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메인 1.jpg

봄이 절정을 이루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 시드니 곳곳은 짙은 보라색의 자카란다(Jacaranda) 꽃이 만개한다. 특히 시드니의 일부 지역은 일찍이 가로수로 조성된 자카란다 나무가 무성해 시드니사이더들의 사랑받는 산책 코스가 되고 있다.

 

라벤더 베이-키리빌리-왕립 식물원-글리브-울위치 등 보라색 꽃무더기 ‘장관’

 

호주의 봄은 라벤더(lavender) 빛깔로 무르익는다. 가로수 또는 정원수로 사랑 받는 자카란다(Jacarande)가 일제로 짙은 보락색의 꽃잎을 터뜨리는 것이다.

가장 화려한 봄꽃의 하나로 꼽히는 자카란다는 한국의 개나리처럼 잎이 나기 전 꽃잎을 먼저 틔우는 나무로, 대개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에 절정을 이룬다.

‘자카란다’라는 말은 ‘향기’를 뜻하는 남미 과라니(Guarani) 부족 언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산지는 남미이다. 오늘날 중미 지역은 물론 비슷한 위도 상의 호주,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폭넓게 자생하고 있는데, 나무는 수십 미터의 거목으로 자라 가로수나 정원수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자카란다 꽃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는 호주 각 대학의 학기말 시험이 시작되었음을 알려준다. 자카란다 꽃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 꽃이 만개하는 대학 학기말 시험 시즌, 자카란다의 보라색 꽃잎이 머리 위로 떨어지면 행운이 온다는 믿음도 있다.

 

매거진 메인 2.jpg

‘자카란다’라는 말은 ‘향기’를 뜻하는 남미 과라니(Guarani) 부족 언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산지는 남미이지만 오늘날 중미 지역은 물론 비슷한 위도 상의 호주,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폭넓게 자생한다.

 

올해 시드니의 봄은 지난 겨울까지의 긴 가뭄을 보상하듯 많은 비가 내린 것은 아니지만 5주 이상 하루 한두 차례 비를 뿌리는 날씨가 이어지고 기온 또한 크게 오르지 않아 자카란다 개화가 다소 늦어진 듯하다. 어찌 됐든 올해도 자카란다는 피어나고 봄이 무르익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자연의 순리이다. 시드니 지역, 자카란다가 특히 무성한 거리를 소개한다.

 

 

■ Lavender Bay, North Sydney

 

1 Lavender Bay.jpg

 

애초 영국에서 유배 온 죄수 조지 라벤더(George Lavender. 교도소에서 그는 헐크 또는 피닉스로 불렸다)의 이름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헐크 베이’(Hulk bay) 또는 피닉스 베이(Phoenix Bay)로 불렸던 곳이다. 하버브릿지(Harbour Bridge) 북쪽에 자리한 이곳은 ‘라벤더’라는 지명이 말해주듯 봄이 되면 짙은 라벤더 색깔의 꽃물결이 장관을 이룬다. 특히 시드니 하버가 한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위치에 자리해 시드니사이더들이 자카란다를 즐기는 대표적인 명소로 꼽힌다.

 

 

■ Macquarie Street, CBD

 

2 Macquarie Street.jpg

 

매콰리 스트리트는 시드니 도심 하이드 파크(Hyde Park) 동쪽 끝 지점에서 오페라하우스(Sydney Opera House)로 이어지는 거리로, 시드니 식물원(Sydney Royal Botanic Garden)과 맞닿은 부분에는 거대한 크기의 자카란다 나무가 이어져 있으며, 무성한 꽃을 피워 도시민들의 사랑을 받는다.

 

 

■ Hunters Hill, North Shore

 

3 Hunters Hill.jpg

 

시드니 노스쇼어(North Shore) 지역, 파라마타 강(Parramatta River)을 끼고 자리한 헌터스 힐 거리 또한 오래된 자카란다 나무가 무성하다. 헌터스 힐 클럽(Hunters Hill Club)에서 강 쪽으로 따라가면서 짙은 보라색의 자카란다를 즐길 수 있다.

 

 

■ Oxford Street, Paddington

 

4 Paddington.jpg

 

시드니 도심에서 자카란다를 즐길 수 있는 거리로 패딩턴(Paddington)을 빼놓을 수 없다. 옥스포드 스트리트(Oxford Street) 상에 자리한 멋진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바라보는 자카란다 풍경은 색다른 맛을 준다.

 

 

■ Woolwich, Lower North Shore

 

5 Woolwich.jpg

 

헌터스 힐이 있는 파라마타 강변의 반도 끝에 자리한 지역으로 헌터스 힐에서 자카란다 거리를 따라 강변까지 산책을 하며 멀리 보이는 시드니 하버 풍경을 즐길 수 있다.

 

 

■ Royal Botanic Gardens, CBD

 

6 Botanic Garden.jpg

 

시드니 왕립 식물원답게 거대한 자카란다 나무가 많으며 보라색 꽃이 무성한 시기에는 피크닉을 즐기는 인파도 늘어난다. 자카란다의 보라색 꽃은 보타닉 가든의 녹색 잔디와 시드니 하버의 짙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 Glebe, Inner West

 

7 Glebe.jpg

 

시드니 도심 인근의 고즈넉한 지역인 글리브의 오래된 거리에는 일찍이 가로수로 조성한 자카란다 나무가 무성하다. 매주 토요일, 글리브 마켓(Glebe market)이 열려 봄 시즌의 주말에는 한적한 글리브 거리가 방문객들로 북적인다.

 

 

■ Kirribilli, NORTH SHORE

 

8 Kirribilli.jpg

 

시드니 도심에서 북쪽으로, 하버브릿지 끝부분, 오른쪽 지점의 키리빌리는 NSW 식민정부 당시 일찌감치 개발된 가장 오래된 지역(suburb) 중 하나로, 노스쇼어(North Shore)의 인기 높은 주거타운이며, 특히 이 지역의 맥도걸 스트리트(McDougall Street)는 오래된 자카란다 나무 가지들이 뒤엉켜 짙은 보라색의 꽃 터널을 만든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매거진 메인 1.jpg (File Size:185.0KB/Download:40)
  2. 매거진 메인 2.jpg (File Size:71.8KB/Download:38)
  3. 1 Lavender Bay.jpg (File Size:116.3KB/Download:33)
  4. 2 Macquarie Street.jpg (File Size:105.0KB/Download:41)
  5. 3 Hunters Hill.jpg (File Size:84.4KB/Download:50)
  6. 4 Paddington.jpg (File Size:85.9KB/Download:39)
  7. 5 Woolwich.jpg (File Size:105.2KB/Download:35)
  8. 6 Botanic Garden.jpg (File Size:128.3KB/Download:38)
  9. 7 Glebe.jpg (File Size:76.2KB/Download:40)
  10. 8 Kirribilli.jpg (File Size:113.8KB/Download:4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97 호주 모리슨 총리 리더십, 빌 쇼튼에 앞서지만 턴불보다는 약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6 호주 ‘학사’ 학위가 주는 임금 혜택, 갈수록 줄어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5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4 호주 괴롭히는 상사, 저주인형으로 보복해 정의 회복하는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3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계획 단계에서부터 문제점 제기됐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2 호주 8 surprising facts about how we spend our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1 호주 Emmys 2018... 올해 최고의 ‘미드’와 그 주인공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90 호주 ‘시드니 보이스 하이’, 남녀공학 전환... 여학생 맞이할 준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9 호주 ‘스크린’에 매달리는 청소년들, ‘신체활동’ 극히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8 호주 적정 가격 주택-도시 미래 위해 서부 지역 개발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7 호주 캔버라 의사당, 30주년 기념 ‘오픈 데이’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활기 찾는 봄 시즌, 낙찰 가격 다소 ‘꿈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2585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정부 위기? ‘와가와가’ 보궐선거 ‘과반득표’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4 호주 시드니 경전철, ‘랜드윅-무어파크 구간’ 낮 시간 시험 운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3 호주 IPART, 카운슬 비용 인상... 에너지-건설비용 상승 이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2 호주 연령별 호주 여성들, ‘자기만의 시간’은 어느 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1 호주 뷰티산업 붐, 경제 불황도 빗겨가는 ‘외모 가꾸기’ 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80 호주 호주인들, 포키-경마 등으로 연간 240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79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2)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2578 호주 주택 판매자들, 경매보다 중개업체 통한 매매 ‘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