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170154_379140694396931_1732909006289879755_n

 

쑨짠톨 공공사업교통부 장관이 캄보디아가 지난 20년 동안 이룬 사회경제적 발전상을 미루어 2050년까지 고중소득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쑨짠톨 장관은 ‘Port EDI’ 시스템 발표회에서 캄보디아의 기대수명, 국내총생산(GDP), 정부예산, 인적자본, 사회기반시설, 최저임금, 항공, 물류, 젠더, 교육, 교통 등을 포함한 주요 지표들을 제시했다.

 

쑨짠톨 장관은 캄보디아인의 기대수명이 1998년 56세에서 2020년 70세로 14세가량 증가했고 빈곤율은 1998년 53%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10%미만으로 감소, 최저임금 역시 40달러에서 192달러까지 증가하면서 GDP 연간 성장률 7% 안팎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캄보디아는 지난 20년 동안 많은 일을 이루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이러한 성과를 세계에 제대로 알릴 기회가 없었다.”며 “이 기회를 빌어 이 자리에 모인 모두와 전 세계에 캄보디아가 이룬 업적들을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정부는 메콩강, 똔레삽강, 바삭강을 가로지르는 1008km의 도로와 20개가 넘는 대형교량을 건설했으며 전국교통량은 1999년 5천대에서 2020년 540만대로 크게 늘어났다”며 “프놈펜과 시아누크빌에 있는 2개 자치항구은 이제 싱가포르나 중국 등 다른 국가의 항구를 거치지 않고 캄보디아 선박들이 바로 미국과 유럽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국제항구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또한 “올해 8월초 쁘락소콘 외교국제협력부장관과 히야시 요시미 일본 외무부장관이 맺은 MOU를 통해 시아누크빌 자치항구에 3억 8322만 달러 규모의 PAS 확장 및 시설 현대화가 이뤄졌다”며 “프놈펜, 시엠립, 시아누크빌 3개 국제공항 역시 확장되어 국외투자자 및 관광객들의 캄보디아 방문 접근성이 상승했으며 기존 위 세 도시에 각각 한 개씩 3개의 공항이 신설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관은 캄보디아가 2050년까지 고중소득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피력했다. 그는 정부 정책과 전국민적 협력을 통해 국가경제가 발전한다면 충분히 가능하고 강조하며 “정부 단독으로는 이 일들을 이룰 수 없으며, 전국민과 협력기관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일본의 도움과 더불어 분명히 캄보디아가 고중소득 국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85 캄보디아 훈센 총리, 캄보디아 의회와 헤어지다 라이프프라자 24.04.02.
1084 캄보디아 프놈펜 시, 교통체증 해결 위한 긴급회의 소집 뉴스브리핑캄.. 23.03.07.
1083 캄보디아 2023 동남아시안게임 선수촌 4월에 개장 뉴스브리핑캄.. 23.03.07.
1082 캄보디아 ‘캄보디아 방문의 해 2023′ 캠페인 시작 뉴스브리핑캄.. 23.03.02.
1081 캄보디아 최초의 과학 기술 행사, 분야의 잠재력을 여는 엑스포 뉴스브리핑캄.. 23.03.02.
1080 캄보디아 보건부, H5N1 조류독감 통제 뉴스브리핑캄.. 23.03.02.
1079 캄보디아 캄보디아, 현지 상품 시장 증대 지원 뉴스브리핑캄.. 23.03.01.
1078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공공버스 인프라 구축, 다음은 시엠립·바탐방 뉴스브리핑캄.. 23.03.01.
1077 캄보디아 Russey Keo 고가 도로, 3월중 임시 개통 뉴스브리핑캄.. 23.03.01.
1076 캄보디아 훈센 총리, 캄보디아-싱가포르 협력강화 제안 뉴스브리핑캄.. 23.03.01.
1075 캄보디아 총리, 총선 전 여론 몰이 시작하나 전 구국당 지지자에게 삼랑시 결별 촉구 뉴스브리핑캄.. 23.02.23.
1074 캄보디아 시하모니 국왕, 오는 총선에 자유롭고 공정한 투표 당부 뉴스브리핑캄.. 23.02.23.
1073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건설 중단 고층 건물 359채 언제 다시 시작하나 뉴스브리핑캄.. 23.02.23.
1072 캄보디아 캄보디아 2022년 세수 122.54%…, 5년 연속 목표치 도달 뉴스브리핑캄.. 23.02.23.
1071 캄보디아 플라스틱 폐기물과 쌀 교환 프로젝트 확대 뉴스브리핑캄.. 23.02.23.
1070 캄보디아 씨엠립, 2024년 초까지 ODF 지위 획득 뉴스브리핑캄.. 23.02.23.
1069 캄보디아 ‘아트 투어’로 새롭게 떠오르는 바탐방 주 뉴스브리핑캄.. 23.02.20.
1068 캄보디아 외국인 거주자 미등록 건물주 대상 과태료 부과 뉴스브리핑캄.. 23.02.20.
1067 캄보디아 훈센 총리, 시진핑 주석 접견…"양국 협력관계 증진" 뉴스브리핑캄.. 23.02.16.
1066 캄보디아 최초의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캄보디아인 생도 뉴스브리핑캄.. 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