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은 미국에 '잃어버린' 기회가 될 수 있어.jpg

 

호주, 미국, 캐나다, 몽골, 러시아, 모잠비크는 점결탄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세계 경제" 섹션에서는 점결탄 시장에 대한 최신 정보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5월 21일 현재, 우리의 남쪽 이웃인 중국에 대한 점결탄 수출가격은 7.98% 감소한 1,782.5위안을 기록했다. 올해 첫 4개월 동안 중국은 총 1474만 톤의 점결탄을 수입했다. 중국 관세청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점결탄 수입량은 46.9% 증가해 몽골과 러시아를 앞질렀다. 다른 말로 하자면, 미국은 상품 시장에서 좋은 '게임'을 해왔다는 것이다. 시장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현재 중국의 점결탄 시장은 러시아의 한정된 자원으로 비교적 잠잠한 상태라고 한다. 
러시아는 중국에서 고품질 점결탄을 톤당 170~175달러에 사겠다고 제안했지만,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국은 톤당 164~165달러를 지급하곤 했다. 
지난달 중순 호주산 점결탄의 가격은 톤당 180달러에 달했다. 
중국의 4월 점결탄 수입량은 348만 t로 3월(491만 t)보다 29%, 1년 전보다 44% 줄었다. 
중국은 작년 10월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했다. 이것은 러시아, 미국, 캐나다에 좋은 기회이다. 몽골은 중국의 점결탄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메탈불린에 따르면, 4월에 미국은 가장 큰 수출국이 되었다. 
미국은 4월 중국에 974만7000t의 점결탄을 수출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배, 전달 대비 47% 증가했다. 러시아는 중국에 761,300t의 점결탄을 수출했다. 
'China Think Today'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총 5,500만 톤의 점결탄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한다. 몽골에서 3천만 톤, 캐나다에서 8백만 톤, 미국에서 7백만 톤, 러시아에서 8백만 톤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2021년 몽골에서 33~3천 7백만 t의 코킹 석탄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대유행으로 국경을 넘나들 수 없게 됐다. 
하지만 항만 수용력과 철도개발 등 기반시설에 따라 몽골산 점결탄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열탄은 몽골의 경우 점결탄보다 판매가격이 훨씬 낮지만, 점결탄과 운송비용이 같고 항만까지 비용이 많이 든다. 몽골의 열탄 수출 비용과 비교하면 내몽골의 국내 열탄 수출 경쟁력이 더 뛰어나다. 따라서 이 철도가 완공되지 않으면 중국 시장에서 몽골의 열탄은 증가할 가능성이 작다고 분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몽골은 4월에 641.1만 톤의 석탄을, 5월 상반기에 약 42만 톤의 석탄을 공급했다. 
몽골 통계에 따르면 4월 수출량은 64만1000t으로 지난해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석탄 생산을 늘릴 계획이다. 중국 석탄협회에 따르면 올해 석탄 소비와 국내 생산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석탄 수입은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점결탄 수입은 전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마크 큐티파니 앵글로아메리칸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은행(Bank of America) 채굴금속회의(2021년 5월 18일)에서 "점결탄은 향후 15~20년간 세계를 녹화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말했다. 
또한, "세계 철강 생산은 점결탄이 있어야 하지만, 나머지 세계는 경제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없애기 위해 철강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 회사는 열탄 생산을 줄이고 있지만, 고품질 점결탄을 계속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앵글로 아메리칸은 2035년에서 2040년까지 계속해서 점결탄을 생산할 것이다. 
SXCoal에 따르면 몽골에서 발생한 코비드-19 감염자 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석탄 수출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몽골은 2021년 석탄 4200만 t을 수출할 계획이다. 1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총 910만 톤의 석탄이 수출되었다. 이는 전체 계획 금액의 약 21.6%이다. 
[news.mn 2021.06.29.]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55 몽골 들쥐 개체 수 줄이기 위해 30억 투그릭 편성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54 몽골 울란바타르시 일부 구의 동의 면적을 나누는 사항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53 몽골 관광 분야의 9개 직종에 대한 무료 교육 실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52 몽골 내년부터 부가세 환급금을 분기별로 환급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51 몽골 야르막 다리를 내일 재개통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50 몽골 정부에서 국경 통관 금지 품목 목록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9 몽골 주요 식품 공급 안정성에 관련하여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8 몽골 사냥 금지 기간에 밀렵을 한 2마리 노루, 626마리 물고기를 압수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7 몽골 인민당이 재선거 출마 후보자를 화요일에 선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6 몽골 몽골 최초 국제 수준의 FOOD STREET 신설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5 몽골 다르항올 아이막의 어린이공원 토지에 카지노를 설립에 반대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4 몽골 중소기업 개발에 최소 1천억 투그릭을 편성해야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3 몽골 정부 예산 2023년부터 흑자로 들어선다고 정부가 예상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2 몽골 몽골에서 폐기물 재가공으로 에너지 생산 공장 설립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1 몽골 울란바타르 시에서 운행 가능한 최신형 열차 제안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40 몽골 Kh.Battulga 대통령이 국회 폐지를 다시 요구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39 몽골 도로 통행 방향 일시 조정 안내 file 몽골한국신문 19.05.28.
7038 몽골 [몽골 특파원] 2019년 제66회 몽골 모자(어머니-어린이)의 날 현장 file GWBizNews 19.06.02.
7037 몽골 인민혁명당에서 재선거에 N.Enkhbayar를 후보자로 출마시킬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6.06.
7036 몽골 헨티 아이막 재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K.Oyunbaatar를 출마시킬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