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300여기의 드론과 탄도미사일을 동원한 이란의 보복 공격을 막을 수 있었던 데에는 미국의 오랜 노력과 중동 국가들의 협조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이스라엘과 미국이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을 막는 데 있어 주변 중동 국가들의 도움이 있었다고 전했다.

일부 국가들은 이란으로부터 들은 이스라엘 보복 공격 계획을 미국에 알렸으며 드론과 미사일 추적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공을 미군에 개방한 국가도 있었으며 직접 공군력을 제공해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 요격에 동참한 국가도 있었다고 WSJ은 설명했다.

이와 관련, 미군 관리들은 공격 이틀 전 이란의 공격계획을 통보받은 사우디아라비아와 걸프 국가들이 이를 미국에 알려줬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이란의 공격에 대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걸프국가에 설치된 조기경보 레이더가 수집한 이란 드론과 미사일 추적정보가 실시간으로 카타르에 있는 미군 중부사령부를 통해 전투기와 구축함에 전달됐기 때문에 이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다고 관리들은 전했다.

관리들은 이어 대부분의 이란 드론은 미국과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전투기들에 의해 격추됐으며 대부분의 이란 미사일 요격은 이스라엘의 방공망이 담당했다고 말했다.

이번 작전에서 미군 전투기들이 70여대의 이란 드론을 격추했으며 유도미사일 구축함과 이라크 에르빌에 배치된 패트리엇 미사일이 각각 6기와 1기의 이란 탄도미사일을 요격했다고 관리들은 덧붙였다.

WSJ은 중동 국가들이 처음에는 이스라엘 방어에 나선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보였지만 미국의 적극적인 중재와 향후 기대할 수 있는 안보상 혜택 등에 대한 고려가 작용하면서 중국 국가들의 도움을 끌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카네기 국제평화재단(CEIP)의 야스민 파룩은 미국의 협조 요청을 받은 중동 국가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는 한 이란 보복 공격 방어를 돕는 것이 이득이라고 봤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파룩은 이스라엘 방어에 협력함으로써 이스라엘이 미국으로부터 받는 것과 같은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중동 국가들을 움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WSJ은 이같은 일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미국이 수십년 전부터 이란의 공격을 막기 위해 벌여온 중동지역 통합 방공망 구축 노력이 자리하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의 통합방공망 구축 노력은 오랜 기간 중동 국가들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2020년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이 국교를 정상화한 '아브라함 협정' 이후 급진전됐다.

여기에 2022년 미군 내 이스라엘 관할권을 유럽사령부에서 중부사령부로 옮긴 것도 주효했다

이스라엘이 미군 중부사령부 관할이 되면서 미국의 보호 아래 아랍 국가 사이의 군사협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실제 2022년 3월에는 이집트의 휴양도시 샤름 엘 셰이크에서 사상 처음으로 이스라엘과 중동 국가의 고위 군사 관계자들이 미군의 주도 아래 모여 이란의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WSJ은 이스라엘이 자체 방공망인 아이언돔만으로는 이번 이란의 보복 공격을 막아내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면서 미국이 수십년간 중동지역에서 벌여온 노력이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415122300009?section=search

 

  • |
  1. 20240416_004537.png (File Size:1.10M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55 몽골 엘벡도르지, 세계 사형폐지 특별 대표에 선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7.
8954 몽골 민주당 당내 선거 실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7.
8953 몽골 후렐수흐 총리, 주 몽골 카타르 대사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7.
8952 몽골 몽골 현지의 제110회 2018년 국제 여성의 날 풍경 file GWBizNews 18.03.08.
8951 몽골 국민고충처리상임위원회의 개최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50 몽골 후렐수흐 총리, 주 몽골 터키 대사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9 몽골 바트톨가 대통령, 미국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8 몽골 울란바타르-다르항도 도로확장 공사 취소키로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7 몽골 시내버스 173대 운행 통제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6 몽골 내일 차량 5부제 해제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5 몽골 자연재해로 인해 가축 710,940마리 죽어 file 몽골한국신문 18.03.09.
8944 몽골 [외신] 몽골 울란바토르, 북미 정상회담 장소 가능성 있다? file GWBizNews 18.03.11.
8943 몽골 ’Mongolia Mining 2018’ 전시회 개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42 몽골 에르드네스 타반톨고이 회사, 금년도 배당 불확실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41 몽골 광업부 장관 캐나다 방문 중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40 몽골 이달 12일부터 전선 보수 공사 시작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39 몽골 움느고비도 판사 자살 시도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38 몽골 교통사고로 3명 사망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2.
8937 몽골 토지 허가 허위 발급 사건 발생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3.
8936 몽골 게르구역 100ha 땅에서 1만 가구 친환경 주택 공사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