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 차이 1).jpg

전염병 사태에서 좀 더 넓은 독립형 단독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단독주택과 유닛 가격 차이가 더욱 크게 벌어졌다. 사진은 모스만(Mosman)의 해안 주거지역. 모스만의 단독주택 가격은 아파트에 비해 4배 이상 높다. 사진 : DiJones Real Estate

 

단독주택 159만 달러-유닛은 80만... 2019년 54% 수준서 이제는 두 배 차이

 

팬데믹 상황은 많은 이들에게 고밀도의 주거지보다는 외부와의 접촉이 덜하고 또 재택근무를 고려해 보다 넓은 규모의 주택을 원하게 만들었다. 여기에다 원격근무가 가능해짐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 해안 지역 주택 수요가 크게 높아졌다. 전염병 사태가 이어지는 와중에 광역시드니의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것은 이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사례이다.

이런 상황에서 독립형 주택과 아파트 등 유닛의 가격차이도 크게 벌여져 업사이즈를 원하는 이들은 더 많은 예산 책정을 감안해야 한다. 특히 유닛에서 거주하다가 단독주택으로 이주하려 한다면 약 3년 전에 비해 두 배가량의 비용이 더 필요하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독립형 단독주택과 유닛 사이의 가격 차이는 거의 두 배에 달하며 갈수록 이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 시드니 단독주택의 중간 가격은 159만1,000달러에 이른다. 반면 유닛의 중간 가격은 79만6,500달러로, 이 격차는 79만4,500달러이다. 이 같은 중간 가격 차이는 2019년 말까지만 해도 50%를 약간 넘었으나 지금은 거의 100%,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도메인’ 사의 통계분석 책임 연구원인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지난 2년 사이 단독주택 가격이 유닛에 비해 6배나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면서 “이는 보다 넓은 주거지를 원하는 구매자 수요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말 이후 시드니 주택시장 성장세가 크게 주춤한 상황이지만(지난해 마지막 분기 가격 상승률이 정체되고 유닛 가격은 1.2% 하락) 두 주거지 유형 간의 가격 차이는 여전히 크게 남아 있다.

이런 가운데 파월 박사는 이 격차가 다소 좁혀질 가능성은 있다고 진단했다. 올 들어 주택시장이 다소 냉각되면서 유닛 가격이 먼저 하락세를 보였지만 지난 호황기 동안 단독주택 가격이 강한 성장세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하락폭 또한 클 것이라는 설명이다.

 

부동산(가격 차이 2).jpg

단독주택과 유닛 사이의 가격 격차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 도심에서 먼 외곽 또는 센트럴 코스트(Central Coast)는 아직 그 격차가 크지 않은 편이다. 사진은 노스 고스포드(North Gosford)의 주택가. 사진 : GITTOES

   

여기에다 해외 근로자나 국제학생들이 다시 호주로 유입되면서 임대주택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아파트에 투자하려는 이들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예비 구매자들이 크게 치솟은 단독주택을 피해 유닛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도 유닛 가격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단독주택과 유닛 사이의 가격 격차는 지역에 따라서도 크게 다르다. 광역시드니 먼 외곽이나 센트럴코스트 등에서는 그 차이가 크기 않지만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 노스쇼어(north shore) 및 이너웨스트(inner west)에서는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광역시드니에서 가장 높은 주택가격을 보이는 동부 버클루즈(Vaucluse)의 중간 주택가격은 유닛에 비해 5배가 높으며 인근 벨뷰힐(Bellevue Hill),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의 모스만(Mosman), 이너웨스트의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도 4배 이상 차이를 보인다.

파월 박사는 “주택에 지불하는 프리미엄이 높은 이들 지역에서 유닛 소유자가 단독주택으로 업사이징(upsizing) 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광역시드니에서 가격 차이가 가장 적은 교외지역(suburb)은 시드니 남서부, CBD에서 남서쪽으로 약 40km 거리에 있는 잉글번(Ingleburn)으로, 그 격차는 10% 미만인 6만6,000달러였다.

또 리버스톤(Riverstone. CBD에서 남서쪽으로 48km 거리), 퀘이커스힐(Quakers Hill. 북서쪽 40km 거리), 노웨스트(Norwest. 북서쪽 35km 거리), 센트럴코스트의 테리걸(Terrigal)도 30% 미만으로 단독주택과 유닛 사이의 가격 차이가 적은 지역이다.

부동산 중개회사 ‘BuyerX’의 하마다 알라메딘(Hamada Alameddine) 에이전트는 “중간 주택가격이 240만 달러인 이너웨스트에서 중간 가격 80만 달러의 유닛 소유자가 업사이징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부동산(가격 차이 3).jpg

현재 시드니의 단독주택 중간가격은 유닛의 두 배에 달한다. 이는 유닛을 소유함으로써 자본 이득을 통해 보다 큰 주택으로 업사이징(upsizing) 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음을 의미한다. 사진은 시드니 남부 코가라(Kogarah)의 한 유닛. 사진 : RayWhite

   

“아파트를 소유한 이들은 더 낮은 가격 상승을 보았고, 이로써 적은 자본을 축적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이들은 단독주택 가격이 더 저렴한 지역의 큰 주택을 물색하거나 같은 지역에서 더 넓은 아파트를 찾고 있다.

하지만 팬데믹 사태가 시작된 이후 적은 공급으로 업사이징도 이전처럼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동산 서비스 사 ‘BuyersBuyers’의 공동 설립자인 피트 워전트(Pete Wargent)씨는 “재고 부족에 가격마저 크게 치솟음으로써 지난 2~3년 사이 더 큰 주택을 원하는 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 단독주택-유닛 가격차이 큰 지역

(Suburb : 단독주택 중간가격 / 유닛 중간가격 / 가격 차이 / 비율)

-Vaucluse : $8,175,000 / $1,500,000 / $6,675,000 / 445.0%

-Strathfield : $3,400,000 / $700,000 / $2,700,000 / 385.7%

-Bellevue Hill : $7,350,000 / $1,550,000 / $5,800,000 / 374.2%

-Greenwich : $3,653,750 / $840,000 / $2,813,750 / 335.0%

-Mosman : $4,850,000 / $1,200,000 / $3,650,000 / 304.2%

-Killara : $4,250,000 / $1,055,000 / $3,195,000 / 302.8%

-Bronte : $5,400,000 / $1,450,000 / $3,950,000 / 272.4%

-Roseville : $3,800,000 / $1,057,500 / $2,742,500 / 259.3%

-Concord : $2,715,000 / $775,000 / $1,940,000 / 250.3%

-Kensington : $3,350,000 / $975,000 / $2,375,000 / 243.6%

Source: Domain

 

■ 단독주택-유닛 가격차이 적은 지역

(Suburb : 단독주택 중간가격 / 유닛 중간가격 / 가격 차이 / 비율)

-Ingleburn : $756,000 / $690,000 / $66,000 / 9.6%

-Riverstone : $950,000 / $810,000 / $140,000 / 17.3%

-Quakers Hill : $950,000 / $789,990 / $160,010 / 20.3%

-Norwest : $1,400,000 / $1,150,000 / $250,000 / 21.7%

-Terrigal : $1,465,000 / $1,135,000 / $330,000 / 29.1%

-The Entrance : $840,000 / $602,500 / $237,500 / 39.4%

-Jordan Springs : $860,000 / $595,000 / $265,000 / 44.5%

-North Gosford : $764,500 / $526,250 / $238,250 / 45.3%

-St Marys : $650,000 / $440,000 / $210,000 / 47.7%

-Ettalong Beach : $1,075,000 / $710,000 / $365,000 / 51.4%

Source: Domain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가격 차이 1).jpg (File Size:149.4KB/Download:3)
  2. 부동산(가격 차이 2).jpg (File Size:118.6KB/Download:3)
  3. 부동산(가격 차이 3).jpg (File Size:119.0KB/Download: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5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3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2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1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0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8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7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6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5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3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2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1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0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8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7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6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5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3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2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1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0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8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7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6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5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