에 이는 오늘날 젊은 여성의 부족이라는 문제로 이어졌다.

‘Love and Marriage in Globalising China’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한 왕 강사는 중국 농촌 지역이 남아를 선호하는 이유는 ‘아직도 사람의 노동력으로 소득을 얻는다’는 점도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HRW의 바 자문관 또한 “중국의 대부분 지역은 전통적으로 아들이 부모를 부양해야 하고 딸은 남편을 따라 집을 떠나 살아야 한다”며 남아선호 배경을 설명했다.

 

종합(인신매매 5).jpg

중국 농촌의 한 가정에 팔려갔던 여성. 돈을 주고 신부를 수입한 중국 가정에서는 아이를 낳게 한 뒤 여성을 또 다른 가정에 되팔기도 한다.

 

인신매매 조직들, 여성을 하나의 ‘상품’으로 취급

 

‘태평양 링크 재단’의 부 자문관에 따르면 인신매매 조직들은 미얀마나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어린 소녀들은 단순히 ‘신부’로 넘기는 것 외에 이 소녀들을 다른 ‘용도’로 매매하기도 한다.

그녀는 “출산, 가사도우미, 매춘, 노예노동으로 여성을 거래하는가 하면 이 모든 것을 한데 묶은 패키지로 거래하기도 한다”면서 “주변 국가 빈곤층 가정의 나이 어린 소녀들을 그야말로 하나의 ‘상품’으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부 자문관은 중국 당국이 ‘한 가정 한 자녀’ 정책을 실시한 지 40여년이 지난 지금, 중국 지방 지역의 여성 인신매매 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얼마 전 중국 정부는 노동력 부족을 이유로 ‘한 자녀’ 정책을 공식 폐지했다.

전문가들은 국경을 넘나드는 인신매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HRW 보고서는 미양마와 중국 당국이 사전 예방, 피해자 구조 및 지원, 매매조직과 여성을 구매하는 이들을 찾아내 정식 기소 등 강력한 사법처리를 해야 함은 물론 인신매매에 대하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국경 지역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인신매매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신매매 1).jpg (File Size:73.2KB/Download:23)
  2. 종합(인신매매 2).jpg (File Size:88.4KB/Download:27)
  3. 종합(인신매매 3).jpg (File Size:38.7KB/Download:28)
  4. 종합(인신매매 4).jpg (File Size:56.5KB/Download:32)
  5. 종합(인신매매 5).jpg (File Size:33.2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51 호주 4월 호주 실업률 4% 아래로 낮아졌지만... 일자리 창출은 거의 멈춤 상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높아져... 10개 서버브 중 9개 지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4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반세기 전 3만 달러 구입 주택, 548만 달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48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각 주-테러토리 접전 선거구 결과가 승패 좌우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7 호주 ‘최저임금’ 논란... 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 악화-이자율 상승 초래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6 호주 ‘Living with COVID’라지만... 매일 평균 40명,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5 호주 ‘Super Home Buyer’에 자유당 연금 장관, ‘가격 상승 가능성’ 인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4 호주 호주의 ‘공화제’ 지지, 3년 전 비해 다소 증가... “여왕 사후 모멘텀 커질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3 호주 기술 부문 취업한 대학졸업자 임금, 최대 연간 35만 달러... 구인난 계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2 호주 2022년 ‘아치볼드’, 101년 만에 두 번째로 원주민 출신 화가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1 호주 호주 구세군, 연례 ‘Red Shield Appeal’ 모금 행사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40 호주 “뱅스타운, 오는 2036년까지 호주의 주요 보건-웰빙 중심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39 호주 ‘Pink Lady’ 품종의 사과 개발한 원예학자 존 크립스씨, 95세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38 호주 COVID 팬데믹으로 ‘공공보건-사회적 결속 위한 지역사회 언어 중요성’ 부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37 호주 NSW 지방 지역 주택가격, 지난 1년 사이 광역시드니보다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5836 호주 연방 선거 사전투표 시작... “여성 유권자가 총선 승패 가를 수도”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5 호주 SNS 플랫폼 ‘트위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얼마나 연관성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4 호주 “COVID-19 발병 이후 지난 2년 사이 거의, 1천500만 명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3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유권자들, 탄소배출량 감축 조치 ‘압도적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2 호주 “독감 환자 증가하고 있다...” NSW 주 보건부, 독감백신 접종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1 호주 여름 시즌의 유럽여행, COVID 대유행 이전 비해 크게 어려워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30 호주 시드니-파라마타 CBD 보행자 통행 규모, 전염병 이전 수준 회복 더딜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29 호주 온라인 사기사건 크게 증가...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층,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28 호주 차기 연방 정부의 비용 지원 하에 첫 주택구입이 가능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5827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호주 유권자들, ‘더 많은 해외원조-대중국 강경책’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6 호주 항공기 기내에서 COVID-19에 감염될 위험을 줄이고자 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5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정당간 ‘preference deals’, 얼마나 중요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4 호주 아웃백 여성들을 위한 청바지 브랜드 ‘CHUTE 9’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3 호주 ‘베이핑’, 청소년 세대의 ‘흡연 초래 위험’ 있다... 정부 보고서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2 호주 NSW 주 교육부, 대학입학 위한 2022학년도 HSC 시험 시간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1 호주 QLD 주 60대 후반 여성, 골프 라운딩 중 캥거루 공격 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20 호주 브리즈번, 호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동산 시장으로 떠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19 호주 일부 지역의 놀랄 만한 주택거래 가격... 에핑의 한 주택, 750만 달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5818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최대 이슈는 ‘기후변화-생활비 부담-경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7 호주 COVID-19 감염자 발생 지속 불구, 밀접접촉 규정 완화한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6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호주의 ‘preferential voting’ 시스템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5 호주 팬데믹에 따른 규제 완화-국경 개방으로 올해 독감 환자 확산 불가피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4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이민자 유입 정체, ‘시드니 서부 비즈니스에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3 호주 “보건-노인요양시설 의료 인력 확충 위해 해외에서 보건 전문가 구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2 호주 NSW 서비스부, ‘Dine and Discover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1 호주 가중되는 주거비 압박... “수백 만 세입자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8.
5810 호주 ‘living with COVID’라지만... 일부 전문가들, “풍토병 단정은 아직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9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모리슨 vs 알바니스, 정치생명이 걸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8 호주 ‘Spyware’, GPS 추적기 등 기술 기반의 여성학대,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7 호주 부패감시 강화 위한 ‘국가 청렴위원회 설립’, 노동당 주요 공약 중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6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5 호주 2주 연속 long weekend... 모임-여행지 방문으로 COVID 감염 우려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4 호주 노동당, “세입자 임대료 압박 완화 위해 주택공급 늘리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3 호주 멜번 폐수처리장에서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변종 BA.4 또는 BA.5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5802 호주 NSW 주 정부, 새 회계연도 예산에 홍수피해 지원 20억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