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 특파원]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 정부 기념식에서 "우리 몽골 정부는 여성의 권리 보호와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에 각별히 중점을 두고 국정 업무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9/03/08 [13:16]
【UB(Mongolia)=GW Biz News】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 국제 연합(UN)에서 지정한 2019년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인 2019년 3월 8일 금요일을 맞아, 몽골에서도 여성의 날(Эмэгтэйчvvдийн баяр=에메그테이추딘 바야르)을 기념하는 갖가지 기념 행사가 펼쳐진다.
 
몽골 정부는, 올해 국제 여성의 날을 이틀 앞둔 3월 6일 수요일, 일부 몽골 여성 인사들을 몽골 정부 종합 청사로 초청해,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 주재로 몽골 여성들을 위한 2019년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기념식을 거행했다.
 
2019030806072574.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6035399.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가 축사에 나섰다.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6458533.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700397.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7161201.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는, 국제 여성 권리 보호의 날인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축사를 통해, "우리 몽골 정부는 여성의 권리 보호와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에 각별히 중점을 두고 국정 업무를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Манай улс эмэгтэйчvvдийн эрхийг хамгаалах, нийгмийн оролцоог нэмэгдvvлэхэд Засгийн газар онцгой анхаарч ажиллана!)"라고 밝혔다.
 
이어,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는, 몽골의 수많은 어머니들과 여성들을 대표한, 몽골 여성 인사들에 대한 시상에 나서, 국제 여성 권리 보호의 날인 2019년 국제 여성의 날을 축하했다.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여성의 정치-경제-사회적 업적을 범국제적으로 기리는 날이다. 1909년 3월 8일 월요일, 지구촌 사회주의자들과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정치적 행사로 시작되었고, 1910년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클라라 체트킨에 의해 국제적 기념일로 제안되었으며, 1975년부터 유엔에 의하여 매년 3월 8일이 국제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여성의 날은 1920년, 일제 강점기에,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박인덕, 김활란 등 자유주의 계열과 허정숙, 정칠성 등 사회주의 계열이 각각 여성의 날 기념 행사를 시작하면서 조선에 정착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이들의 여성 행사를 감시하였지만, 딱히 명분이 없어 탄압하지 못했고, 이는 1945년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그러나, 8.15 광복 이후, 여러가지 사회 운동에 대한 탄압적인 정책을 유지했던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사회주의적 경향을 가진 여성의 날은 공개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뜻있는 소수에 의해서만 치러지는 작은 행사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은 1985년에 가서야 일부 해소되었는데, 그때서야 비로소 3월 8일을 국제 여성의 날로 공개적으로 기념할 수 있었고,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되었다. 이후, 19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국제 여성의 날은 본격적인 정치색을 가지게 되었고,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전국여성노조, 민주노총 및 각종 여성주의 단체들이 주최 및 후원하는 전국적인 정치-문화 행사로만 자리잡게 되었다. 국제 여성의 날이 대한민국에서는 환영받지 못하는 곡절이 여기에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올해 국제 여성의 날을 하루 앞둔 3월 7일 목요일 오후 2시에는,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가 자리를 같이 한 가운데, 폭력 근절을 위한 모든 사람의 참여(Хvчирхийллийн эсрэг хvн бvрийн оролцоо)를 주제로 한 몽골여성협회(Монголын эмэгтэйчvvдийн холбоо) 주최의 포럼이 역시 몽골 정부종합청사에서 개최됐다.
 
2019030859344133.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8244857.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오. 후렐수흐 몽골 총리(Prime Minister of Mongolia U. Khurelsukh)가 포럼 축사에 나섰다.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00086912.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0631289.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9030857591359.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Photo=몽골 정부 언론홍보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 정부는 1921년 몽골 혁명 이래 남녀평등 체제를 중시하면서, 이 국제 여성의 날을 국가 공휴일로 지정해 온 바 있다. 다시 쓰거니와, 몽골 현지에서는 이 여성의 날이 공휴일이다.
 
이 국제 여성의 날에, 몽골 전역에서 몽골 남성들은 어머님, 아내, 애인, 직장 여성 직원 등을 망라하여 모든 여성들에게 갖가지 선물 준비와 외식 행사 대접으로 극진한 예를 갖추곤 하는데, 이는 몽골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사회 현상으로 보인다.
 
이 국제 여성의 날엔 몽골 남성들은 여성들에게 꽃 선물과 레스토랑에서 근사한 식사를 제공하며, 노래방이나 나이트클럽에서 즐거움을 함께 나눈다. 레스토랑, 술집, 나이트클럽은 며칠 전부터 예약이 끝나버리고 제과점의 케이크는 금방 동이 나곤 한다.
 
1998년에 몽골 정부에서 이 국제 여성의 날을 공휴일에서 한때 폐지한 적도 있었으나 몽골 국민들의 강력 반발이 이어져 2002년에 다시 공휴일로 부활됐다. 그야말로 몽골 여성들의 입에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여성의 날만 같아라!”라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몽골에서 꽃이 가장 잘 팔리는 날이 각급 학교 졸업식 때와 바로 이 국제 여성의 날이 아닐까 한다.
 
2019030800481948.jpg
▲몽골 현지의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몽골인문대학교 한국학과 여자 교수들이, 국제 여성의 날 당일은 휴일이므로, 2019년 국제 여성의 날 이틀 전인 3월 6일 목요일 저녁 울란바토르 소재 한 한국 식당에서 2019년 국제 여성의 날을 자축했다. 이럴 경우엔 남자 교수가 모든 비용을 부담한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이 국제 여성의 날로부터 열흘 뒤인 3월 18일은 몽골에서는 몽골 남성의 날(원래는 몽골 군대 창설일)이다. 몽골 여성들은 몽골 내의 각 직장이나 학교에서는 몽골 여성들이 꼭 식사가 아니더라도 남성들에게 간단한 다과를 대접하기도 한다.
 
2018033118439760.jpg
▲Reported by Alex E. KANG, who is a Korean Correspondent to Mongolia certified by the MFA led by Foreign Minister D. Tsogtbaatar.     ⓒ Alex E. KANG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GW Biz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9/03/08 [13:16] 최종편집: ⓒ GW Biz News

 

2014052827216656.gif
2014012431257700.gif
2014012430083224.gif
201903085700397.jpg

 

  • |
  1. 677802a5ec70862c39f60a526e4971fa.jpg (File Size:45.0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몽골 사법개혁 관련 판사 간담회가 시작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4 몽골 모든 어린이가 감염관리체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전문기관, 교사, 학부모의 공동감독이 중요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3 몽골 경제의 견인력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2 몽골 Khan 은행, 1,500만 달러 조달 성공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1 몽골 37대의 통학버스가 학생들을 위해 운행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0 몽골 컨테이너는 6월에 톈진에 도착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9 몽골 개학 첫날부터 코로나 감염 급증...하루 3,700건 발생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8 몽골 울란바타르 코로나 예방접종자 9,976명 중 3차 접종자 8,535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7 몽골 새 코로나 확진자 울란바토르 912명, 지방 2,893명, 4명 사망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6 몽골 학생들은 학용품이나 그 밖의 물품을 교환하거나 이전하지 말 것을 권고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5 몽골 연료 가격 인상은 잘못된 정보이며, 현재 충분한 보유고가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4 몽골 학생들의 시력이 저하되어 칠판에 적힌 글은 이제는 보이지 않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3 몽골 이흐 몽골 거리는 자이상 거리와 연결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2 몽골 민주당, E.Bat-Uul과 B.Garamgaibaatar를 후보로 지명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1 몽골 L.Amar, 공공 자금 조달 메커니즘에서 부실 대출이 높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0 몽골 밀과 감자에 대한 수요는 수확으로 충분히 충족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9 몽골 몽골 대통령은 타판 미슈라 유엔 주재 조정관을 접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8 몽골 대한민국은 이달 10일과 11일 울란바타르-서울 간 항공편에 승객을 태우지 않기로 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7 몽골 3차 COVID-19 백신은 49,831명을 대상으로 접종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6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810명, 지방에서 2,828명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신규로 감염되었으며, 3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