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 국적 자야 생도-솔롱고 생도, 외국인 최초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정경두 국방부 장관, 축사를 통해 몽골 국적의 엠. 자야 생도와 엠. 솔롱고 생도가 향후 한국과의 우정을 위해 큰 힘이 되어 주기를 기원한다는 격려 건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9/03/12 [16:29]
【UB(Mongolia)=GW Biz News】
【강원경제신문】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 3월 11일 월요일,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정경두)가 보도 자료를 통해 “당일 오후 2시 대전 국군간호사관학교 연병장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거행된 국군간호사관학교 제59기 사관생도 졸업 및 임관식에서 몽골 국적의 엔. 자야(Н. Заяа) 생도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가 4년 간의 국군간호사관학교 정규 과정을 마치고 졸업했다”고 밝혔다.
 
2019031201482763.jpg
▲ 몽골 국적 자야 생도-솔롱고 생도, 외국인 최초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자야 생도를 격려했다. (Photo=Ministry of Defense, ROK).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국군간호사관학교(國軍看護士官學校= KAFNA=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БНСУ-ын Зэвсэгт хvчний харъяа Цэргийн Сувилагчийн Академи, 교장 권명옥 준장)=>대한민국 육-해-공군 간호 장교 양성을 위해 설립된 대학교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대 내에 있다.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 설립 사상 첫 외국 수탁 졸업생인, 몽골 국적의 엔. 자야(Н. Заяа) 생도(만 24세)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만 24세)는 학교장 권명옥 준장으로부터는 학위증을, 정경두 국방부 장관으로부터는 명예 소위 계급장을 수여 받았다.
 
2019031203187088.jpg
▲ 몽골 국적 자야 생도-솔롱고 생도, 외국인 최초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Photo=Ministry of Defense, ROK).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엔. 자야(Н. Заяа) 생도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를 특별히 언급했다. “특별히 오늘 이 자리에는 가족과 떨어져 먼 타국에서 어려운 사관 생도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두 명의 외국 생도들이 있습니다. 몽골 솔롱고 생도, 자야 생도에게 진심으로 축하의 인사를 전합니다. 동기생들과 나누었던 뜨거운 우정과 이 곳에서의 추억을 소중히 간직하고, 자국의 군 의료 발전은 물론 한국과의 우정을 위해 큰 힘이 되어 주기를 기원합니다.
 
한편, 몽골 국적의 엔. 자야(Н. Заяа) 생도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는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배운 것을 가지고 사랑과 봉사를 실천하는 나이팅게일이 되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2019031203428148.jpg
▲ 몽골 국적 자야 생도-솔롱고 생도, 외국인 최초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학교장 권명옥 준장이 자야 생도에게 학위증을 수여했다. (Photo=Ministry of Defense, ROK).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참고로, 몽골 국적의 엔. 자야(Н. Заяа) 생도(만 24세)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만 24세)는, 몽골 국방부 주관 한국 유학 선발 시험에 몽골 국방대학교 재학생으로서 합격한 뒤,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가 개교한 지 59년 만인 지난 2015년 외국인 수탁 생도 자격(당시 20세의 나이)으로 국군간호사관학교에 입학한 바 있다.
 
 
요컨대, 몽골 국적의 엔. 자야(Н. Заяа) 생도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의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은, 국군간호사관학교의 첫 외국인 졸업생이라는 의미 외에도, 한몽 관계에서 두 나라 국방부 사이의 간호 부문 교류 역사를 새롭게 썼다는 상징성이 있다 할 것이다.
 
2019031204335610.jpg
▲ 몽골 국적 자야 생도-솔롱고 생도, 외국인 최초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자야 생도에게 손수 명예 계급장을 수여했다. (Photo=Ministry of Defense, ROK).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엔. 자야(Н. Заяа) 생도와 엔. 솔롱고(Н. Солонго) 생도의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을 축하하며, 아무쪼록, 굳건한 한몽 교류를 바탕으로 향후 몽골 간호 분야에서 더 큰 결실을 맺어, 몽골의 푸른 창공에 더욱 더 큰 꿈을 그려나가기를 간절히 기원해 본다.
 
2018033118439760.jpg
▲Reported by Alex E. KANG, who is a Korean Correspondent to Mongolia certified by the MFA led by Foreign Minister D. Tsogtbaatar.     ⓒ Alex E. KANG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9/03/12 [16:29] 최종편집: ⓒ GW Biz News

 

  • |
  1. 2019031201482763.jpg (File Size:42.2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몽골 사법개혁 관련 판사 간담회가 시작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4 몽골 모든 어린이가 감염관리체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전문기관, 교사, 학부모의 공동감독이 중요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3 몽골 경제의 견인력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2 몽골 Khan 은행, 1,500만 달러 조달 성공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1 몽골 37대의 통학버스가 학생들을 위해 운행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90 몽골 컨테이너는 6월에 톈진에 도착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9 몽골 개학 첫날부터 코로나 감염 급증...하루 3,700건 발생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8 몽골 울란바타르 코로나 예방접종자 9,976명 중 3차 접종자 8,535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7 몽골 새 코로나 확진자 울란바토르 912명, 지방 2,893명, 4명 사망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2.
1986 몽골 학생들은 학용품이나 그 밖의 물품을 교환하거나 이전하지 말 것을 권고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5 몽골 연료 가격 인상은 잘못된 정보이며, 현재 충분한 보유고가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4 몽골 학생들의 시력이 저하되어 칠판에 적힌 글은 이제는 보이지 않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3 몽골 이흐 몽골 거리는 자이상 거리와 연결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2 몽골 민주당, E.Bat-Uul과 B.Garamgaibaatar를 후보로 지명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1 몽골 L.Amar, 공공 자금 조달 메커니즘에서 부실 대출이 높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80 몽골 밀과 감자에 대한 수요는 수확으로 충분히 충족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9 몽골 몽골 대통령은 타판 미슈라 유엔 주재 조정관을 접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8 몽골 대한민국은 이달 10일과 11일 울란바타르-서울 간 항공편에 승객을 태우지 않기로 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7 몽골 3차 COVID-19 백신은 49,831명을 대상으로 접종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
1976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810명, 지방에서 2,828명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신규로 감염되었으며, 3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