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신생아).jpg

제왕절개를 통한 출산은 복잡한 임신과 출산 문제를 가진 여성에게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있고 의학 발달로 위험 또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전 세계 60% 이상 국가에서 제왕절개 출산이 과용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 세계 신생아들 21%, ‘Caesarean section’으로 출생

의학 저널 ‘The Lancet’ 기고 논문들, “지나친 남용” 지적

 

제왕절개를 통한 신생아 출산은 전 세계 각국의 가장 일반적인 의료 시술 중 하나이다.

이는 복잡한 임신과 출산 문제를 가진 여성에게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전혀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의학 발달로 제왕절개의 위험성은 현저히 감소했으나 분만 과정에서 출혈이 많으며 필요한 경우 수혈을 해야 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또 모든 개복 수술에는 내부 장기의 손상 위험이 따르며 수술 후 피부 절개가 심할 경우 근막과 자궁에 감염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지적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sation)는 전 세계 임산부의 10-15%가 출산 과정에서의 합병증 때문에 제왕절개술(Caesarean section. C-section)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영국 기반의 의학 저널 ‘The Lancet’ 기고를 통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C-section을 통한 출산이 놀라운 증가를 보이고 있다”고 경고한다. ‘The Lancet’은 가장 오래됐으며(1823년 설립) 최고 명성을 인정받는 의학 관련 전문지이다.

가장 최근의 ‘The Lancet’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의 21%가 C-section을 통해 태어났다. 이는 15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전 세계 69개 국가의 최근 데이터를 집계한 ‘The Lancet’의 자료는 60% 이상 국가에서 C-section이 과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호주의 신생아는 32.7%가 C-section으로 출생하고 있으며, 이는 OECD 평균 25.7%를 크게 웃도는 비율이다. 반면 일부 국가에서는 절반 이상이 제왕절개 비율을 보이고 있다.

‘The Lancet’ 자료에 따르면 사회경제 수준이 높은 국가에서 C-section이 보다 보편화되고 있으며 도시 거주자 및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들에게서 늘어나고 있다.

 

■ 전 세계 제왕절개 비율

(신생아 중 C-section 출생 비율. 상위 50개 국가)

-Dominican Republic : 58.1

-Brazil : 55.5

-Egypt : 55.5

-Turkey : 53.1

-Venezuela : 52.4

-Chile : 46

-Paraguay : 45.9

-Iran : 45.6

-Ecuador : 45.5

-Mauritius : 44.7

-Maldives : 41.1

-Mexico : 40.7

-Cuba : 40.4

-Bulgaria : 39.1

-Republic of Korea : 38

-Hungary : 37.2

-Georgia : 36.5

-Poland : 36.2

-Italy : 35.3

-China : 34.9

-Colombia : 34.4

-Puerto Rico : 34.3

-Belize : 34.2

-Romania : 34.2

-Switzerland : 33.4

-USA : 32.9

-Thailand : 32.7

-Australia : 32.7

-Malta : 32.4

-Portugal : 32.3

-Germany : 30.2

-Slovakia : 30.2

-Ireland : 30.1

-Nicaragua : 29.7

-Uruguay : 29.6

-Serbia : 29.3

-Argentina : 29.1

-Macedonia : 28.9

-Austria : 28.7

-Guatemala : 28.5

-Jordan : 28

-Luxembourg : 27.8

-Panama : 27.7

-Azerbaijan : 27.6

-Vietnam : 27.5

-Canada : 27.1

-Belarus : 27.1

-Tunisia : 26.7

-Bolivia : 26.7

-Syria : 26.4

Source: The Lancet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신생아).jpg (File Size:32.0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77 호주 공정근로 옴부즈맨, 도미노 피자 저임금 의혹 전방위 조사 확대 톱뉴스 18.09.22.
2676 호주 WWF “NSW 코알라, 2050년 멸종위기 직면” 경고 톱뉴스 18.09.22.
2675 호주 인구 고령화 속 장년층 홈리스 급증 톱뉴스 18.09.22.
2674 호주 RBA “주택시장 둔화세, 금융권 안정 저해하지 않을 것” 톱뉴스 18.09.22.
2673 호주 모리슨 연방총리, 남녀임금격차 실태 공개 움직임에 반대 표명 톱뉴스 18.09.27.
2672 호주 자유당, 토니 애벗 정계은퇴 압박...애벗 '버티기'   톱뉴스 18.09.27.
2671 호주 시드니 제2국제공항 첫삽…2026년 1터미널 개항 예정 톱뉴스 18.09.27.
2670 호주 '환불 거부' 복지수당 부당 수급자 출국 금지 톱뉴스 18.09.27.
2669 호주 아픔을 극복하게 해준 뮤지컬, 배우 김예랑 톱뉴스 18.09.27.
2668 호주 애완견을 솜사탕으로… ‘동물미용 연금술사’…애견 미용사 지은정 톱뉴스 18.09.27.
2667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재점화 톱뉴스 18.09.27.
266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동부지역 헤리티지 아파트, 10년 전 비해 거의 2배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5 호주 호주 다큐멘터리 감독, 캄보디아서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4 호주 “한국 개천절을 축하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3 호주 해외 이민자 증가, 시드니 등 동부 지역 도시 ‘주택 수요’ 부추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2 호주 광역시드니 두 번째 도심, 호주 최초로 ‘금연구역’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1 호주 세 번째 ‘연말 대목’도 물거품... 도심 스몰비즈니스들 ‘울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60 호주 전 세계 항공기 승객 최다 구간은 김포-제주 노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59 호주 Oktoberfest parties in Sydney 20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2658 호주 금융 및 보험-교육-보건 분야 종사자의 지역별 소득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