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진화론).jpg

오늘날의 인류는 환경에의 적응 과정을 통해 진화해 온 것인가, 아니면 신(God)의 의도에 따른 것인가. 호주 생물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지난 32년간의 장기 설문조사 결과는 ‘진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NSW대학교 마이크 아처 교수, 창조론-진화론 장기 조사

 

호주 대학에서 생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흥미로운 조사 결과나 나왔다. 특히 이 조사는 한 시대의 학생들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32년 전인 1986년부터 매년 이어져 왔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에 따르면 조사가 시작된 첫 해(1986년) 창조론을 부정한 학생은 전체의 25%에 불과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를 통해 오늘날의 인류가 존재했다’고 인식하는 이들의 비중이 높아져 지난해 조사에서는 62%에 달했다.

NSW대학교 마이크 아처(Mike Archer) 교수는 지난 1986년부터 각 대학 생물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God)이 인류 진화에 기여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아처 교수는 “학생들에게 ‘진화의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 시간 낭비는 아닌가’ 하는 데 생각이 미쳤고, 그래서 생물학을 전공하는 이들 중 어느 정도가 ‘창조론’을 믿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었다”는 말로 이 조사를 진행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아처 교수는 조사를 시작하면서 △1만 년 전 신이 인류를 창조했다(창조론), △신은 수백 만 년 전부터 인류의 진화를 이끌었다, △신은 인류 진화와 관련이 없다,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해 언급할 의견이 없다 등 네 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물었다.

아처 교수는 “첫 해 조사에서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창조론’을 믿는 학생들의 비율이 10%에 달한 것이다. 아처 교수는 “내가 알고 있는 창조론자들은 이 조사 결과를 보고 ‘앞으로 이 비중은 더 높아질 것’이라는 말을 했다”면서 “그래서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보고자 같은 내용의 조사를 계속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 God vs evolution; 호주 대학생(생물학과)들의 생각은?

▲ 신은 진화에 관여하지 않았다

1986 : 25%

1988 : 36%

1990 : 28%

1992 : 37%

1994 : 42%

1996 : 41%

1998 : 37%

2000 : 37%

2002 : 44%

2004 : 46%

2006 : 43%

2008 : 41%

2010 : 48%

2012 : 55%

2014 : 55%

2016 : 62%

2017 : 62%

 

▲ 신이 인류 진화를 주도했다

1986 : 50%

1988 : 47%

1990 : 54%

1992 : 38%

1994 : 43%

1996 : 45%

1998 : 43%

2000 : 43%

2002 : 36%

2004 : 32%

2006 : 36%

2008 : 31%

2010 : 34%

2012 : 29%

2014 : 26%

2016 : 24%

2017 : 25%

 

▲ 신이 인류를 창조했다(창조론)

1986 : 10%

1988 : 17%

1990 : 11%

1992 : 14%

1994 : 12%

1996 : 12%

1998 : 10%

2000 : 8%

2002 : 15%

2004 : 12%

2006 : 11%

2008 : 12%

2010 : 7%

2012 : 8%

2014 : 7%

2016 : 5%

2017 : 4%

 

▲ 잘 모르겠다

1986 : 15%

1988 : 0%

1990 : 7%

1992 : 11%

1994 : 3%

1996 : 2%

1998 : 10%

2000 : 12%

2002 : 6%

2004 : 10%

2006 : 10%

2008 : 16%

2010 : 11%

2012 : 9%

2014 : 12%

2016 : 8%

2017 : 9%

(이 조사는 1986년부터 2017년까지 생물학과에 입학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한 자료임)

Source: M.Archer. 과학저널 ‘Evolution: Education and Outreach’ 게재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진화론).jpg (File Size:62.3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37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총생산 6천억 달러 벽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6 호주 호주 유권자 46%, “무슬림 이민자 수용 제한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5 호주 NSW 주, ‘시간제 주차’ 차량에 10분의 유예 시간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4 호주 ‘마틴 플레이스’ 트리 점등으로 올 크리스마스 시즌 이벤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3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18- Best Concept Car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2 호주 호주는 세계 최고 도박지출국? ‘그렇다’에 ‘베팅’해도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1 호주 싱가포르 항공, ‘AirlineRatings’ 선정 ‘세계 최고 항공사’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일부 지역 ‘초고밀도’ 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29 호주 각국별 교사 연봉과 ‘스승에 대한 존경’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28 호주 시드니 북부 ‘포트 매콰리’ 인구, 빠르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27 호주 캔터베리 병원, 지역민 위한 ‘오픈 데이’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726 호주 호주 사커루즈, 한국 전 대비 최정예 멤버 구성…해외파 전원 합류 톱뉴스 18.11.19.
2725 호주 ‘딸기 속 바늘 테러’ 용의자 체포…50세 여성 톱뉴스 18.11.19.
2724 호주 멜버른 도심 ‘칼부림 테러’ 범인은 지하디스트…? 톱뉴스 18.11.19.
2723 호주 NSW 주 노동당, 폴리 사임 후 마이클 데일리 새 대표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722 호주 멜번 흉기난동자 정신질환 병력? 모리슨 총리, “궁색한 변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72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그리고 100 years Armistice Day...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720 호주 퀸즐랜드 경찰, 충격의 ‘딸기 바늘 테러’ 용의자 1명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719 호주 글로벌 도시 임대료 조사, ‘피트 스트리트 몰’ 세계 8위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718 호주 ‘에어비앤비’ 숙소들, 임대수요 많은 지역 세입자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