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권 파워 1).jpg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회사인 ‘Henley & Partners’가 지난 2006년부터 조사해 내놓는 ‘2018 Henley Passport Index’ 최근 집계 결과 일본 여권이 전 세계에서 가장 ‘파워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여권은 전 세계 190개 국가를 입국사증 없이 방문 가능하다.

 

한국은 188개 국으로 3위... 일본(190개 국), 싱가포르 제치고 1위에

 

호주 여권으로 전 세계 국가를 여행할 경우 입국사증(VISA) 없이 방문이 가능한 국가는 183개국이었다. 또 한국 여권은 호주보다 5개 국 많은 188개 국가로 글로벌 ‘여권 파워’ 순위로는 3위에 랭크됐다.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사로, 전 세계 25국에 법인을 두고 있는 ‘Henley & Partners’가 지난 2006년부터 조사해 내놓는 ‘2018 Henley Passport Index’에 따르면 1위는 일본 여권으로, 기존 싱가포르(189개 국가)를 제치고 가장 ‘파워풀’한 여권으로 나타났다. 일본 여권은 전 세계 190개 국가를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다.

‘Henley & Partners’의 올해 인덱스에서 한국과 같이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188개국인 여권은 독일, 프랑스였으며, 이어 187개 국가인 덴마크, 필란드, 이탈리아, 스웨덴, 스페인 등 유럽 국가가 4위에 올라 있다.

미국은 186개 국으로 영국,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과 함께 5위에, 캐나다는 185개 국으로 아일랜드, 벨기에, 스위스와 함께 6위를 기록했으며 호주는 183개 국으로 그리스, 몰타와 나란히 7위에 랭크됐다.

 

종합(여권 파워 2).jpg

호주 여권으로는 현재 183개 국가를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으며 한국은 무비자 방문 가능 국가가 188개 국으로 ‘여권 파워’ 순위로는 세 번째이다.

 

‘Henley Passport Index’는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국 여권이 다른 국가로 얼마나 쉽게 입국할 수 있는지를 순위로 매긴 것이다.

일본은 이달 초 미얀마 정부가 비자면제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싱가포르를 제치고 가장 많은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가 됐다.

반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30개 국), 소말리아와 시리아(32개 국)는 이번 ‘파워풀’ 여권 순위에서 이전 조사와 변동 없이 최하위에 자리했으며, 북한(42개 국)은 스리랑카, 에티오피아와 함께 99위였다.

이전 조사와 비교해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가 크게 늘어난 여권은 조지아(Georgia)로 전년도보다 18개국이 늘어난 112개 국으로 50위에 올랐으며 우크라이나 17개 국 확대(41위), 아랍에미리트 17개 국 확대(21위), 중국은 14개국이 늘어나 71위에 자리했다.

 

■ 파워풀 여권 순위

1. Japan : 190

2. Singapore : 189

3. South Korea, France. Germany : 188

4. Denmark, Finland, Italy, Spain, Sweden : 187

5. Austria, Luxembourg, Netherlands, Norway, Portugal,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 186

6. Belgium, Canada, Ireland, Switzerland : 185

7. Australia, Greece, Malta : 183

8. Czech Republic, New Zealand : 182

9. Iceland : 181

10. Hungary, Malaysia, Slovenia : 180

 

■ 무비자 입국 국가 수 최하위 순위

106. Afghanistan, Iraq : 30

105. Somalia, Syria : 32

104. Pakistan : 33

103. Yemen : 37

102. Eritrea, Palestinian Territory, Sudan : 39

101. Nepal : 40

100. Bangladesh, Lebanon, Libya, South Sudan : 41

99. Ethiopia, North Korea, Sri Lanka : 42

98. Congo(Dem. Rep.), Iran : 43

97. Kosovo : 44

 

■ 전년도 대비 여권 파워 최대 확대 국가

-Georgia(50번째) : 112개 국(18개 국 확대)

-Ukraine(41번째) : 128개 국(17개 국 확대)

-United Arab Emirates(21번째) : 161개 국(17개 국 확대)

-China(71번째) : 74개 국(14개국 확대)

Source : Henley Passport Index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권 파워 1).jpg (File Size:28.5KB/Download:19)
  2. 종합(여권 파워 2).jpg (File Size:76.4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17 호주 세 번째 ‘연말 대목’도 물거품... 도심 스몰비즈니스들 ‘울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6 호주 광역시드니 두 번째 도심, 호주 최초로 ‘금연구역’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5 호주 해외 이민자 증가, 시드니 등 동부 지역 도시 ‘주택 수요’ 부추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4 호주 “한국 개천절을 축하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3 호주 호주 다큐멘터리 감독, 캄보디아서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동부지역 헤리티지 아파트, 10년 전 비해 거의 2배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11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재점화 톱뉴스 18.09.27.
2610 호주 애완견을 솜사탕으로… ‘동물미용 연금술사’…애견 미용사 지은정 톱뉴스 18.09.27.
2609 호주 아픔을 극복하게 해준 뮤지컬, 배우 김예랑 톱뉴스 18.09.27.
2608 호주 '환불 거부' 복지수당 부당 수급자 출국 금지 톱뉴스 18.09.27.
2607 호주 시드니 제2국제공항 첫삽…2026년 1터미널 개항 예정 톱뉴스 18.09.27.
2606 호주 자유당, 토니 애벗 정계은퇴 압박...애벗 '버티기'   톱뉴스 18.09.27.
2605 호주 모리슨 연방총리, 남녀임금격차 실태 공개 움직임에 반대 표명 톱뉴스 18.09.27.
2604 호주 RBA “주택시장 둔화세, 금융권 안정 저해하지 않을 것” 톱뉴스 18.09.22.
2603 호주 인구 고령화 속 장년층 홈리스 급증 톱뉴스 18.09.22.
2602 호주 WWF “NSW 코알라, 2050년 멸종위기 직면” 경고 톱뉴스 18.09.22.
2601 호주 공정근로 옴부즈맨, 도미노 피자 저임금 의혹 전방위 조사 확대 톱뉴스 18.09.22.
2600 호주 말콤 턴불 ‘뒤끝 작렬’…피터 더튼 끌어내리기 움직임 톱뉴스 18.09.22.
2599 호주 호주 8월 실업률 5.3%...안정세 유지 톱뉴스 18.09.22.
2598 호주 딸기 속 바늘 범죄 – 호주 전역 확산 우려 톱뉴스 18.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