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부족은 천만 톤에 이를 수 있어.jpg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구리를 많이 사용한다. 구리는 전기, 도시 인프라, 그리고 세계를 연결하는 기술과 같은 현대 생활을 창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공급량을 늘리지 않으면 대규모 부족 위험이 있다고 분석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이번에는 "WORLD Economic" 섹션에서 구리 상태를 보고한다. 
분석가들은 향후 10년 동안 전 세계적인 구리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마이닝 인텔리젼스에 따르면 CRU 그룹 분석가들은 2030년까지 매년 470만 톤의 구리가 부족할 것이며, 그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1,000억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Trafigura Group은 구리 공급이 증가하지 않으면 적자가 1,000만 톤에 이를 수 있다고 추정한다. 구리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칠레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에스콘디다 광산과 같은 8개의 광산이 건설되어야 한다. 전기차 생산에 주로 쓰이는 금속인 구리 수요가 급증하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시티은행 올리버 너젠트 애널리스트는 "하반기 세계 시장에서 구리가 부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유행의 결과로, 교통 금지와 제한은 관광과 식품 부문의 수입을 감소시켰지만, 전자제품, 컴퓨터, 휴대전화 등 생활용품의 판매는 증가하였다. 이런 상황이 2021년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주택구매 증가도 구리 수요 급증에 한몫하고 있다. 
세계금속통계국에 따르면, 2020년 첫 11개월 동안 세계 시장에서 120만 톤의 구리가 부족했다. 이는 2019년 같은 기간보다 3배나 많은 것이다. 지난해 전 세계 구리 수요는 5.5% 증가한 2,297만 톤을 기록했다. 중국의 구리 소비량만도 16.6% 증가한 1345만 톤을 기록했다. 영국 런던금속거래소에 따르면 월요일 아침 구리 선물가격은 톤당 0.02% 오른 9,057달러를 기록했으며, 프로 파이낸스에 따르면 구리는 0.57% 상승한 톤당 9,123달러였다. 
월요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구리는 3.49% 오른 톤당 9,294달러를 기록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이는 구리가 런던금속거래소에서 톤당 1만190달러를 기록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구리 선물가격은 2020년 3월 이후 줄곧 상승했으며, 이후 101% 올랐다. 투자자들은 금속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염병 이후 경제는 회복되고 구리 수요는 증가하며 재생 에너지와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이것은 구리업계가 이것들을 생산하기 위해 많은 니켈, 구리, 리튬 그리고 다른 금속들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을 중심으로 일부 업종의 수요 증가와 생산이익 감소로 공급이 감소할 것"이라며 "이익 감소는 일부 대기업의 증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이 기관에 따르면 국제 금융 대기업 중 하나인 씨티그룹의 유럽, 중동, 아프리카 상품 연구소의 맥스 레이튼 대표는 "구리 가격을 상승시킨 많은 요인이 있다. 따라서 조만간 구리 가격이 톤당 10,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도 구리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은행 분석가들은 2021년과 2022년에는 평균 구리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들은 올해 평균 구리 가격이 8625달러 수준이고 2022년에는 평균 톤당 9,175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며 골드만삭스 분석전문가들은 앞서 구리 가격이 톤당 7,5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마이닝 인텔리전스가 매장량과 생산량 면에서 세계 10대 구리 프로젝트 목록을 발표했다. 국제 구리 연구 그룹에 따르면, 구리에 대한 전 세계 수요는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7억t의 구리가 채굴됐으며, 발견된 퇴적물에는 총 21억t의 구리가 함유돼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구리 프로젝트는 카모아-카쿨라이다. 캐나다의 아이반호 광산은 중국의 지진 광업과 이 프로젝트를 공동 소유하고 있다. 고급 금광석에서의 구리 채굴은 7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연간 1,800만 톤의 광석을 보유하고 있는 카모아-카쿨라 프로젝트는 연간 약 70만 톤의 구리가 매장되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구리 매장량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두 번째로, 미국 알래스카의 페블 프로젝트는 구리 금과 몰리브덴 매장물이다. 2020년 11월 현재, 미국 환경 보호국은 이 프로젝트에 대한 물 사용 허가서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페블 프로젝트의 개발자인 북 다이너스티 미네랄은 이 결정에 항소할 계획이다. 퇴적물의 채굴 조건이 까다롭고 청정 자연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바이칼횡단지역 우도칸 사업이 3위에 올랐다. 그 광산은 1949년에 발견되었고 러시아인들은 지난 15년 동안 광산을 준비해왔다. 현재, 이 사업장의 건설 공사의 40~45%가 진행 중이다. 생산은 2022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의 총비용은 29억 달러이며, 이 프로젝트의 바이칼 광산 회사는 지난 1월에 우도칸 구리로 이름을 바꾸었다. 
몽골의 2021년 예산은 구리 평형 가를 톤당 6,500달러로 책정하고 있다. 환율 전망에 따르면 안정기금은 구리 수입에서 1008억 투그릭, 구리 정광 수입에서 총 1조 5000억 투그릭을 받게 된다. 오유톨고이 정광의 금 함량이 내년에 많이 증가해 구리 정광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세계 시장의 구리 가격이 예상보다 높고 광업 부문의 수입이 계획보다 많다는 점은 몽골의 경제 성장을 가속할 중요한 요인이다. 2021년 구리 가격이 75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낙관할 경우 구리로 인한 국비 수입이 15% 늘어난 1조7000억 투그릭으로 예상한다. 일반적으로, 몽골의 경제 성장은 전염병이 가라앉으면서 2023년 말까지 평균 6%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주력 공업용 금속인 구리의 가격이 오른 탓이다. 
[news.mn 2021.03.23.]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55 몽골 국정원에서 Undesnii front 시위대에 경고장을 발부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54 몽골 올해 9개월간 경제가 6.3%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53 몽골 감자 수확이 전년도 동기 대비 13.5%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52 몽골 다음 주에 공휴일 관계로 2일이 휴무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51 몽골 대통령이 사회보험료 인상에 규제 준비 중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50 몽골 가계 평균 소득과 지출 모두 130만 투그릭으로 나타나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49 몽골 개인 불법 채굴업자 수가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48 몽골 E.Sodontogos: 계약에 따라 정부가 1억 1100만 달러를 투자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47 몽골 통신사들의 무분별한 사용자 늘리기 전쟁 file 몽골한국신문 19.11.20.
6346 몽골 우르진룬데브 초대 주한 몽골 대사, 주북한 대사 시절 회고 에세이 출판 기념회 file GWBizNews 19.11.21.
6345 몽골 유전자 자원 관련 법 제정안 상정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44 몽골 N.Oyundari: 몽골에 근로 가능한 연령대의 10명 중 6명이 재직 중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43 몽골 정상 운영 법인과 기관 수가 7900건으로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42 몽골 건설 분야의 통합 온라인 정보 데이터 센터 개설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41 몽골 공무원 시험에 1,588명이 합격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40 몽골 일명 ”Dubai contract“가 해제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39 몽골 중부 지역의 전력 송출 네트워킹 개발 활성화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38 몽골 전기세 12.9% 인상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37 몽골 아시아 조림 기구 가입에 동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
6336 몽골 세계관광기구 규정 개정안에 동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