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사기 증가.jpg

 

건설 부문은 국경과 통관 문제로 물자와 자재가 부족하다. 이로 인해 ㎡당 건설 가격이 올라 사람들이 구매하기 어렵게 됐다. 코로나19에 의존하는 경제 상황으로 인해 국민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임대주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기 또는 타인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전국적으로 5,300여 건의 사기 행위가 적발되었다. 이것의 중요한 부분은 주택 사기이다. 사기범들은 세입자들이 가짜 주택 등기부등본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부지를 건물을 임대하는 사례가 늘었다. 
경찰이 등록한 범죄 통계에 따르면 시민과 기업은 사기 행위로 인해 2019년 130억 투그릭, 2020년 672억 투그릭의 피해를 보았다. 
최근 몇 년간 사기 범죄 중 가장 흔한 범죄이며 그 피해가 큰 사기 범죄를 수법으로 보면 동산 및 부동산 매매, 임대 임차 등이 들어간다. 온라인으로 임대 아파트를 신청하면 담보 없이 즉석에서 시세보다 낮게 부정 계약 제의를 받는 경우가 많다. 경찰은 입주민들에게 임대 아파트에 들어갈 때 아파트 등기부등본을 확인하고, 건물 관리소와 협의해 구매, 임대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news.mn 2021.11.17.]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1. 주택 사기 증가.jpg (File Size:27.4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035 몽골 도로 통행 제한 지역 5부제 동계 돌입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4 몽골 Kh.Battulga 대통령: 국회의원들 “의원 활동비”를 절약하여 산업단지를 지을 것을 제안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3 몽골 전략광산 개발 회사들의 계좌를 몽골은행에 개설하는 법안을 지지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2 몽골 정부에서 3개의 법 개정안을 국회의 상장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1 몽골 울란바타르시 전력의 80%를 태양열과 풍력으로 공급 가능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0 몽골 몽골 최초의 “OSCAR”수상자 B.Mart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9 몽골 도로 교차로 노란선 표시제 실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8 몽골 “시웨오보” 석탄 광산에서 전력 생산원 건설 계획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7 몽골 몽골 개발은행이 외국 금융 시장에서 5억 달러의 자금 유치 성공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6 몽골 의약청 신설이 시급하다는 데 동의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5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에서 매연 저하 예산을 장단기 분석 시행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4 몽골 야간에 전기 사용료 면제 11월 1일부터 시행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3 몽골 “미래의 유산 펀드”에 처음으로 5000억 투그릭의 펀드 자금이 조성된다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2 몽골 체코 자동차 공장에 몽골 산업인력 유치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1 몽골 Rio Tinto가 Oyutolgoi 광산 지하 광산 투자 기간을 연기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20 몽골 Erdenes Tavan tolgoi의 시민 대표 선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19 몽골 온실 채소 농장들의 겨울철 야간 전기세, 난방비를 할인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18 몽골 수확 65.5% 완료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17 몽골 공공질서안전법의 교통안전 관련 조항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16 몽골 독일 총리 “울란바타르시 근처 신도시 건설 사업을 지원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