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rule 변경).jpg

NSW 주 정부가 공공보건명령 완화 계획을 변경함에 따라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은 현재의 제한 규정을 12월 15일까지(또는 접종률 95% 도달 시점까지) 더 오래 적용받게 됐다. 사진은 야외 공원에서 저녁 시간을 즐기는 시민들.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타인 가정 방문 가능인원 제한 폐기-접객업소 고객 밀도 규정 2제곱미터로

COVID-19 안전을 위한 관행 준수 '필수', 증상 확인시 즉각 검사 받아야

 

NSW 주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정부가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계획을 변경했다. 이제 예방접종을 완료한 이들은 보다 일찍 더 많은 자유를 얻게 됐다. 애초 세 단계 완화 로드맵에서 마지막 단계인 12월 1일부터 부여되는 완화 규정이 11월 8일(월)부터 가능해진 것이다.

 

반면 현재까지 백신접종을 기피해 온 이들이 여러 부문에서의 ‘제한 완화’를 누리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 변경 내용은= 백신접종을 완료한 이들은 11월 8일(월)부터 보다 폭넓은 완화 규정을 적용받는다. 누군가의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인원 제한이 없어지고 1천 명 미만의 야외모임에 따른 규정도 폐기된다. 나이트클럽에서는 댄스 플로어에서 춤을 즐길 수 있으며 실내 수영장은 수영강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각 접객업소 및 소매점의 밀도 규정, 즉 고객 1명당 4제곱미터 공간 규정이 2제곱미터로 줄어들며 영화관, 경기장 등 고정된 좌석이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설은 100% 고객 수용이 허용된다. 다만 테마파크, 동물원 등은 2제곱미터의 밀도 제한이 적용된다.

 

▲ 변경되지 않은 부문은= 체육관 및 댄스교실의 한 차례 강습 인원은 20명 제한 규정에 변함이 없다. 또 슈퍼마켓 등에서의 안면 마스크 착용 의무는 12월 15일까지 지속된다.

 

▲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이들은= 본래 계획에서는 오는 12월 1일부터 모든 이들에게 동일한 완화 조치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백신 기피자들은 NSW 주의 16세 인구 95%가 완전 접종을 완료할 때까지 또는 12월 15일(두 가지 가운데 더 이른 시점에서)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 시점에 이를 때까지 계속 폐쇄 상태에서 지내야 한다.

 

백신기피자들은 슈퍼마켓 등 필수 사업체에 입장할 수 있지만 접객업소나 체육관, 비필수 소매점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다만 유일하게 가능한 것은 예배장소 참석이다.

 

▲ ‘완화 로드맵’ 변경 이유는=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는 예상보다 빠른 백신접종률 및 추가접종(booster shots) 시행으로 애초 계획보다 이른 시간에 더 많은 부문에서 제한 완화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주 총리는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에 대한 규정 완화 시기를 연기하면서 이들의 백신접종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주 총리는 “우리 주의 접종 비율을 최대 95%까지 올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이는 호주 내에서 뿐 아니라 전 세계 국가들 가운데서도 가장 앞선 접종률”이라고 말했다.

 

주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는 “제한 완화 로드맵 변경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COVID-19 안전 관행을 준수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찬트 박사는 “백신을 접종받았다 해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감염여부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이런 작은 조치들이 지역사회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실질적으로 대책”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rule 변경).jpg (File Size:126.0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7 호주 기상청, 올 여름 ‘엘니뇨 선포’... 일부 도시들, 극심한 여름 더위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6 호주 연방정부, 구직자들에게 디지털 ID 제공하는 ‘국가 기술여권’ 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5 호주 시드니 BTR 임대주택 건설, ‘높은 토지가격-실행 가능한 부지 부족’이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4 호주 각 주택의 확산되는 전기 생산 태양열 패널, 발전회사의 전기가격 ‘잠식’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3 호주 ‘Voice to Parliament’ 국민투표 ‘가결’된다면, 호주 헌법 변경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2 호주 이제는 ‘$2 million club’... QLD 남동부 해안 주택, 2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1 호주 “호주 근로자들, 생산성 둔화로 연간 2만5,000달러의 ‘몫’ 잃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0 호주 원자재 가격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연방정부, 220억 달러 ‘예산 흑자’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49 호주 네 번째 감염파동 오나... ‘고도로 변이된’ COVID 변종, 호주 상륙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48 호주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 개인정보 보호-안전 문제 ‘우려’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7 호주 매일 2천 명, 입국 러시... 호주 인구, 역사상 최대 기록적 속도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6 호주 Age Pension-JobSeeker-Youth Allowance 등 정부 보조금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5 호주 연방정부의 100억 달러 ‘Housing Australia Future Fund’, 의회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4 호주 NSW budget 2023-24; 올해 예산계획의 Winner와 Loser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3 호주 NSW budget 2023-24; 늘어난 주 정부 세수, 올해 예산계획에 ‘반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2 호주 8월 호주 노동시장, 6만5천 명 신규 고용... 실업률 3.7%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1 호주 ‘Online Fitness to Drive’, 고령층 ‘운전면허 유지’ 결정에 도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0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겪는 시드니, ‘매년 100억 달러의 경제적 타격’ 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5039 호주 NSW 주 정부, 의료부문 인력 확보 위해 학생 대상 ‘보조금’ 대폭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5038 호주 NAPLAN 데이터, 학업성취 측면에서 단일성별 학교의 이점 ‘부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