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간 280억 달러의 예산을 들여 오클랜드의 도로를 개선하는 방안이 어제 발표되었다.

 

어제 필 트와이포드 교통부 장관과 필 고프 오클랜드 시장은,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실이 시작할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큰 토목 건축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트와이포드 장관은,철도와 버스 업그레이드,펜링크와 밀 로드, 안전 개선,그리고 자전거 도로 등 필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펜링크는 왕가파라오마 페닌술라와 북부 고속도로를 잇는 새 연결도로이며 남부에서 진행될 밀 로드프로젝트는 마누카우에서 타카니니 그리고 드루리까지 연결도로를 개선할 프로그램이다.

 

이번 투자는 오클랜드 지역 연료세 부과로 얻은 44억 달러의 예산,국가 토지 교통자금으로부터의 수입 상승 그리고 새 펀딩 메커니즘인 크라운 인프라 스트럭쳐 파트너의 지원으로 실현된다. 

 

어제 공개된 토목 건축 프로젝트는 뉴질랜드 사상 최대 금액의 개발 계획이지만, 오클랜드 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남부지역에는 그리 큰 혜택이 없다고 불만을 표하고 있다.

 

정부는 280억 달러를 들여 도로와 철도, 자전거 전용 도로 등을 앞으로 십 년 이내에 오클랜드 도로 교통을 개선시키는 계획을 발표하였지만, 남부 지역 거주 시민들에게는 밀 로드와 푸케코헤 전철 사업 그리고 파파쿠라와 드루리 모터웨이 확장 공사 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약 6Km 구간의 밀 로드는 1번 모터웨이로 연결되는 일차선 도로로 매일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큰 불편을 끼치고 있으나, 5억 달러의 비용으로 소통을 개선하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10년 이내에 타카니니 남쪽에 만 천 세대의 신규 주택 건설 계획을 갖고 있어, 늘어나는 인구에 비하여 교통 개선 대책 계획은 충분하지 않다고 남부 지역 거주 시민들은 불만을 표하고 있다.

   

제공 :  KCR 방송  ▶ www.planetaudio.org.nz/korean-catholic-radio​​ ​ 

 

 자원봉사자들이 운영해가는 KCR방송, 여러분의 작은 후원이 큰 힘으로 거듭납니다. 

 후원 계좌 02-1241-0501134-05   문의 이메일 nzkcr@hotmail.com

 

ca4390613cf3b618765463b08c351663_1524773
▲이미지 출처 : 필 고프 오클랜드 시장 트위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4 뉴질랜드 카드로나 스키장 “국내 최대 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8.07.12.
683 뉴질랜드 NZ 최저임금 등 인상 향후 5년간 계속... NZ코리아포.. 18.07.13.
682 뉴질랜드 온라인으로 구입한 총기, 문 앞에 그냥 두고 가버린 택배회사 NZ코리아포.. 18.07.14.
681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몰려든 전국의 ‘레고(Lego)마니아들’ NZ코리아포.. 18.07.14.
680 뉴질랜드 뉴질랜드 병원 직원들-매일 폭력에 노출되는 사건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679 뉴질랜드 키위 아기를 아프게 하는 매독 감염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678 뉴질랜드 CHCH를 무대로 활동했던 미국 NASA의 ‘하늘 천문대’ NZ코리아포.. 18.07.16.
677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서 예쁜 꽃들 훔쳐간 도둑 NZ코리아포.. 18.07.17.
676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인도로 가던 20대 나이의 국제선 탑승객, 심장마비로 숨져 NZ코리아포.. 18.07.17.
675 뉴질랜드 경찰의 자동차 추적 건수, 지난 8년간 60%이상 증가 NZ코리아포.. 18.07.17.
674 뉴질랜드 오클랜드 아파트 건설 붐, 올해 안에 2천 7백 세대 신축 NZ코리아포.. 18.07.17.
673 뉴질랜드 펭귄 포함한 남극 생물들, 플라스틱 위협에 노출돼 NZ코리아포.. 18.07.17.
672 뉴질랜드 중국인이 가고 싶은 나라 3위, 뉴질랜드 NZ코리아포.. 18.07.18.
671 뉴질랜드 NZ, 가계 생활비 비용, 지난 한해 동안 3.1% 늘어나 NZ코리아포.. 18.07.18.
670 뉴질랜드 주 4일 근무,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 완화에 도움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07.18.
669 뉴질랜드 뉴질랜드 젊은이들, 벤처 사업 투자보다 주택 구입 위한 저축 NZ코리아포.. 18.07.21.
668 뉴질랜드 뉴질랜드 과학자들, 식물 유전자 변형 개발 가능성 소개 NZ코리아포.. 18.07.21.
667 뉴질랜드 이민자 간호사, 인종 차별과 문화적 갈등 계속돼 NZ코리아포.. 18.07.21.
666 뉴질랜드 미 달러 대비 키위 달러 가치 하락, 일부 소비재 가격 안정 NZ코리아포.. 18.07.23.
665 뉴질랜드 센터럴 오클랜드 임대 주택 공급 증가, 일부 임대료 인하 NZ코리아포.. 18.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