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은행에 투자한 외국계 은행들이 베트남 은행과의 파트너십을 속속 종료하고 있다. 2020년부터 베트남 전(全) 금융권에 바젤 Ⅱ(은행자본 건전화 방안)를 비롯, 은행자본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지분 매각을 통한 자본금 회수는 물론 베트남 금융시장에서의 철수에 나서고 있는 것.

VN익스프레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의 소시에떼 제네랄 은행은 베트남의 동남아 상업은행(SeA Bank) 지분 20%를 매각,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소시에떼 제네랄은 지난 2008년 15%의 지분 보유를 시작으로 점차 투자를 늘려 2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2013년 말 자회사인 소시에떼 제네랄 비엣 파이낸스(SGVF) 지분 100%를 베트남 HD뱅크에 매각한데 이어 동남아 상업은행의 지분 또한 전량 매각한 것이다.

외국계 은행과 베트남 은행 간 파트너십은 10여년 전인 2000년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국계 은행은 베트남 은행들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함으로써 투자를 통한 이익은 물론 베트남 금융시장을 파악하겠다는 계산으로 베트남 진출을 시작했다. 비록 초기 단계의 수준이지만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이 높은 베트남 금융시장은 곧바로 매력적인 파트너로 부상했고, 베트남 은행들 역시 ‘외국 파트너 찾기’ 열풍에 휩싸였다.

2005년 베트남 아시아상업은행(ACB)과 영국 스탠다드차타드, 베트남 테크콤뱅크와 홍콩상하이은행(HSBC), 베트남 사콤뱅크와 호주 ANZ간의 협약이 대표적. 곧이어 베트남 VP뱅크와 싱가포르 OCBC(2006), 베트남 하부뱅크와 독일 도이치뱅크(2007)를 비롯한 다수의 파트너십 체결이 러시를 이루었다. 외국계 은행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유입된 자금은 베트남 금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와 베트남 금융권의 자금부족 현상으로 야기된 정부의 긴축정책 등 베트남 금융시장 역시 위기를 맞이했다. 2011년을 기점으로 베트남 은행가의 외국 파트너 찾기 열풍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부동산과 증권시장에 자본이 쏠리는 등 급격한 시장환경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2012년 호주 ANZ는 사콤뱅크의 지분 10%를 모두 매각하며 파트너 관계를 종료했다. 싱가포르의 OCBC 역시 VP뱅크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2017년에는 홍콩상하이은행(HSBC)이 테크콤뱅크의 지분 20%를 매각했고, 지난해에는 BNP 파리바가 베트남 OCB은행의 지분 19% 가량을 매각하며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외국계 은행 입장에서는 외국 투자자의 지분이 최대 30%로 한정돼 있어 이사회에서 주요 결정을 주도할 수 없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세계 금융시장 전망으로 베트남을 포함한 기존 전략을 수정할 필요를 느꼈다는 얘기도 나온다.

2020년부터 베트남 전 금융권에 바젤 Ⅱ를 비롯, 은행자본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지분 매각을 통해 자본금 회수는 물론 베트남 금융시장에서의 철수에 나섰다는 관측 역시 나온다. 베트남 은행의 악성 부채와 건전성 악화 역시 발목을 잡는데다 최근 베트남에서 강력 시행되고 있는 부패 청산으로 정치적 리스크도 높아졌다.

물론 베트남 내부 요인도 있다. 베트남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국내 투자자들이 외국계 은행의 지분을 매입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 또한 사업 운영 및 전략에 있어 베트남 은행과 외국계 은행 간 의견 차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베트남 금융가에서는 외국계 은행과의 ‘작별’이 대세를 이루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베트남 은행들이 자립하고 있는 추세는 긍정적”이라면서도 “그러나 국내 투자자들이 한정된 상황에서 대규모 금융기관의 경우 외국 자본 유입은 없어서는 안 될 힘이기도 하다”며 우려의 시선을 던지고 있다.

 

[라이프플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1 기타 토론토 전종석(全鐘錫)장로의 북녘사랑 file 옥자 14.04.10.
1190 기타 김정은 몸소 투자 옥자 15.10.22.
1189 기타 서울동정 file YTN_인도 16.06.23.
1188 기타 IS의 현지 자생테러 세력 확충 file YTN_인도 16.07.05.
1187 기타 스턴트 다이빙 file YTN_인도 16.07.25.
1186 기타 기록을 깨버린 2016년 7월 file YTN_인도 16.08.17.
1185 기타 죽음을 무릅쓴 오케스트라 file YTN_인도 17.01.19.
1184 기타 ‘문대통령 베트남국민들에 상처’ file 뉴스로_USA 17.06.16.
1183 기타 북핵파장? 파키스탄 소형핵무기 보유 발표 file 뉴스로_USA 17.09.27.
1182 기타 알자지라, 한반도 전쟁촉발 세가지 가능성 file 뉴스로_USA 17.10.12.
1181 기타 “박항서매직 베트남 미쳤다” file 뉴스로_USA 18.01.21.
1180 기타 7세여아 죽음 분노..국제청원운동 file 뉴스로_USA 18.01.30.
1179 기타 패어팩스 “중국, 바누아투 군사기지 추진…글로벌 위협” 톱뉴스 18.04.12.
1178 기타 美국무부, 북-시리아 정상회담 우려 file 뉴스로_USA 18.06.09.
1177 기타 북미정상 ‘세기의 만남’ file 뉴스로_USA 18.06.12.
1176 기타 ‘김정은 셀카’ 싱가포르 장관 시선집중 file 뉴스로_USA 18.06.14.
1175 기타 “주체탑에 올랐더니 오즈의 마법사 느낌” 한나김 대표 file 뉴스로_USA 18.06.22.
1174 기타 <아시아코레스폰던트>, "보수 위기 속 문재인 물결 지방 선거 휩쓸어" file 코리아위클리.. 18.06.30.
1173 기타 베트남 개발붐에 따른 '샌드 러시' 메콩 삼각주 신음 라이프프라자 18.08.18.
1172 기타 고젝(Go-Jek), 베트남에서 고비엣(Go-Viet)으로 기지개를 켤 수 있을까? 라이프프라자 18.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