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ws_made_from_rice_cassava_and_corn_to_reduce_plastic_use._supplied캄보디아 현재 재료로 생상한 친환경 소재 빨대가 주목받고 있다

 

플라스틱 대신 쌀과 채소로 만든 빨대가 나타났다.

 

친환경 소재로 만든 빨대가 캄보디아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지만, 수입이 아닌 현지 원재료를 공급해 생산하는 첫 현지 기업이라는 점이 괄목할 만하다.

 

TK&D Manufacturing의 대표 팃 속홈은 기존의 플라스틱 빨대 대신 쌀가루에 옥수수, 감자, 판다누스잎 등을 넣어 만든 빨대를 소개했다. 알록달록 사용된 재료에 따라 맛도 조금씩 다른 이 빨대는 찬 음료와 뜨거운 음료 모두에서 1시간 이상 녹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음료를 다 마시고 난 후엔 먹어서 없앨 수 있다. 맛은 와플 마냥 바삭하다.

 

그녀가 남편과 함께 작년 9월에 설립한 회사는 캄보디아에서 무분별하게 소비되는 플라스틱 양에 대한 안타까움과 플라스틱 대체품이 얼마든지 넘쳐나는 다른 나라들을 보며 캄보디아에도 친환경 기업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시작되었다.

 

쌀로 만든 빨대는 먹어 없애지 않더라도 분해가 쉽다는 장점과 동시에 플라스틱 배출 감소와 현지 원재료 소비 등 바람직한 순환고리를 생성하고 있다. TK&D의 쌀, 감자, 옥수수, 당근 빨대는 2022년부터 시장에 등장해 현재 일일 100상자를 생산하고 있다. 마크로와 스나다이미 마트 등에서 50개입 한 상자당 1만 리엘에 판매되고 있다.

 

환경부는 종이컵, 종이 빨대 등 친환경적인 기업들을 칭찬하며 적극 독려했다. 환경부는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생겨나며 에코백, 텀블러, 재활용 봉투 등 탈 플라스틱 활동이 목격되고 있다고 전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5 캄보디아 크언 본뻿모로껏, 올림픽 수영 선수로 출전 뉴스브리핑캄.. 21.07.06.
884 캄보디아 올해 상반기 앙코르와트 입장권 매출 2배 증가 뉴스브리핑캄.. 21.07.06.
883 캄보디아 캄폿 주, 두달만에 전통주 음주 후 5명 또 사망 뉴스브리핑캄.. 21.07.06.
882 캄보디아 훈센 총리, 델타변종 조치사항 이행 촉구 뉴스브리핑캄.. 21.07.06.
881 캄보디아 코로나 양성 외국인, 치료 피해 저항하다 치료소로 강제 이송 뉴스브리핑캄.. 21.07.06.
880 캄보디아 캄보디아 대사관, 태국 내 실직 노동자들에게 식품 기부 뉴스브리핑캄.. 21.07.06.
879 캄보디아 올해 상반기 천연고무 수출액 전년 동기대비 38% 증가 뉴스브리핑캄.. 21.07.12.
878 캄보디아 훈센총리 “불법으로 키우던 사자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뉴스브리핑캄.. 21.07.12.
877 캄보디아 폭풍우가 집중된 바탐방주 가옥 94채 파손 뉴스브리핑캄.. 21.07.12.
876 캄보디아 태국, 캄보디아에서 귀국한 태국인 10명 코로나19 양성 뉴스브리핑캄.. 21.07.12.
875 캄보디아 UNDP "캄보디아 장애인 역량강화 선진국" 뉴스브리핑캄.. 21.07.12.
874 캄보디아 보건부, 코로나19 확진자 재택 치료 행동 요령 영상 발표 뉴스브리핑캄.. 21.07.12.
873 캄보디아 캄보디아-중국 뜨봉크몸 우정병원 건설 70% 뉴스브리핑캄.. 21.07.12.
872 캄보디아 훈센 총리 ‘국가 파산설’ 부인, 코로나19 피해계층 지원할 것 뉴스브리핑캄.. 21.07.12.
871 캄보디아 캄보디아 상반기 농산물 수출, 코로나19에도 85%↑ 뉴스브리핑캄.. 21.07.12.
870 캄보디아 바탐방-반테이민처이 국도 완공 임박 뉴스브리핑캄.. 21.07.12.
869 캄보디아 캄폿과 칸달서 또 발효주 중독 사망자 속출 뉴스브리핑캄.. 21.07.12.
868 캄보디아 보건부, ‘산소부족 걱정 말 것’ 뉴스브리핑캄.. 21.07.12.
867 캄보디아 시엠립 주, 로우 트마이 시장 폐쇄 2주 더 연장 뉴스브리핑캄.. 21.07.12.
866 캄보디아 캄보디아 코로나19 “젊은층→노년층 확산”, 사망자 증가 뉴스브리핑캄.. 2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