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코리아포스트) 현재 국내에서 사는 흑고니(black swan)’는 오래 전부터 이 땅에 서식하던 흑고니와는 다른 종류이며 당시 흑고니는 호주 흑고니와는 다른 종류였다는 학설이 제기됐다.

 

이 같은 의견은 오타고 대학 고생물유전학 연구실의 닉 로렌스(Nic Rawlence) 박사의 연구 결과 나왔는데마오리어로 포우와(Poūwa)로 불리는 토종 흑고니는 과거 13세기에 마오리 부족이 들어온 뒤 인간에 의해 멸종됐다.

 

로렌스 박사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200~300만년 전 홍적세 빙하기에 호주에서 뉴질랜드 본토와 채텀(Chatham)섬으로 처음 유입됐던 흑고니는 이후 처음보다 몸집이 거의 두 배 가까이 커지는 등 유전적으로 호주 흑고니와는 다른 종류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학자들은 마오리들이 처음 정착하던 당시에 뉴질랜드에 흑고니가 이미 살고 있었으며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흑고니들 역시 이와 같은 종류인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미 유럽인들이 도래하던 시기에 토종의 흑고니는 이미 멸종 당했으며 이들의 자취는 현재는 당시에 살던 인간들의 유골과 함께 발견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로렌스 박사는 또한출토된 흑고니의 다리 뼈 길이를 분석한 결과 흑고니가 다른 토종 조류들처럼 점점 비행 능력을 상실해가는 과정 중에 멸종된 것으로 보이는 흥미로운 결과도 도출됐다고 전했다.

 

현재 국내 각지에 서식하는 흑고니는 1860년 무렵 호주 멜버른에서 처음 가져오는 등 국내에 인위적으로 도입한 것들의 후손들인데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흑고니는 호주 토종 조류이며 다른 종류들과는 달리 한 곳에 터를 잡고 사는 텃새이다.

 

흑고니는 1697년에 네덜란드의 탐험가인 윌리엄 드 블라밍(Willem de Vlamingh)이 호주 서부에서 처음 발견해 지금도 서호주주를 상징하는 동물로 호주에서는 1974년부터 보호종이 됐다.

 

한편 이른바 블랙 스완이라는 말은 검은 백조라는 말 그대로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것을 의미했는데그러나 호주에서 흑고니가 실제 발견된 후에는 관찰과 경험에 의존한 예측을 벗어나 예기치 못한 극단적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는 말로 바뀌었다.

 

이 용어는 특히 지난 2007년 월가의 허상을 파헤치며 2008년의 증시 대폭락과 국제 금융위기를 예언했던 경제분석가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쓴 베스트셀러의 책 제목이었던 블랙 스완을 통해 더 널리 알려졌다. (사진은 로토루아 호수의 흑고니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4 뉴질랜드 관광섬 훼손 관련 취재 중이던 NZ언론인, 피지에서 구금돼 NZ코리아포.. 19.04.04.
183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가 소폭 하락, 지방은 더욱 느린 비율로 상승 NZ코리아포.. 19.04.04.
182 뉴질랜드 넬슨 만델라의 생애를 담은 전시회, 오클랜드에서 개최 예정 NZ코리아포.. 19.04.12.
181 뉴질랜드 오토바이 갱단 급습한 경찰, 370만달러 상당의 자산들도 압류해 NZ코리아포.. 19.04.12.
180 뉴질랜드 IS에 납치된 NZ간호사 아카비 이름 공개, 신변 위험 우려 제기 NZ코리아포.. 19.04.16.
179 뉴질랜드 새로운 여론조사, 아던 총리 취임 후 최고 지지율 51%기록 NZ코리아포.. 19.04.16.
178 뉴질랜드 지난해 스피드 카메라로 적발된 벌금 액수, 2013년도의 20배 NZ코리아포.. 19.04.16.
177 뉴질랜드 NZ사람들, 건강이나 가난보다 휘발유 가격을 더 걱정 NZ코리아포.. 19.04.17.
176 뉴질랜드 국민 대다수 “정부 총기관리 정책 변화 ‘옳다’” NZ코리아포.. 19.04.17.
175 뉴질랜드 정부, 양도 소득세 도입 중단하기로 결정 NZ코리아포.. 19.04.19.
174 뉴질랜드 40시간 그네타기 기네스북 도전한 소년... NZ코리아포.. 19.04.19.
173 뉴질랜드 주거 관련 도움 요청 사례, 최고의 기록 NZ코리아포.. 19.04.19.
172 뉴질랜드 다섯 명 중 한 명, 은행으로부터 불필요한 금융 상품 제시받고 있어. NZ코리아포.. 19.04.26.
171 뉴질랜드 아던 총리 연봉 47만 달러, 세계 정상들 중 7번째 NZ코리아포.. 19.04.26.
170 뉴질랜드 NZ 교육사절단, 한국학교 답사 - NZ-한국 학교들 간 교육교류‧협력 활성화 기대 NZ코리아포.. 19.04.29.
169 뉴질랜드 혹스 베이 주택 위기, 올 겨울 모텔에 400명 넘는 어린이 살기 시작 NZ코리아포.. 19.04.29.
168 뉴질랜드 2014년 이후 강제 추방된 어린이 절반, 뉴질랜드에서 태어나 NZ코리아포.. 19.04.29.
167 뉴질랜드 아던 총리, 세계 각국 대표 회담 통해 폭력물 등 전파 못하게... NZ코리아포.. 19.05.15.
166 뉴질랜드 리콜 중인 안전벨트 "아직도 많은 차들이 그대로..." NZ코리아포.. 19.05.15.
165 뉴질랜드 4명의 키위 대학생, NASA 인턴쉽에 선정돼 NZ코리아포.. 19.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