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QLD 도로사망 1).jpg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Queensland) 주를 비롯해 NSW,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 도로교통 사고로 목숨을 잃는 이들이 이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관계자들은 경찰 업무가 팬데믹 봉쇄에 집중됨으로써 단속이 느슨해짐에 따라 일부 운전자들의 규정 미준수 행동이 사고발생 비율을 높인 것으로 진단한다. 사진은 QLD의 한 지방 도로. 사진 : Queensland Government

 

경찰의 ‘lockdown’ 집중 틈타 일부 운전자들, 과속운전-휴대전화 사용 증가

QLD-NSW-VIC 등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 팬데믹 이후 사고발생 비율 높아져

 

전염병 관련 규제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고 자동차 여행이 증가하는 가운데 도로교통 사고를 우려하는 자료가 나왔다. 관계자들은 COVID 록다운이 운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올 들어 퀸즐랜드를 비롯해 NSW, 빅토리아 주에서도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이들의 수가 늘어났다고 경고했다.

QLD의 경우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도로 상에서의 사고 사망자는 2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3명에 비해 8% 증가했다. 또한 지난 5년간의 평균 사망자에 비해 21% 높은 수치이다.

QLD 경찰청의 자넬 앤드류스(Janelle Andrews) 부청장은 “운전자들이 규정을 준수했다면 202명의 사망 사례 대부분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앤드류스 부청장은 “도로 현장에서 우리가 확인하는 것은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은 채 산만하게 운전을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약물이나 술이 취한 상태에서 운전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한해 통틀어 QLD 전역의 도로에서는 총 30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난 2009년 331명이 사망한 이후 최악의 수치였으며, 8월 현재까지 사망자 수를 감안할 때 올해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NSW 주에서도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270명에서 올해 같은 기간에는 283명으로 도로교통 사망자가 늘어났다. 빅토리아 주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144명에서 올해에는 164명으로 13%가 증가했다.

 

‘록다운’에의 안주

 

도로사고 및 교통안전을 연구하는 퀸즐랜드 공과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re for Accident Research & Road Safety’의 테레사 센세릭(Teresa Senserrick) 교수는 COVID-19 봉쇄가 운전자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종합(QLD 도로사망 2).jpg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과속, 음주운전, 산만한 상태에서의 운전에서 발생되며, 그로 인한 심각성도 크다. 사진은 속도위반을 단속하는 QLD 주의 한 경찰. 사진 : Queensland Police Service

  

센세릭 교수는 “지난 2년여 동안 QLD 경찰이 주 경계(State Border) 봉쇄에 집중했다는 점은 운전자들의 운전습관이 바뀌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 예로, 미디어를 통해 경찰의 업무가 주 경계의 통행 차단을 강화하는 쪽으로 집중되었음이 알려지면서 운전자들은 경찰의 도로교통 단속이 느슨해졌음을 알게 됐고, 이로써 규정을 위반하여 운전하는 행동이 증가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동 센터는 봉쇄 전후의 운전자 행동을 조사했으며 이를 통해 COVID-19 제한 조치가 강화됐던 시기, 운전자들의 습관이 나빠졌고 위험하게 운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센세릭 교수는 “조사 결과 예전에 음주 상태에서 운전을 하지 않았던 이들도 (경찰 단속이 거의 사라짐에 따라) COVID 기간에는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하기도 했다는 답변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팬데믹 사태 이후 사람들이 대중교통(많은 이들이 운집한)을 이용하기보다 자동차 운전을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했음도 도로교통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전벨트 미착용,

의외로 많이 적발

 

QLD의 도로교통 피크 단체인 RACQ(Royal Automobile Club of Queensland)가 이달 초 내놓은 ‘교통안전 조사’는 운전자의 거의 74%가 규정 속도를 넘어 과속을 했음을 보여준다.

또 약 41%의 운전자는 아주 피곤한 상태에서, 13%는 잠재적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운전을 했다. 뿐 아니라 거의 30%는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주의가 산만해진 상태에서 운전했음을 시인했다.

센세릭 교수는 운전자들의 과속은 여전히 계속되는 문제이지만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의 경우 주 정부가 이를 탐지해내는 감시 카메라를 도입함으로써 이미 성공적인 억제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QLD 도로사망 3).jpg

퀸즐랜드(QLD) 주 경찰청이 새로 도입한 특수 카메라는 안전벨트 미착용, 운전 중의 휴대전화 사용을 적발해낸다. 사진 : QLD 주 교통 및 주요 도로부(Transport and Main Roads)

   

하지만 안전벨트 미착용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다. 센세릭 교수에 따르면 수십 년 전 호주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법으로 도입하는 데 있어 전 세계를 주도했지만 감시 카메라 도입 후를 보면 이를 착용하지 않은 채 운전하는 이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QLD 경찰청의 앤드류스 부청장은 “이 새로운 카메라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안전벨트 미착용 운전자 및 탑승자를 정기적으로 적발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신체적 부상 사례,

크게 늘어나

 

도로교통 사고로 다행히 목숨을 잃지는 않지만 부상을 입는 사례 또한 더욱 증가했다. 지난해 QLD 전역의 도로에서는 총 7,863건의 충돌사고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병원에 입원했다. 이는 2020년에 비해 12% 증가한 수치이다.

앤드류스 부청장은 “심한 충돌, 치명적 사고를 조사하는 우리의 법의학 부서는 문제의 심각성을 분명하게 느끼고 있다”면서 “사고를 입은 피해자들의 이후 영향을 감안해 운전자들에게 규정 준수와 안전운전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교통사고에서, 사망자에 비해 심각한 부상과 관련한 영향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센세릭 교수도 “도로에서의 안전운전을 상기시키는 데 있어 사망자 수치가 주로 활용되었지만 이제는 국가적 관심이 ‘교통사로로 인한 심각한 부상의 영향’을 알리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QLD 도로사망 1).jpg (File Size:135.8KB/Download:5)
  2. 종합(QLD 도로사망 2).jpg (File Size:88.5KB/Download:4)
  3. 종합(QLD 도로사망 3).jpg (File Size:70.1KB/Download: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31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하락-상승한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6230 뉴질랜드 오클랜드 홍수복구와 대청소 주간 일요시사 23.02.10.
6229 뉴질랜드 아던총리 욕설파문 속기록, 옥션에 붙여 10만불 기부 일요시사 23.02.10.
6228 뉴질랜드 저신다 아던 총리 사임 후임총리 '크리스 힙킨스' 당선 확정 일요시사 23.02.10.
6227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 ‘삶의 만족도’ 회복 중... 생활비 고통은 ‘uncharted waters’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6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자녀의 공립 Boys' High School 등록 기피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5 호주 COVID-19의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선포 3년... 향후 바이러스 예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4 호주 NSW 주 정부, 도박 산업 개혁 위해 향후 3억4천만 달러 투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3 호주 호주 ‘민주주의 수준’ 평가... 8.71점으로 전 세계 167개 국가 중 15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3.35%로... 로우 총재, “추가인상 필요”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1 호주 NSW 주 하이스쿨, 교내 휴대전화 ‘사용 제한’ 확대... 전년대비 60%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20 호주 ‘Hi Mum 사기’와 함께 구직자 노린 ‘Recruitment Scams’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9 호주 2023 Women's World Cup 개막 경기, ‘Stadium Australia’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8 호주 NSW 경찰, ‘커뮤니티 온라인 포털’ 이용한 성폭력 신고 옵션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7 호주 2022년,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은 NSW 주 ‘tree-change’ 타운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6 호주 블루마운틴 카운슬, 일부 타운 및 관광 사이트 ‘유료주차’ 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5 호주 올해 ‘Australia's best beach’로 선정된 ‘SA3’ 지역의 주택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4 호주 캔터베리-뱅스타운, 불법 폐기물 투기 단속 강화... 적발 건수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213 호주 연방 기술훈련부, ‘Australian Apprenticeships Priority List’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12 호주 텍스트 생성 인공지능 ‘ChatGPT’ 등장, 이를 활용한 학업 부정행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11 호주 사립학교 학비 높은 광역시드니, 두 자녀 교육비 1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10 호주 재미로 보는 호주 이야기- 호주에 들어온 낙타, 건조한 지역에서 가치 입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9 호주 심각한 도박 손실... NSW 주, 지난해 92일 만에 포커머신으로 21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8 호주 남부호주 ‘스톡스 베이’,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3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7 호주 2022년 출생한 NSW 주 신생아 부모가 가장 많이 선택한 이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6 호주 2019-2022년 사이, 급격한 인구증가 기록한 교외-지방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5 호주 ABS 공식 소비자 물가, 지난 한해 7.8% 상승...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4 호주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일부 도시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 추세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3 호주 NSW 경찰청, 주 전역서 가정폭력 가해 고위험자 대상의 합동작전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6202 호주 “영주비자 처리 과정상의 문제로 임시 숙련기술 인력 이탈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201 호주 증가하는 사립학교 입학생... 공립학교 교육에 비해 나은 것이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200 호주 NSW State election- “여성 후보 확보하지 못한 자유당, 승리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9 호주 “올해 호주인 해외여행자, 전염병 사태 이전 수준의 기록적 한 해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8 호주 1월 24일부터 광역시드니 유료 도로 통행료 보조금 환급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7 호주 World's busiest flight routes... 서울-제주 구간, ‘가장 많은 이용객’ 노선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6 호주 NZ 자신다 아던 총리, ‘깜짝’ 사임 발표, 후임은 힙킨스 교육부 장관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5 호주 전국 주택임대료 10.2% 상승... 최상위-하위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4 호주 NSW 주, “파트너 폭력 이력 확인 가능한 ‘Right To Know’ 시행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3 호주 백신자문 패널 ATAGI, 겨울 시즌 앞두고 다섯 번째 추가접종 고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2 호주 지난해 12월 일자리 수 크게 사라져... 실업률 3.5%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1 호주 간헐적 음주,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것에 비해 우울증 위험 낮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0 호주 가중되는 생활비 압박, 호주 중산층의 자선단체 지원 요청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89 호주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된 새로운 규정,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8 호주 COVID가 가져온 가정-직장생활의 변화,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7 호주 부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금수저들’, 향후에도 부 누릴 가능성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6 호주 전 세계 ‘파워풀 여권’은... 호주, 무비자 방문 가능 국가 185개 국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5 호주 2023년 호주 부동산 전망... 투자용 주택 구입에 좋은 시기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4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생활비 부담 가중 속, 호주 최상위층 부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3 호주 지난해 11월의 카타르 월드컵 열기, 올해 7월 호주-뉴질랜드서 이어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2 호주 “주 전역의 포커머신 수 줄이고 1회 도박 액수도 500달러로 제한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