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전력 등으로 호주에서 추방된 뉴질랜드인들로 인해 국내에서 갱단 관련 활동이 크게 늘어났다는 주장이 경찰의 고위 당국자로부터 나왔다. 

 

뉴질랜드 경찰청의 '조직범죄(Organised Crime)' 담당인 그렉 윌리엄스(Greg Williams) 총경은 6월 17일(월) 오전에 국내 한 언론과 이뤄진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그에 따르면 지난 2011년과 2012년에 국내에 처음으로 '레벨스(Rebels)'와 '밴디도스(Bandidos)' 갱단이 등장하는 등 호주에서 추방 정책이 본격화된 후 국내의 갱단 단원이 증가하고 활동 역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코만치로스(Comancheros)' 갱단도 설립됐는데, 전원 추방자로 구성된 9명이 국내에서 해당 갱단을 결성했다고 윌리엄스 총경은 밝혔다. 

  

특히 이들 갱단들은 국내의 마약시장을 놓고 기존 갱단들과 주도권 다툼을 벌이면서 세력 확장에도 열심인 실정이다. 

 

윌리엄스 총경은 오클랜드에서만 매주 8kg에 달하는 메스암페타민이 소비되면서 400만달러가 갱단에 유입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는 매주 13~16kg의 메스암페타민이 소비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갱단을 포함한 마약 관련 범죄조직에는 매년 6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윌리엄스 총경은 추정했다. 

 

특히 갱단들은 마약시장에서 자신들의 몫을 늘리기 위해 신규 단원 모집에 활발히 나서고 있으며, 고가의 차량이나 모터바이크 등을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보여주면서 젊은이들을 끌어모으는 중이다. 

 

윌리엄스 총경은 이로 인해 최근 들어 갱단 단원들이 크게 증가하고 폭력적인 활동도 늘어났다면서, 호주 추방자들로 인해 이들과 관련된 세상의 모습이 크게 변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84 뉴질랜드 남북섬 오가는 인터아일랜드 페리, 한국에서 만들 예정 file NZ코리아포.. 20.12.24.
1483 뉴질랜드 뉴질랜드 정부, 호주 자유 여행 내년 1분기로 설정 file NZ코리아포.. 20.12.15.
1482 뉴질랜드 전국 최초 “반려견 입양 전용 카페 문 연다” file NZ코리아포.. 20.12.11.
1481 뉴질랜드 “김치는 이렇게 담가야...” 자매도시공원에서 열린 ‘DIY 김치데이’ file NZ코리아포.. 20.12.10.
1480 뉴질랜드 술 사려고 9살짜리 아들 운전시킨 철없는 아빠 file NZ코리아포.. 20.12.10.
1479 뉴질랜드 아던 총리, 세계에서 32번째 영향력있는 여성 file NZ코리아포.. 20.12.10.
1478 뉴질랜드 2030년 “NZ 인구 5명 중 한 명은 65세 이상” file NZ코리아포.. 20.12.08.
1477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부 한 바, 경찰관도 함께 노래 실력 보여 file NZ코리아포.. 20.11.30.
1476 뉴질랜드 밀포드 트랙 전 구간, 다시 문 열어 file NZ코리아포.. 20.11.30.
1475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무역흑자 “28년 만에 최대 기록” file NZ코리아포.. 20.11.29.
1474 뉴질랜드 NZ, 자유 무역 협의 FTA에 서명 file NZ코리아포.. 20.11.16.
1473 뉴질랜드 ‘코로나19’ 백신 “내년 초에 국내에도 공급될 듯” file NZ코리아포.. 20.11.10.
1472 뉴질랜드 해외 거주 키위 50만 명, 뉴질랜드로 귀국 예정 file NZ코리아포.. 20.11.09.
1471 뉴질랜드 2020 총선 공식 결과 발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 file NZ코리아포.. 20.11.09.
1470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가장 아름다운 도시, '해밀턴과 황가누이' NZ코리아포.. 20.11.02.
1469 뉴질랜드 금년 NZ 최고 소시지는 “조카와 숙모가 만든 스웨덴식 소시지” NZ코리아포.. 20.10.31.
1468 뉴질랜드 COVID-19 8월 18일 오후 , 새로운 감염자 13명 일요시사 20.08.18.
1467 뉴질랜드 ( 속보 ) 임금 보조금 2주연장,모기지 6개월 연장 일요시사 20.08.18.
1466 뉴질랜드 (속보) 오클랜드 12일동안 레벨 3 연장 일요시사 20.08.18.
1465 뉴질랜드 자신다 아던 총리, 문 대통령과 한국 외교관 성추행 의혹건 언급 NZ코리아포.. 2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