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슬랜드 주에서 사실상 낙태가 허용되면서, 낙태를 여전히 ‘범죄’로 규정하고 있는 뉴사우스웨일즈 주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지난주 퀸슬랜드 주의회는 임신 22주 이하 산모의 낙태권을 인정하는 법안을 채택하며, 낙태 금지법을 사실상 폐지했다.

 이로써 낙태를 허용하고 있는 주는 퀸슬랜드 주를 포함 서부호주, 빅토리아주, 타스마니아주, ACT, 노던테러토리 등이며, 남부호주주의 경우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고 NSW 주만 낙태를 범죄로 명시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NSW 주 녹색당과 주내의 일부 여성 단체 행동가들은 " 낙태를 여전히 범죄로 규정하고 있는 관련법은 전근대적이다"면서 "NSW 주 의회도 퀸슬랜드 주의 사례를 본받아 즉각 관련법을 개정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낙태 반대주의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낙태 반대주의자들은 퀸슬랜드 주에서 낙태 허용법을 주도한 일부 의원들을 겨냥해 “낙선운동을 펼칠 것”이라며 반발하는 한편  ‘NSW주의 낙태 관련법 개정 결사 반대’ 캠페인을 추진할 기세다.

하지만 법조인들 다수는 NSW 주의 현행 낙태 관련법이 지나치게 낙후돼 있고 시대 착오적인 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NSW주 인권법센터의 아드리안 월터즈 대변인은 "현행법은 사실상 애매모호한 점이 많고 현실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면서 "관련법을 손질할 시점이다”고 지적했다.

NSW주 현행법은 낙태를 범죄로 규정하고 있지만  특정 상황에서의 예외를 인정하는 등 금지 범위가 애매모호다.

이런 점에서 전문가들은 낙태를 원하는 여성들에게 형사 처벌에 대한 두려움과 죄의식만 안겨주는 유명무실한 악법이라고 지적한다.

뿐만 아니라 녹색당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주내에서 낙태가 여전히 범죄행위로 규정돼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여성도 극소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NSW주의 법규 82조, 83조, 84조에 따르면 불법적으로 낙태할 경우 범죄로 인정될 수 있으며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즉, 의사가 판단해 임산부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이 위험하다는 진단이 내려질 경우에는 낙태시술이 가능하지만, 두루뭉술할지언정 법 조항에 ‘낙태는 범죄’로 명시돼 있는 것.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는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당장 가부를 판단할 사안은 아니며 공론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제안이 상정되면 의회 차원에서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NSW주정부는 “낙태는 범죄의 문제가 아니라 여성 의료의 문제”라는 시민단체들의 거센 요구에 부응해 주내의 낙태시술 의료 기관 인근에 ‘여성안전구역’을 설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구역 내에서 낯선 여성에 대한 말 붙이기, 촬영, 위협 행위 등이 금지돼 있다.

의학 연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 여성의 30%가 평생 인공유산을 겪게 되며 매년 약 8만명의 여성이 낙태 시술을 받고 있다.

 

 ©TOP Digital/19 October 2018

http://www.topdigital.com.au/node/6671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97 호주 모리슨 총리 리더십, 빌 쇼튼에 앞서지만 턴불보다는 약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6 호주 ‘학사’ 학위가 주는 임금 혜택, 갈수록 줄어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5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4 호주 괴롭히는 상사, 저주인형으로 보복해 정의 회복하는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3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계획 단계에서부터 문제점 제기됐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2 호주 8 surprising facts about how we spend our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1 호주 Emmys 2018... 올해 최고의 ‘미드’와 그 주인공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0 호주 ‘시드니 보이스 하이’, 남녀공학 전환... 여학생 맞이할 준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9 호주 ‘스크린’에 매달리는 청소년들, ‘신체활동’ 극히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8 호주 적정 가격 주택-도시 미래 위해 서부 지역 개발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7 호주 캔버라 의사당, 30주년 기념 ‘오픈 데이’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활기 찾는 봄 시즌, 낙찰 가격 다소 ‘꿈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5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정부 위기? ‘와가와가’ 보궐선거 ‘과반득표’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4 호주 시드니 경전철, ‘랜드윅-무어파크 구간’ 낮 시간 시험 운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3 호주 IPART, 카운슬 비용 인상... 에너지-건설비용 상승 이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2 호주 연령별 호주 여성들, ‘자기만의 시간’은 어느 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1 호주 뷰티산업 붐, 경제 불황도 빗겨가는 ‘외모 가꾸기’ 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0 호주 호주인들, 포키-경마 등으로 연간 240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79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2)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78 호주 주택 판매자들, 경매보다 중개업체 통한 매매 ‘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