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png

 


  며칠 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막 건너온 자전거 여행자 두 분을 만났다. 이 분들은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을 거쳐 우즈베키스탄의 히바, 부하라, 사마르칸드, 그리고 카자흐스탄의 침켄트를 경유하여 알마티에 왔다. 자전거로 세계 일주하는 의지의 젊은 친구들이었다. 이 친구들은 다른 어떤 중앙아시아 나라보다 우즈베키스탄 여행에서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어느 마을에나 들어가면 반드시 한국 말하는 현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젊은 시절에 한국에서 이주노동을 했다. 이들의 한국 말은 유창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었고 무엇보다 오랜만에 한국 사람을 만난다고 온갖 정성으로 대접을 한다.
일단 숙소는 무조건 자기 집이나 친척 집으로 데리고 간다. 그리고 저녁에는 양고기 샤슬릭과 보드카를 접대한다. 물론 우즈베키스탄의 당도 높은 과일이나 견과류는 기본이다. 술자리에는 동네 친구들과 친척들도 같이 모인다. 통역은 한국서 일한 우즈베키스탄 사람이 맡고 온갖 질문들이 쏟아진다. 가장 관심이 높은 질문은 어떻게 한국에 갈 수 있냐라는 실질적인 문제이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 풍성한 아침식사를 대접하고 다음 목적지의 친구 연락처를 준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게 한국 사람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냥 무조건 베푼다는 것이다.
  자전거 여행자들은 거주등록 문제 때문에 호텔에 며칠 잔거 말고는 거의 우즈베키스탄 현지 사람들 집에서 잤다고 한다. 저녁에는 간혹 한국 드라마도 같이 보고 주몽과 대장금, 이민호 이야기를 해주어야 했다. 가끔은 한국 노래도 불러야 했다. ‘사랑을 할거야’. ‘그런 사람 없습니다’ 등 발라드가 인기라고 한다.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이들의 이야기와 노래를 들으면서 한국으로 가는 꿈을 꾸었을 것이다.
  2015년 기준으로 한국에 있는 우즈베키스탄 체류자는 약 4-5만 명으로 추산된다. 약 2만 명은 주로 이주동자인데 이들은 보통 한국에 2-3년 정도 일하고 우즈베키스탄으로 귀국한다. 1996년부터 시작된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의 한국에서 이주노동은 20년이나 흘렀다. 그동안 한국 땅을 밟고 땀을 흘리며 일한 노동자들은 약 1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가운데 악덕 사장을 만나 임금을 제대로 못 받고 비인간적인 대접을 받은 사람들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다 우즈베키스탄 이주노동자들은 대체적으로 한국에서 이주노동에 크게 만족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실제적으로는 한국보다 러시아에 더 많이 이주노동을 한다. 한국은 연간 퀘타가 5천 명으로 제한되지만 러시아는 개인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그냥 건너가서 불법노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러시아로의 이주노동을 공식적으로 허가하지 않으면 국가적인 지원도 없다. 사정이 이러다보니 러시아로 간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은 임금 체불, 구타, 인종차별을 심하게 받는다. 반면 한국에서는 양국 정부가 관여하고 우리나라 사장님들 또한 상대적으로 인간적이다보니 문제될만한 일은 잘 생기지 않는다. 한국 사장님들도 힘 세고 말 잘 듣고 술 안 먹는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을 선호한다. 이주노동자들 가운데 선호 1순위이다.
  보통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이 한국으로 이주노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한국어 시험을 보아야 한다. 1년에 한번 열리는 한국어 시험은 지방 사람들이 수도 타쉬켄트에 대규모로 집결하는 장날이다. 이 어려운(?) 한국어 시험을 통과하고 보통 3년 정도 한국에 체류하는데 월 천 달러 정도를 모은다고 한다. 귀국할 때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은 대개 3만 달러 정도 돈을 모아서 고향으로 간다.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쉬켄트에서 대졸 취업자들의 월급이 300 달러인 것을 감안한다면 3만 달러의 가치는 엄청나다. 그야말로 한국에 한번 갔다 오면 집안이 일어나는 것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아직 거주이전의 자유가 없다. 지방사람들이 수도 타쉬켄트에서 와서 놀고먹고 잘 수는 있지만 거주등록과 노동허가증이 안 나오는 것이다. 물론 부동산도 살 수가 없다. 수도가 아닌 지방의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유일하게 한국을 통해 세계로 연결된다. 한류 드라마가 밤마다 텔레비전에서 나오고 한국 자동차, 전자제품을 사용한다. 여기에다 한국에 일하고 온 이주노동자들은 마을의 유지가 되어 한국이 어떤 나라인지 침 튀기며 자랑을 한다. 우즈베키스탄 관리들의 말에 의하자면 한국 갔다 온 놈들은 다 똑똑해져서 말을 잘 듣지 않는다고 한다. 게다가 한국서 장사하고 비즈니스 하는 것을 배워서 대부분 마을의 부자나 유지가 된다.
  우즈베키스탄 이주노동자들의 꿈은 다시 한 번 한국에 가 보는 것이다. 단순한 노동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 친구도 만나고 싶고 한국서 일 할 때 못가본 제주도나 에버랜드를 방문하고 싶어 한다. 그렇지만 우리 정부는 불법체류 문제 때문에 웬만한 경우가 아니면 비자를 잘 주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서 찾아온 사람들이 얼마나 반가워겠는가? 그동안 쓰지 못한 한국어도 말하고 한국 소식도 듣고 동네 사람들에게 자기 자랑도 되니 얼굴도 처음 보는 한국 손님들이 왔다면 버선발로 마중나가는 것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이중환율제로 달러를 사용하면 물가가 믿을 수 없을 만큼 싸다. 3성급 호텔은 20 달러, 양고기 샤슬릭은 하나에 1달러가 되지 않는다. 현지 볶음밥인 플럽은 1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멜론, 체리, 수박은 아무리 먹어도 돈이 안 나온다. 견과류도 공짜에 가깝다. 교통비도 한국에 비교하면 택시가 거의 버스 가격 수준이다. 100달러만 바꾸어도 풍성하게 쓸 수 있다.
  여행자에게 중요한 치안은 완벽하다. 워낙 독재국가이고 경찰국가라서 사소한 범죄 따위는 발을 붙이기 힘들다. 특히 지방에는 마할라라는 공동체가 잘 발달되어 범죄가 거의 없는 편이다. 밤에 안심하고 돌아다녀도 된다. 거기에다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큰 호감을 갖고 있어 친절하게 대해준다. 마을마다 이주노동을 경험한 사람들이 있어 통역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관광도시인 사마르칸드에 가면 한국어로 가이드 하는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이 기차역이나 버스정류장에 줄서 있다.
  실크로드의 진주인 우즈베키스탄은 이국적인 관광지도 풍부하다. 칭기즈 칸이 파괴하고 티무르가 건설한 아름다운 제국 도시였던 사마르칸드, 19세기 최대의 오아시스도시였던 부하라, 숨겨진 비밀도시 히바, 물이 줄어들고 있는 아랄해, 그리고 천산산맥의 마지막 줄기인 침간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친절하고 순박한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재수 좋으면 밭매고 있는 김태희도 볼 수 있는 우즈베키스탄 여행을 이번 여름에 추천하고 싶다.(윤성학 객원논설위원. 고대교수)

  • |
  1. 칼럼.png (File Size:80.5KB/Download:4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 대북봉쇄전략에 출구전략이 필요한 이유

      4.13 총선이 끝났다. 이번 총선은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북풍몰이’가 통하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하여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이번 총선에서 북한의 핵 문제를 쟁점화하기 위해 전면적인 대북봉쇄, 북한의 테러 가능성 제기, 그리고 집단 탈북을 이례적으로 ...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4 file

                   NOMAD(기마유목민)의 탄생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한인일보발행인)     지난 3편까지가 이번 연재의 서두 부...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4
  • 우크라이나는 왜 항상 분열할까? file

        우크라이나의 총리 야체뉴크가 포로셴코 대통령과의 갈등 끝에 12일 결국 사퇴했습니다. 야체뉴크는 지난 2014년 친러파인 야누코비치 전 대통령을 축출한 이후 현 포로셴코 대통령과 연정을 구성한 인민전선의 당대표입니다. 야체뉴크와 포로센코 두 과두세력은 지...

    우크라이나는 왜 항상 분열할까?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3 file

                      “우리는 왜 중앙유라시아에 관심을 갖는가? ”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 한인일보 발행인)     며칠 전, 신문에서 ‘투르크 경제권’ 이 우리한테 새로...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3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2 file

    “중앙유라시아의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한인일보 발행인)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2
  • 알파고는 박사가 될 수 있을까?

        한국기원은 알파고에게 바둑 9단의 자격을 부여하였다. 이미 몇 년전에 체스판을 압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이미 최고의 고수이다. 스타크래프에도 인공지능이 최고의 승부사로 등장할 날이 멀지 않았다. 알파고와 인공지능은 의학이나 법학, 경제...

  • 2016년 카자흐스탄 총선 후기 [1] file

        2016년 카자흐스탄 총선이 지난 3월 20일 끝났습니다. 특별히 주목할만한 변화가 없는 선거라서 그런지 관심이 없네요. 카자흐스탄 총선이 재미없는 이유는 나자로바예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가 1991년 독립 이후 25년 동안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총...

    2016년 카자흐스탄 총선 후기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1 file

                  “중앙유라시아는 우리 선조들의 활동무대였다.”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한인일보 발행인)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1
  • 카자흐스탄 대지에 다가오는 봄의 소리, 나우르즈 file

          3월이 되면 카자흐스탄 대지에도 어김없이 봄이 찾아온다.  응달진 골목 모퉁이에는 가는 겨울을 아쉬워하는 잔설이 남아 있기도 하지만 겨우내 흰 눈이 덮여 있던 초원에는 어김없이 파릇파릇한 새싹들이 돋아난다.   해마다 3월이 오면 필자는 21년 전, 카자흐...

    카자흐스탄 대지에 다가오는 봄의 소리, 나우르즈
  • 고려인은 설을 몇번 쇨까? file

        카자흐스탄에는 설날이 세 번 있다. 양력 1월1일이 그 첫째이고, 우리민족 고유의 명절 설날(음력 설)과 이슬람의 설날에 해당되는 ‘나우르즈’가 둘째와 셋째이다.   카자흐스탄에서 21년을 살다보니 세 번에 걸친 새해를 맞이 풍습에 적응이 되어 간다. 한 해의 첫...

    고려인은 설을 몇번 쇨까?
  • 알파고와 경제학의 미래 file

      알파고와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나가는 미래에서 경제학의 미래는 밝지 않다. 인공지능으로 인해 20년내 경제학자가 사라질 가능성은 43%, 정치학자가 사라질 가능성은 3.9%라는 예측도 있다. 미래에 사라질 직업으로 시장조사 전문가, 금융전문가, 통계전문가가 우선...

    알파고와 경제학의 미래
  • 우즈베키스탄에 놀러 가세요! file

        며칠 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막 건너온 자전거 여행자 두 분을 만났다. 이 분들은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을 거쳐 우즈베키스탄의 히바, 부하라, 사마르칸드, 그리고 카자흐스탄의 침켄트를 경유하여 알마티에 왔다. 자전거로 세계 일주하는 의지의 젊은 친구들이었...

    우즈베키스탄에 놀러 가세요!
  • 김정은 없는 북한, 또 하나의 시리아 file

      북한의 4차 핵 실험 이후 한국의 외교 정책이 꼬이고 있다. 실질적으로 북한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제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다른 주변 국가와의 외교적 공조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이미 강 건너 불구경하는 자세로 돌아섰고 러시아도 우...

    김정은 없는 북한, 또 하나의 시리아
  • 김정은 체제, 그대로 두는 것이 정답이다 [1] file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이 극적으로 변화하였다. 북한의 개방을 전제로 한 ‘통일대박론’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로켓 발사 직후 더 이상 김정은 체제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레짐체인지(regime change)’로 전환되었다. 한국과 미국의 해병대가 북한에 대한 상륙작전 다...

    김정은 체제, 그대로 두는 것이 정답이다
  • 러시아는 왜 안보리 대북결의안 표결을 계속 연기할까? file

        러시아는 지난달 25일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공개·회람된 대북결의안을 2월 2일 오늘까지도 검토할 시간을 요구하면서 채택을 지연시키고 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로켓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를 러시아는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세부사항에 대해 이의를 제...

    러시아는 왜 안보리 대북결의안 표결을 계속 연기할까?
  • 3세대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윤성학(본지 객원논설위원. 고대교수)   주의: 이 글은 진지한 학술논문이 아닙니다. 재미삼아 읽어주세요.     지금 구소련 지역(CIS 국가)에 사는 고려인들은 2013년 재외동포재단의 의하자면 약 55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카자흐스탄에 약 10만 명, 우즈베키스탄에 약...

    3세대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 위성인가 장거리 로켓인가? [1] file

    윤성학(본지 객원논설위원. 고대교수)   북한은 핵폭탄 실험 이후 한 달이 지나 장거리 로켓 발사를 감행하여 또다시 세계의 신경을 건드려 놓았습니다. 모두가 이것은 군사적 의미가 있는 탄도미사일이라고 하는데 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4호>를 지구 궤도에 성공적...

    위성인가 장거리 로켓인가?
  • 개성공단 앞으로 어떻게 되나?  file

    <사진 출처 : nk21.org> 윤성학(한인일보 객원논설위원/고대교수)   개성공단 폐쇄 이후 향후 공단의 유무형 자산은 어떻게 될까? 지금까지 우리 정부와 기업은 개성공단에 약 2조원의 투자를 하였는데 1조원은 주로 인프라 정비에, 나머지 1조원은 기업들의 생산설비로...

    개성공단 앞으로 어떻게 되나? 
  • 카자흐스탄에서 미인이란?(2탄)

      윤성학(객원논설위원/고대교수)    지난호에 카자흐스탄의 미녀란? 기사를 게재했는데 다시 보니 내용이 너무 주변적이더군요. 핵심을 찌르지 못하고 구소련의 역사적 배경만 주절이 써놓았더군요.  그래서 좀 더 구체적으로 다시 한번 더 써봅니다.    먼저 카자흐스...

  • 카자흐스탄에서 미인이란?

      12월 10일, 2015년 미스 카자흐스탄 결선대회가 끝났습니다. 지난 11월 예선을 거쳐 각 도시를 대표하는 미인들이 수도 아스타나에서 미모를 겨루었는데 여왕의 자리는 카스피해의 석유 도시 악타우 출신의 17세 알리아 메르겜바예바(Алия Мергенбаева)가 차지하였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