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이군요! 몽골 현재 기온 영하 27도! 춥습니다! 고국은 설 분위기가 한창이겠군요! 저요? 떡국은 됐고, 시골 무쇠솥밥이 참으로 그리운 아침입니다.
 

201802160203965.jpg
 
몽골 국제 열차로 북상하면 러시아요, 남하하면 중국입니다! 중국이야 춘제를 맞아 시장이 모두 철수했을 터이니 가 봤자 '꽝'이고, 하여, 러시아 여행이나 다녀오려 했는데, 월요일부터 다시 강의가 재개되니 금-토-일 3일 여정으로는 다소 벅찰 것 같아서 깨끗이 포기했습니다.설날 연휴 잘 보내시길! [새해 맞이] (노천명) // 구름장을 찢고 화살처럼 퍼지는 / 새 날빛의 눈부심이여 / '설'상을 차리는 다경(多慶)한 집 뜰 안에도--- / 나무 판자에 불을 지르고 둘러앉은 / 걸인들의 남루 위에도--- / 자비로운 빛이여 // 새해 너는 / 숱한 기막힌 역사를 삼켰고 / 위대한 역사를 복중(腹中)에 뱄다 // 이제 / 우리 네게 / 푸른 희망을 건다 / 아름다운 꿈을 건다.
 
제번하옵고, 2018년 몽골 설날 "차간사르" 소식 전달을 계기로, 무려 11개월 만에, KBS 제1 라디오 방송에 복귀했습니다. 요컨대, KBS 제1 라디오 몽골 소식은, 몽골 소식 전파를 알뜰하게 챙겨 주던 정은경 작가가 KBS를 그만 두면서, 지난 해 2017년 3월 16일 목요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끊긴 바 있습니다. 하지만, KBS 한민족방송의 이은경 작가, KBS 월드의 반미영 작가 관심 덕에 몽골 소식이 명맥을 그나마 유지한 게 천만다행이었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이번 KBS 제1 라디오 방송 복귀는 박유정 작가가 화끈하게 끌어 주는군요.
 
몽골 소식이 한 동안 KBS 제1 라디오 방송에서 단절됐다가 다시 연결된 그 곡절이야, 제 알 바 아니고요. 통신 사정이 열악해서요? 글쎄요! 실상,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2003년 8월 27일에 처음 열린 한반도 주변 6개국의 6자 회담 참가국 중에서, 대한민국과 북한 빼고,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관련 소식에 비해, 몽골 소식의 비중이 다소 경시된 것이 주요 원인이 아니었을까? 추측해 볼 뿐입니다. 아니면 마는 거고요! 그렇습니다. KBS가 부르면 나가고, 안 불러 주면 뒷방에 처박혀 있으면 되는 거지요.하지만, 외식할 때 메인 메뉴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평택 위의) 오산일 겁니다. 왜냐! 추가 공깃밥이 간절할 때가 있으니까요!
 
2018020901071185.jpg
 
KBS 제1 라디오 월드 투데이(2018. 02. 16)
 
KBS 1 라디오 2017. 02. 16() 보도
방송 : 대한민국 시각 오전 09:30 ~ 09:58(~)
97.3 MHz

 
201501055446242.jpg

 
【울란바토르(몽골)=KBS 라디오 '월드 투데이'】
진행 : 김재홍 아나운서
 
몽골의 음력 설날 차간 사르(Tsagaan Sar)
 
2014012430009132.gif
 
201401243017305.gif
2014012431167852.gif
2014012431257700.gif
2014012430083224.gif


Copyright ⓒAlex E. KANG, alex1210@epost.g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4012431342702.gif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175 몽골 척트바타르 외교부 장관, 동방경제포럼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74 몽골 가을 국회 개원 앞두고 임시 국회 소집할 필요 있는가?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73 몽골 바트톨가 대통령, 한국 이낙연 국무총리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72 몽골 최근 4년 사이 국가 예산, 긍정적인 수치로 나타나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71 몽골 동방경제 포럼 시 2조9천억 루블의 협약서 175건 체결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70 몽골 바트톨가 대통령 러시아에서 귀국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9 몽골 최근 9년 동안 입찰의 0.7%에 대형업체, 99.3%에 중소기업들이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8 몽골 투그릭 정기예금 1년 동안 7조에서 9조로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7 몽골 B.Gankhuyag, 내년에 처음으로 국민에게 이윤 배당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6 몽골 시중은행들의 이익이 급락한 원인이 무엇일까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5 몽골 법원 총 자문위원 사무총장에 O.Amgalanbaatar 임명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4 몽골 후렐수흐 총리 미국으로 출국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3 몽골 엥흐볼드 국회의장, 미국 의회 대표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2 몽골 러시아 저리 대출로 제3번 발전소 확장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1 몽골 대사들 신임장 전달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60 몽골 G.Zandanshatar 내각 관방부 장관 내몽골 방문 file 몽골한국신문 18.09.19.
8159 몽골 법원 총 자문위원 사무총장에 O.Amgalanbaatar 임명 file 몽골한국신문 18.09.26.
8158 몽골 후렐수흐 총리 미국으로 출국 file 몽골한국신문 18.09.26.
8157 몽골 엥흐볼드 국회의장, 미국 의회 대표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09.26.
8156 몽골 러시아 저리 대출로 제3번 발전소 확장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