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서의 중국 수요.jpg

 

세계 주요 에너지원의 40% 이상이 석탄이지만, 점결탄은 건설의 주요 원료인 모든 철강 생산에 사용된다. 올해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2%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 코킹 석탄 수요와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는 "WORLD Economy" 섹션에서, 우리는 중국식 석탄의 상태에 초점을 맞춘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중국은 2021년에 약 6천만 톤의 석탄을 수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중국 내 점결탄 가격이 4년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Hexun Futures 측은 몽골에서 코로나 19가 새로 발생한 데다 확산 제한조치가 취해져 2020년 10월 이후 석탄을 국경을 넘어 운송하는 트럭 수가 80%가량 줄었다고 분석한다. 통관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주요 석탄 공급처인 호주산 수입에 제한을 두면서 석탄 가격이 올랐다. 호주도 올해 석탄을 수입하지 않을 예정이어서 러시아와 몽골 등지로의 석탄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020년 말 다롄 증권거래소의 점결탄 선물은 4.1% 오른 톤당 1535위안으로 2016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지만, 지난해 호주는 중국 최대 석탄 공급국이 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3550만t의 석탄을 공급해 중국 수입의 51%, 몽골 수입의 32%인 약 2860만t을 공급했다.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호주산 석탄은 동아시아 무역회사를 통해 다른 나라를 대신해 중국으로 운송되고 있다. 
러시아는 2020년에 중국에 600만 톤의 석탄을 공급할 것이다. 오늘날, 러시아, 캐나다, 모잠비크, 인도네시아는 호주의 석탄 격차를 메울 가능성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이다. 반면 몽골산 석탄은 호주산 석탄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오늘 현재 중국의 날씨는 춥고 석탄 가격은 올랐다. 이에 따라 대형 탄광들은 설 연휴 동안 석탄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몽골 석탄 수출업체와 연구진이 지난달 28일 중국 석탄 수입 철강업체 대표들과 함께 '석탄무역 2021' 온라인 회의를 열었다. 양측 전문가들에 따르면 몽골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석탄의 양은 3600만 톤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2021년 4200만t의 석탄을 수출하겠다는 몽골의 목표가 완전히 달성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몽골 석탄협회 J.Zoljargal 대표에 따르면 지난해 총 7천250만t의 점결탄이 수출되는 등 대유행 기간 중국의 석탄 수입량이 줄지 않았다. 올해 중국의 점결탄 소비량은 6억3000만t에 달하며 이 중 약 7500만t이 수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석탄 시장과 조리용 석탄에 대한 수요는 비교적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해 남부지역 주요 석탄 소비부문의 성장률이 2-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철도사업 시행으로 수출 생산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교역도 더욱 안정적으로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유행으로 석탄 공급이 줄었지만 원활하고 믿을 수 있는 침투가 더 많은 기회를 열어줄 것이다. 그는 시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이 국경 교차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전 세계 수십억 톤의 석탄 중 절반의 세계 최대 소비국이다. 따라서, 석탄이 부족할 것이라는 징후는 없다. 그곳의 점결탄 가격 상승은 몽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우리는 물가가 오를 때 한계적 기회를 이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남쪽 이웃을 더 잘 이해하고 우리의 국경을 더 잘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몽골 석탄협회에 따르면 몽골의 석탄 수출기업들은 전 능력을 발휘해 운송을 지원하고 e를 지원하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ews.mn 2021.02.02.]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1. 몽골에서의 중국 수요.jpg (File Size:179.8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95 몽골 몽골인민당 N.Nomtoibayar “편”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94 몽골 몽골 1인당 GDP 4,470달러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93 몽골 몽골 대통령 Kh.Battulga “전략적 비전: 유라시아” 포럼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92 몽골 도시개발법 개정안 상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91 몽골 지방 선거 유세 기간 15일, 안건 올려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90 몽골 축산업 개발비 3천만 달러 지원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9 몽골 경제 분야 중 상업 비중이 커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8 몽골 의료보험청, 부적합 판정 검사실 목록 공개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7 몽골 인민당, 선거구 의석 배분 마무리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6 몽골 L.Oyun-erdene: “국민” 중심 개발 정책 추진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5 몽골 지적재산법 통과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4 몽골 고위 공무원 15,000여 명 개인 자산 규모 변동 신고 완료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3 몽골 일제 중고 자동차 수출 시 관리 강화 요망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2 몽골 평화 대거리 방향 “전동차 운행” 노선 개발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1 몽골 O.Enkhtuvshin: 학교, 유치원 3월 2일까지 휴교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80 몽골 N.Nomtoibayar 의원 자격 정지 판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79 몽골 가족법 국회 상정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78 몽골 몽골은행, Arig 은행에 관재인 파견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77 몽골 감염 의심 여 통역원 검사 결과 16:00 시에 발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6076 몽골 G.Zandanshatar, 중소기업청 대출 추천 업체 6건 “성공”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