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 부).jpg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 은행이 각국의 개인별 자산을 집계한 ‘2018 Global Wealth Report’ 결과, 호주인의 중간 부(median wealth. 순자산 기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드니의 부유층 지역으로 꼽히는 포인트파이퍼(Point Piper)에서 바라본 시드니 하버.

 

‘2018 Global Wealth’ 보고서... 부의 불평등도 선진국 비해 덜한 편

 

각국의 개인별 자산을 집계한 결과 호주인의 ‘중간 자산’(median wealth)이 스위스를 제치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주 금요일(1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한 조사 결과를 인용, 보도했다.

이는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 은행이 이날 공개한 ‘2018 Global Wealth Report’ 결과로, 호주는 각 성인별 중간 자산 규모에서 전 세계 최상위를 이어오던 스위스를 앞섰다. 특히 호주인은 전 세계 기준보다 크게 높을 뿐 아니라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인구 전반에 고르게 부(wealth)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은 이번 보고서의 ‘부’에 대해 주거용 부동산, 예금, 주식 및 ‘수퍼’(퇴직연금) 등 모든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기준으로 한다고 밝혔다.

그 결과 호주인들의 중간 순자산 규모는 미화 191,453달러로 집계됐다. 보고서가 공개된 지난 10월19일 환율을 기준으로 보면 호주화 27만 달러 규모이다. 이는 스위스 사람들의 중간 순자산 183,339 달러(미화)를 앞서는 수치이다.

하지만 스위스는 성인 1인당 ‘평균’ 순자산 규모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이 전 세계 성인들의 순자산 규모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0년 이후 스위스는 가장 높은 순자산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성인들의 1인당 ‘평균’ 자산은 411,060달러(미화)이다. 호주화로 환산하면 약 58만 달러에 달한다.

‘평균’ 자산은 거대한 부를 차지한 소수의 사람들로 개인별 고른 자산 소유 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중간’ 자산 평가에 비해 오해를 줄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는 백만장자 수에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

호주의 부동산 붐과 정부에서 강제적으로 도입한 ‘수퍼’ 시스템은 128만8천 명의 백만장자(미화 기준)를 만들어냈다. 미화로 ‘백만장자’ 반열에 들려면 호주화 순자산이 약 140만 달러를 보유해야 한다. 이는 호주 달러로 ‘백만장자’를 집계할 경우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레디트스위스는 2023년까지 호주인 백만장자(미화 기준)가 41% 늘어난 181만4천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백만장자 수에서 이탈리아를 뛰어넘어 전 세계 8번째 수준이다.

호주는 또한 5천만 달러 이상의 순자산을 가진 성인들 수에서도 전 세계 10번째 국가이다. 이들의 순자산을 호주화로 환산하면 7천만 달러가 넘는 셈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5천만 달러의 ‘슈퍼 부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4만9,890명이 있으며 이중 미국인이 절반 수준인 7만540명, 호주인은 2,910명이다.

크레디트스위스 은행 호주법인 최고 경영자인 존 녹스(John Knox) CEO는 이번 보고서에서 호주의 경제 기반은 아주 강하다고 평가하면서 “운이 좋게도, 우리(호주)는 매우 부유할 뿐 아니라 부의 불평등 또한 다른 선진국에 비해 훨씬 덜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인 부).jpg (File Size:87.5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97 호주 뷰티산업 붐, 경제 불황도 빗겨가는 ‘외모 가꾸기’ 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696 호주 연령별 호주 여성들, ‘자기만의 시간’은 어느 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695 호주 IPART, 카운슬 비용 인상... 에너지-건설비용 상승 이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694 호주 시드니 경전철, ‘랜드윅-무어파크 구간’ 낮 시간 시험 운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693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정부 위기? ‘와가와가’ 보궐선거 ‘과반득표’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69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활기 찾는 봄 시즌, 낙찰 가격 다소 ‘꿈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91 호주 캔버라 의사당, 30주년 기념 ‘오픈 데이’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90 호주 적정 가격 주택-도시 미래 위해 서부 지역 개발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9 호주 ‘스크린’에 매달리는 청소년들, ‘신체활동’ 극히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8 호주 ‘시드니 보이스 하이’, 남녀공학 전환... 여학생 맞이할 준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7 호주 Emmys 2018... 올해 최고의 ‘미드’와 그 주인공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6 호주 8 surprising facts about how we spend our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5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계획 단계에서부터 문제점 제기됐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4 호주 괴롭히는 상사, 저주인형으로 보복해 정의 회복하는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3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2 호주 ‘학사’ 학위가 주는 임금 혜택, 갈수록 줄어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1 호주 모리슨 총리 리더십, 빌 쇼튼에 앞서지만 턴불보다는 약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680 호주 딸기 속 바늘 범죄 – 호주 전역 확산 우려 톱뉴스 18.09.22.
2679 호주 호주 8월 실업률 5.3%...안정세 유지 톱뉴스 18.09.22.
2678 호주 말콤 턴불 ‘뒤끝 작렬’…피터 더튼 끌어내리기 움직임 톱뉴스 18.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