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위험운전).jpg

호주인들의 위험 운전 행동 가운데 가장 많이 행하는 것으로 음식물 섭취,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운전, 휴대전화로 문자 메시지 보내기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Y세대 운전자들의 운전 습관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Safe Driving Report... 운전자 62%, 도로운행 중 ‘위험행동 했다’ 인정

 

호주인들의 가장 위험한 운전 습관은 어떤 행위일까를 알아보는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들은 운전 도중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엄지와 검지 발가락에 끼는 슬리퍼(thongs)를 신고 운전하는 행위를 가장 위험한 습관으로 인정했다.

생활 전반의 제품, 가격들을 비교해 제시하는 ‘Finder.com.au’가 실시한 ‘Safe Driving Report’에 따르면 특히 Y세대의 경우 운전 도중 스마트폰으로 SNS를 사용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수신-전송하는 등 위험한 행동을 한다는 이들이 78%에 달했다.

1천800명 이상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의 62%는 운전 도중 위험한 행동을 하고 있음을 인정했다.

이들이 운전 도중 가장 많이 행하는 위험 행동은 운전 도중 테이크어웨이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휴대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습관이었다. 또한 운전대를 잡은 채 흡연을 하거나 뒷좌석의 아이들과 장남을 치고, 심지어 한손으로 휴대전화를 들고 통화를 하기도 했다고 인정한 이들이 9%에 달했다.

Finder.com.au 사의 자동차 보험 담당자인 베시 하산(Bessie Hassan)씨는 이번 조사의 일부 항목에서는 지난해 조사 보고서와 달리 위험행동 수치가 줄어든 것에 반가움을 표했다.

그녀는 “지난해 조사 이후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전화기를 한손에 들고 통화하는 이들은 줄어들었다”며 “운전자들이 호주의 치명적 사고 원인에 대한 뉴스를 보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하산씨는 “운전자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운전 도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험 행동을 했을런지는 모르지만, 어찌 되었든 안전을 해치는 행동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 NSW 주와 남부 호주(South Australian) 주의 운전자들이 가장 안전한 운전 습관을 갖고 있으며 빅토리아(Victoria)와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의 운전자들은 64%가 운전 도중 위험한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부 호주 운전자의 경우 ‘텅’(thongs)을 신고 운전하기도 한다는 이들이 전체의 37%에 달한 반면 NSW-빅토리아 주는 29%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보다 안전 운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들 가운데는 운전 도중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텅’을 신고 운전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번 조사 결과 베이비붐 세대(Baby Boomers) 세대가 가장 안전 운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59%가 운전 도중 위험 행동은 전혀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었다.

하산씨는 “조사 결과, 도로운전 중 위험 행동이 본인은 물론 다른 사람들까지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대부분이 응답자들이 인정하고 있다”면서 “운전 도중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뒷좌석에 탄 이들과 장난을 하는 것이 아무렇지 않은 행동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이라고 강조했다.

운전 도중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고 통화를 하는 것은 호주의 모든 주(State)에서 불법으로 간주되며 벌점과 범칙금이 부과된다.

운전 중의 여러 위험 행동에 대해 단속 규정이 입법화된 것은 아니지만 일부 행위에 대해서는 강제적 제재 대상이 되고 있다. 빅토리아 주에서는 ‘합리적인 운전자가 지켜야 할 세심한 주의와 집중을 하지 않았다’는,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는 ‘부주의한 운전’(careless driving) 항목으로 기소될 수도 있다.

 

■ 가장 흔한 위험운전 습관

-Eaten takeaway : 38%

-Driven in thongs : 31%

-Sent a text message : 20%

-Smoked : 14%

-Reached back to deal with children : 14%

-Answered a call directly to my ear : 13%

-Driven with my knees : 9%

-Used social media : 8%

-Microslept : 6%

-Changed clothes : 5%

-Applied makeup : 5%

-Watched a movie : 2%

-Read the newspaper / a book : 2%

Source: Finder.com.au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위험운전).jpg (File Size:43.9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6 호주 60th anniversary of the iconic Australian 'Sunliner' caravan...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5 호주 젊은이들, ‘내집 마련’ 하려면 먼저 자동차부터 버려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4 호주 가족 나들이 제격... ‘카브라마타 추석 페스티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템페(Tempa) 소재 코티지, ‘부동산 활황’ 당시 가격에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2 뉴질랜드 탄산 음료 등에 부과하는 Sugar Tax 뉴질랜드 체택할까? NZ코리아포.. 18.09.13.
3551 뉴질랜드 뉴질랜드 보험 업계, 무법천지 NZ코리아포.. 18.09.13.
3550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약세, 관광산업 호황 예상돼 NZ코리아포.. 18.09.13.
3549 뉴질랜드 노인들, 고위험군 약물 사용에 대한 경고 NZ코리아포.. 18.09.12.
3548 뉴질랜드 해변 주택들 위협하는 집채만한 파도들 NZ코리아포.. 18.09.11.
3547 뉴질랜드 해양보존구역에서 전복 채취하다 주민신고로 붙잡힌 남성들 NZ코리아포.. 18.09.11.
3546 뉴질랜드 발리 휴가 중 혼수 상태 빠진 키위여성, 결국 숨져 NZ코리아포.. 18.09.11.
3545 뉴질랜드 서쎅스 공작인 해리 왕자 부부, 다음달 뉴질랜드 방문 NZ코리아포.. 18.09.11.
3544 뉴질랜드 뉴질랜드 민물고기 어종, 멸종위기 NZ코리아포.. 18.09.10.
3543 뉴질랜드 가정 폭력과 자해 또는 자살은 깊은 관계있어 NZ코리아포.. 18.09.10.
3542 뉴질랜드 지진으로 훼손된 CHCH 대성당 “지금은 고양이 가족의 보금자리” NZ코리아포.. 18.09.09.
3541 뉴질랜드 호주 숲에서 하이킹했던 키위 남성 "귀국하니 귓속에서 진드기가..." NZ코리아포.. 18.09.09.
3540 뉴질랜드 납치 테러위험 ,키위들 태국 방문에 경고 NZ코리아포.. 18.09.09.
3539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안 바닷물 80%, 미세 플라스틱 입자 발견돼 NZ코리아포.. 18.09.08.
3538 뉴질랜드 NZ정찰기 “유엔의 북한 제재 감시활동 협조차 일본에 파견” NZ코리아포.. 18.09.08.
3537 뉴질랜드 얼음 호수 위에 등장한 환상의 캠핑장 NZ코리아포.. 18.09.08.
3536 뉴질랜드 키위 여성 유방암 사망, 다른 나라보다 2배 빨라 NZ코리아포.. 18.09.08.
3535 호주 연방정부, “가뭄 피해 농가 돕기 우유 소비세 도입 바람직하지 않다” 톱뉴스 18.09.06.
3534 호주 노인 펜션 수급 기준 연령 상향조정 계획 ‘백지화’ 톱뉴스 18.09.06.
3533 호주 RBA 기준금리1.50% 유지 결정…25개월 째 동결 톱뉴스 18.09.06.
3532 호주 집권 여당에 대한 유권자 불신, 70년대 이후 ‘계속’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1 호주 집권 여당의 리더십 부재, 10년 사이 6차례 총리 바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0 호주 스콧 모리슨, 고령연금 수령 연령 ‘70세 변경안’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9 호주 “미국의 ‘소득공유’, HECS 문제의 대안일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8 호주 응급 차량 비상등 보이면 운행속도 늦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7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1)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6 호주 CBD의 늘어나는 소규모 바(bar), 시드니 ‘night-life’ 변화 조짐?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5 호주 퍼스 조폐국, 호주 역사상 최고가 희귀동전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4 호주 오피오이드 과다복용 증가... 사망자 수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3 호주 타스마니아 관광 붐... 한 해 여행자 140만 명으로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2 호주 봄 시즌, 시드니 주택 가격 상승 예상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1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5개월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0 호주 웬트워스 포인트 대규모 주택단지 ‘생츄어리’ 개발 허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노스 윌로비 주택, 잠정 가격서 153달러 높은 가격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8 뉴질랜드 항만 사고로 숨진 20대 “6명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하고 떠났다” NZ코리아포.. 18.09.06.
3517 뉴질랜드 경마업계 “승부조작으로 여럿 체포돼, 관련 산업계에 큰 파문” NZ코리아포.. 18.09.06.
3516 뉴질랜드 재무국 “순이민자 감소 추세, 예상보다 빨라 경제 우려된다” NZ코리아포.. 18.09.05.
3515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 전 취업하는 젊은 키위 수 증가 NZ코리아포.. 18.09.05.
3514 뉴질랜드 10년 연속 ‘대양주 최고 항공사’로 선정된 Air NZ NZ코리아포.. 18.09.04.
3513 뉴질랜드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전자제품 수명, 가장 짧아 NZ코리아포.. 18.09.04.
351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3511 뉴질랜드 한 캐나다 연금재단, 오클랜드 경전철 사업 참여 의사 표해 NZ코리아포.. 18.09.04.
3510 뉴질랜드 호수로 돌진해 다친 운전자 구해낸 주민들 NZ코리아포.. 18.08.31.
3509 뉴질랜드 고양이 문제로 갈등 겪는 사우스랜드의 작은 마을 NZ코리아포.. 18.08.31.
3508 뉴질랜드 공중수송 경연대회에서 호주와 캐나다 이긴 NZ 공군 NZ코리아포.. 18.08.31.
3507 호주 웨스트팩, 주택대출금리 전격 인상...정부 "이유를 설명하라" 톱뉴스 18.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