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과 북한 수교 70주년.png

 

몽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교 70주년 기념 심포지엄과 문화 행사가 오늘 외무부에서 열렸다. 행사를 몽골 외무 차관 B.Battsetseg, 몽골 주재 북한 대사 오승호 대사가 축하 연설을 하였다. 행사에 국회 내 몽골, 북한 교류 담당 O.Baasankhuu 의원, 대통령 외교 자문관  T.Tegshjargal, 몽골과 북한의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해 온 정치, 사회, 외교, 공유기관의 대표들과 몽골 주재 북한 대사관 직원들이 참석하였다. 
B.Battsetseg  차관이 “몽골과 북한의 우호 관계가 지난 70년간 안정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양국은 서로 국가의 독립을 인정한 두 번째의 나라로서 몽골과 북한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마음과 노력을 기울여 온 양국의 정부와 정부 관계자 여러분을 비롯 외교, 사회의 대표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올해 2월에 몽골 외교 장관 D.Tsogtbaatar가 북한에 정식 방문을 하였으며 방문 후부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협정을 활성화 되어 그에 따른 많은 행사가 열러 지난 몇 달간 북한과 미국이 역사적인 정식 만남을 가지는 등 남북과 미국의 삼자 정상회의가 있었다. 판문점과 평양의 선언 등이 앞으로 실현이 되어 관련 협장이 성공하기를 진심을 기원한다“고 연설하였다. 
몽골 주재 오승호 대사는“양국은 1948년 10월 15일에 수교를 맺은 이래 지난 70년간 우호 관계를 양국의 국민의 희망과 공통 권익에 기반하여 확대 발전시켜 왔다. 양국은 우호적인 형제국의 마음으로 어려운 시기에 서로 도와 협력하여 왔으며 평화적인 외교 정책을 펼쳐, 지역구와 국제 안보를 위하여 협력해 왔다”고 연설에 강조하였다. 
당일 행사 중 “몽골과 북한 관계 –70 년” 사진전, 북한 예술가들의 작품전, 자수전, 사진전, 북한의 책과 언론, 우표 전시회가 열렸다. 
또한 2001-2008년에 북한에서 몽골 대사로 지냈던 j.lOMBO의 “몽골과 북한 수교 70주년” 책 발간 행사도 열렸다. 
양국의 수교 70주년을 기념하여 Kh.Battulga 몽골 대통령과 조선로동당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김정은 위원장,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김영남 위원장, 몽골외교부 장관 D.Tsogtbaatar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리영호 등이 축하 편지를 교환하였다. 
출처: 몽골 외교부 2018.10.15. 
유비코리아타임즈 편집인

  • |
  1. 몽골과 북한 수교 70주년.png (File Size:261.9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055 몽골 부총리는 시민들의 부채 장부가 두꺼워진 것을 '몰랐다.'라고 말해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54 몽골 통계청, 육류와 채소의 가격이 올라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53 몽골 코로나19 확진자 536명, 사망자 8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52 몽골 환자를 살해한 의사들에 대한 재판을 연기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51 몽골 으믄고비 및 더르너고비 아이막에서 낙태 수술이 가장 많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50 몽골 O.Batbayar, 해외여행을 하는 시민은 자발적으로 신청해 4차 접종해야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9 몽골 A.Ariunzaya 장관은 1,040억 투그릭은 고용 지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혀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8 몽골 인구의 17%인 542,480명에게 COVID-19 백신 3차 접종 완료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7 몽골 셀렝게 아이막 주민들은 새 주지사에 대해 항의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6 몽골 '아동 친화 도시' 국제 온라인 콘퍼런스가 열려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5 몽골 대통령은 중소기업 및 서비스 제공자 포럼 참석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4 몽골 협상이 늦어지면 빚을 청산하는 게 '꿈'이 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1.11.22.
8043 몽골 코로나19 확진자 595명, 사망자 6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42 몽골 바양골구에 10개 동, 바양주르흐구에 15개 동, 칭겔테이구에 5개 동을 신설하자는 제안이 나와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41 몽골 사용하지 않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기부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기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40 몽골 '중산층' 지원을 위한 종합적인 프로그램 시행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39 몽골 건물 개발은 친환경 녹색 건물로 결정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38 몽골 온라인으로 희귀·귀중 도서 박물관 전시회가 열려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37 몽골 태양의 도로 통행을 개선하고 두 곳의 교차로를 신설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
8036 몽골 코로나19 확진자 777명, 사망자 10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