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jpg

지난 9월 29일(화)을 기해 전 세계 COVID-19 감염 환자 사망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번 전염병 사태가 발생한 지 10개월이 지나고 수천 만 명에 대한 치료가 진행되면서 아직 이의 항체를 만들어줄 백신은 나오지 않았지만 치료방법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 사진 : Pixabay

 

관련 연구논문 수천 건 발표, 축적된 경험으로 보다 나은 치료방법 확인

 

지난 해 12월 첫 보고된 신종 바이러스, COVID-19로 명명된 이 호흡기 질환으로 전 세계 사망자가 지난 9월 29일(화)을 기해 100만 명을 넘어섰다. 한 세기 전인 1918년 스페인 독감이 전 세계를 휩쓸며 수천 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후 최대 규모의 전염병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형태의 COVID-19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될 때만 해도 과학자들은 이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었다. 멜번(Melbourne) 소재 알프레드 병원(Alfred Hospital)의 중환자실 책임자 스티브 맥글로울린(Steve McGloughlin) 박사는 “우리는 유사한 유형의 질병에 대한 이전의 연구와 치료방법을 기반으로 (대응을) 시작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이는 장기간의 문제로 이어지지 않았다. 환자 발생이 속속 보고되던 지난 1월 이후 COVID-19에 관한 연구 논문은 수천 건이 발표됐다. 이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어진 것이다.

맥글로울린 박사는 “시간이 지나면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 수가 늘어났다”며 “이는 (COVID-19에 대한) 연구의 질적 수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론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사실 지난 10개월여, 전 세계가 COVID-19와 함께 하면서 이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는 눈에 띄게 높아졌다.

그렇다면 그 동안 이 질병을 통해 알게 된 것은 무엇일까.

 

▲ 약품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아니다=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됐을 때, 이전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보여준 기존의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이 조기치료의 후보 약물로 부상했다.

COVID-19 치료제 사용에 대한 불안하고 확실하지 않은 과학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이 약물은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에 의해 ‘게임 체인저’로 불리어졌고, 브라질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Messias Bolsonaro) 대통령 또한 이를 크게 홍보했다.

반면 호주 보건당국은 이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고, 이는 현명한 판단으로 판명됐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COVID-19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는 분명한 증거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멜번 기반의 전염병-면역 연구기관인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의 스티브 통(Steve Tong) 박사는 “실험적 항바이러스 약물인 ‘렘데시비르’(remdesivir), 염증을 줄이기 위해 지난 수년간 사용돼온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이 COVID-19 중증 환자의 회복 및 생존율을 높이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이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고 말했다.

‘Doherty Institute’와 ‘Royal Melbourne Hospital’에서 근무하는 통 박사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는 COVID-19 감염환자의 회복 시간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덱사메타손은 인공호흡기 또는 산소가 필요한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어 준다.

통 박사는 “COVID-19 중증 환자들이 덱사메타손의 가장 큰 효과를 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8-2.jpg

멜번 알프레드 병원(Alfred Hospital, Melbourne)의 중환자실 책임자 스티브 맥글로울린(Steve McGloughlin) 박사. “바이러스 발생 초기, 유사한 유형의 질병에 대한 이전의 연구와 치료방법을 기반으로 대응을 시작했다”는 그는 “그 동안 이에 대한 수천 건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며 “이는 COVID-19에 대한 연구의 질적 수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론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사진 : Alfred Hospital 제공

 

▲ COVID-19는 호흡기 질환이지만 폐 이상에 영향을 미친다= COVID-19라는 이름이 붙여지기 전, 중국 우한(Wuhan)에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들이 급증했던 것에서 알 수 있듯 이 바이러스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이전의 ‘SARS-CoV-2’는 주로 폐와 호흡기에서 발견되는 인체의 ACE2 수용체에 결합한다. 맥글로울린 박사에 따르면 감염 환자의 경증, 중증에 관계없이 이 질병이 일반적으로 호흡기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몇 달 사이의 연구를 보면 COVID-19가 폐만 공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게 분명해졌다. ACE2 수용체는 또한 심장, 혈관 및 신장에서도 발견되며, 이 질병은 인체의 여러 장기에도 손상을 가한다는 게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결과이다.

맥글로울린 박사는 “중증 상태인 환자에게서 혈전이 생기는 것처럼 보인다”며 “이는 현재 잘 알려져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심혈관 손상, 뇌졸중 및 기타 신경학적 증상에 대해서도 보고되고 있다. 통 박사는 “일반적으로 이 질병은 두 단계로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변에 바이러스가 많고 또 이의 복제가 활발한 초기 단계가 있는데, 그러면 인체의 면역체계가 이를 약화시킨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면역체계가 과잉 반응하여 폐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손상을 주는 면역매개의 염증 반응(immun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을 일으킨다.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 인체에 바이러스가 침투했을 때 면역 작용이 과다하게 이뤄져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현상)으로 알려진 이 반응은 면역체계가 과하게 작용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건강한 세포를 잘못 공격하는 추가 염증 단백질을 방출할 때 발생한다.

이는 급성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적은 산소를 혈류에 공급하게 된다. 즉 장기에 필요한 산소를 박탈하는 것이다.

 

▲ 고령의 나이, COVID-19로 인한 사망의 한 요인이다= ‘전 세계적 전염병’(pandemic)으로 선포된 이래 COVID-19로 인한 심각한 질환, 사망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동일했다. 고령의 나이 그리고 면역체계가 손상된 이들이 COVID-19에 더 취약하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진들은 당뇨와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이들, 과체중인 사람들도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왜 어떤 이들은 다른 사람들, 즉 바이러스의 심각한 영향을 받는 이들에 비해 덜 심하게 앓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대해 맥글로울린 박사는 “모든 종류의 감염을 다룰 때 보이는 일반적인 문제”라고 설명한다.

통 박사도 “면역반응의 모든 측면이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고 전제한 뒤 “임상의는 ‘누가 더 잘 견딜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환자의 나이는 질병으로 사망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인 것 같다”고 말했다. “어린 나이, 10대나 20대의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

 

▲ 치료시간이 길다= 맥글로울린 박사는 “COVID-19의 더 놀라운 요소 중 하나는 바이러스가 사라진 이후에도 질병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불행히도 위독할 정도로 건강이 좋지 않은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경우 중환자실에서 아주 오랜 시간 치료를 받아야 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COVID-19 중증 환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기간이 다른 유사 질병에 비해 더 긴 경향이 있으며 환자가 완전히 회복하기까지 최대 2개월이 걸릴 수도 있다”면서 “긍정적 측면에서 많은 환자들이 좋은 회복을 보이지만, 그렇게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8-3.jpg

‘Royal Melbourne Hospital’의 COVID-19 중증환자 집중치료실. 이전의 바이러스 사례와 달리 COVID-19 중증 환자의 경우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지만 의료진들은 점차 더 나은 치료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지속적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집중치료를 받는 이들뿐만이 아니다. COVID-19 치료에서의 일회적 보고들, 증가하는 연구 결과를 보면 경미한 증상을 앓는 이들도 감염이 해결된 이후 몇 달 동안 지속적으로 피로와 숨가뿜, 신경 또는 인지적 문제(brain fog)에 시달리기도 한다.

맥글로울린 박사는 “이는 COVID-19 감염자의 10%에 해당되는 사례일 것”이라며 “하지만 대다수는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일상의 삶으로 돌아간다”고 말했다.

 

▲ 점차 나아지는 COVID-19 치료= 맥글로울린 박사는 “호주의 경우 COVID-19 발병 사례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더 늦게, 덜 폭발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임상의들에게 이에 대비하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 해 주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호주는 두 가지 유리한 점이 있다. 하나는 COVID-19 감염 확진 사례가 다른 국가보다 덜하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정부 차원의 ‘COVID-19 임상증거 태스크포스’(National COVID-19 Clinical Evidence Taskforce)이다. 이 대응팀은 COVID-19 치료 지침에서 ‘최상의, 그리고 최신 증거’를 반영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성됐다.

맥글로울린 박사는 “우리(호주)의 임상 결과가 이를 반영한다”며 “호주의 집중치료 결과는 아주 좋았다”고 말했다.

통 박사 또한 “COVID-19 치료에 대한 조정되고 측정된 접근방식이 호주의 바이러스 치료 상황을 매우 좋은 위치에 올려놓았다”고 진단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호주 임상의들은 입증된 약물치료 이상으로 중증 환자의 치료개선 방법을 찾아냈다. 의사들은 등을 바닥에 대고 누워 있도록 하는 것보다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워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는 것을 발견했다. 통 박사는 “등을 대고 누울 경우 산소 수치가 악화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가능한 인공호흡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다. 한 번 호흡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를 떼어내는 것이 어려웠던 것이다.

이처럼 COVID-19 사태 10개월이 지나면서 의료진들의 축적된 경험은 점차 보다 나은 치료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8-1.jpg (File Size:50.8KB/Download:19)
  2. 8-2.jpg (File Size:69.2KB/Download:21)
  3. 8-3.jpg (File Size:85.2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97 호주 2022년,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은 NSW 주 ‘tree-change’ 타운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6 호주 블루마운틴 카운슬, 일부 타운 및 관광 사이트 ‘유료주차’ 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5 호주 올해 ‘Australia's best beach’로 선정된 ‘SA3’ 지역의 주택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4 호주 캔터베리-뱅스타운, 불법 폐기물 투기 단속 강화... 적발 건수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3 호주 연방 기술훈련부, ‘Australian Apprenticeships Priority List’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92 호주 텍스트 생성 인공지능 ‘ChatGPT’ 등장, 이를 활용한 학업 부정행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91 호주 사립학교 학비 높은 광역시드니, 두 자녀 교육비 1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90 호주 재미로 보는 호주 이야기- 호주에 들어온 낙타, 건조한 지역에서 가치 입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9 호주 심각한 도박 손실... NSW 주, 지난해 92일 만에 포커머신으로 21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8 호주 남부호주 ‘스톡스 베이’,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3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7 호주 2022년 출생한 NSW 주 신생아 부모가 가장 많이 선택한 이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6 호주 2019-2022년 사이, 급격한 인구증가 기록한 교외-지방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5 호주 ABS 공식 소비자 물가, 지난 한해 7.8% 상승...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4 호주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일부 도시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 추세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3 호주 NSW 경찰청, 주 전역서 가정폭력 가해 고위험자 대상의 합동작전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4682 호주 “영주비자 처리 과정상의 문제로 임시 숙련기술 인력 이탈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4681 호주 증가하는 사립학교 입학생... 공립학교 교육에 비해 나은 것이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4680 호주 NSW State election- “여성 후보 확보하지 못한 자유당, 승리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4679 호주 “올해 호주인 해외여행자, 전염병 사태 이전 수준의 기록적 한 해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4678 호주 1월 24일부터 광역시드니 유료 도로 통행료 보조금 환급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