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ǹ� �� �ε��� ���� ����

 

세계은행(WB)은 지난 9월 발표한 캄보디아의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유지해 캄보디아의 놀라운 경제 회복세를 강조했다.

 

12월 7일자 WB 성명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의류 산업, 여행 상품 및 신발 수출이 회복세”이다. 서비스 부문, 특히 여행과 관광은 2021년말 ‘코로나19와 함께 생활하기’ 전략이 도입된 이후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외국인 관광객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 첫 9개월 동안 120만 명에 도달했다. 기업과 소비자 신뢰도가 상승했고 국내외 투자가 모두 증가했다. 그러나 잠재적인 외부 충격에 대비해서 관광 산업과 광범위한 경제를 강화하고 재정 상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마리암 셔먼 WB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국장은 “캄보디아가 경제 회복과 행정 개선 덕분에 국가 세금 수입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세금 기반을 확대해서 경제를 진흥하고 주요 교역 상대국의 성장 둔화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관광과 접객업은 특히 성장이 유망한 분야인 데다가 고용 증가가 국내 소비 증가를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이 감소함에 따라 경제 성장률은 내년에 5.2%로 개선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캄보디아는 작은 경제라서 외부 무역과 투자에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럴 때 세계 성장 전망은 우울하다. 2022년 하반기 세계 무역 성장은 둔화하였고 2023년에는 급격히 둔화할 전망이다. 셔먼 국장은 캄보디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의 경제가 인플레이션 상승,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에너지 공급 감소, 금리 상승에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를테면 캄보디아 제조업 부문의 성장은 특히 수출 시장에 의존하는데, 가장 큰 두 수출 시장인 미국과 유럽 연합의 장기 성장 둔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최대 외국인 직접 투자(FDI) 원천인 중국의 지속적인 둔화로 인해 투자와 자본 유입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더 먼 미래를 내다보면 캄보디아 경제는 국제 및 국내 관광이 더 강해짐에 따라 약 6%의 성장률로 발전을 예상한다. 최근 체결된 무역 협정의 가시화로 농업 및 농산물 가공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경제재정부는 11월 28일에 2023년 캄보디아 경제가 6.6% 성장하고 1인당 GDP가 1,924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을 발표했다. 2023년 재정 관리에 관한 법률 초안은 GDP가 내년에 131조 2760억 리엘 또는 약 322억 91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여 2022년 1인당 GDP 전망치 1,785달러보다 대략 8% 증가를 예상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25 캄보디아 세계여성의 날 특집, 캄보디아 대표 우먼파워 뉴스브리핑캄.. 21.03.11.
1024 캄보디아 한국과 캄보디아 정상이 선택한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 백신 뉴스브리핑캄.. 21.04.08.
1023 캄보디아 외국인 거주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신청 본격 시작 뉴스브리핑캄.. 21.04.08.
1022 캄보디아 180도 바뀐 캄보디아설 '쫄츠남'... 올해는 시골집 못 내려가 뉴스브리핑캄.. 21.04.12.
1021 캄보디아 훈센 총리, 아세안 정상회담 참석 차 23일 자카르타로 출국 뉴스브리핑캄.. 21.04.23.
1020 캄보디아 캄보디아 인구 8%, 두 달 만에 백신접종 마쳐 뉴스브리핑캄.. 21.04.23.
1019 캄보디아 통행금지 위반 시 국적불문하고 체포 뉴스브리핑캄.. 21.04.23.
1018 캄보디아 프놈펜시 내 모든 시장 14일간 폐쇄 뉴스브리핑캄.. 21.04.24.
1017 캄보디아 프놈펜, 위험지역 시민 전체에 코로나19 진단검사 실시 뉴스브리핑캄.. 21.04.24.
1016 캄보디아 신규 확진자 655명… 누적 확진자 9천명 육박 뉴스브리핑캄.. 21.04.24.
1015 캄보디아 시민단체, 봉제근로자 출퇴근 트럭 내 코로나19 확산은 ‘시간 문제’ 뉴스브리핑캄.. 21.04.24.
1014 캄보디아 위험지역 내 식료품 판매 ‘원활’… 국영 온라인 마켓 나흘간 주문 400건 넘어 뉴스브리핑캄.. 21.04.24.
1013 캄보디아 포이펫 시 4월 26일부터 5월 9일까지 봉쇄 뉴스브리핑캄.. 21.04.26.
1012 캄보디아 ‘필수활동’인데… 헌병의 폭력에 노출된 배달업 종사자들 뉴스브리핑캄.. 21.04.26.
1011 캄보디아 캄보디아중앙은행 ’300백만 리엘 추첨 지급’ 가짜뉴스에 곤욕 뉴스브리핑캄.. 21.04.26.
1010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군 19일만에 재개장 뉴스브리핑캄.. 21.04.26.
1009 캄보디아 코로나19 위험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 시 검체채취, 격리 의무 뉴스브리핑캄.. 21.04.26.
1008 캄보디아 봉쇄 지역: 공식발표 하루도 안돼 레드 3동 일부 마을, 오렌지 다수 추가 뉴스브리핑캄.. 21.04.28.
1007 캄보디아 인도발 모든 외국인 캄보디아 입국 금지 뉴스브리핑캄.. 21.04.28.
1006 캄보디아 올해 4분기 백신 접종한 외국인 관광객 맞이 준비 뉴스브리핑캄.. 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