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인구 밀도 1포츠포인트-울루물루
일부 한인 밀집지역 인구 밀도 150% 상승

 

시드니의 대표적 한인밀집 동네인 스트라스필드, 라이드, 파라마타, 채스우드 등을 포함한 시드니  23개 지역의 인구밀도가 시드니 CBD 수준으로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텔레그라프 지 주말판의 특집 보도에 따르면 인구 밀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지역에는 위의 지역 외에 리드콤, 리버풀, 펜리스, 캔터배리, 오번, 록데일, 디와이, 콩코드 등이 포함됐다.

시드니 CBD의 인구밀도는 평방 킬로미터 당 7212명으로 파악됐다.

2005년부터 2017년 사이 시드니 광역권 전체의 인구밀도는 25% 증가했지만 일부 지역은 150% 가량까지 폭등했다.

같은 기간 시드니의 18개 동네가 시드니 CBD의 인구밀도를 넘어섰고, 23개 동네가 거의 CBD 수준에 육박하고 있는 상태인 것.

시드니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동네는 킹스크로스 일대를 포함하는 포츠포인트-울루물루 지역으로 평방 킬로미터 당 무려 16,230명으로 해당 부문에서 수위를 차지했다.

이어 본다이-노스 본다이 지역이 16,230명, 라켐바 8298명, 피터섐-스탠모어 7222명의 순으로 집계됐다 .

이어 CDB 인구 밀도의 턱밑까지 도달한 지역은 애쉬필드(7119명), 캠시(6883명), 덜위치 힐-루이섐(6619명), 허스트빌(7063명), 더블배이-벨르뷰 힐(5693명) 등이다.

하지만 인구 전문가들의 비상한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는 곳은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스트라스필드, 라이드, 파라마타, 채스우드, 리드콤, 콩코드 등 대부분 한인인구 밀집지역이다.

이처럼 인구밀도의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이들 동네들은 대부분 CBD에서 반경 15~20km에 인접해 있다.

한편 텔레그라프 지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은 혼잡함과 더불어 ⊳녹색 공간 부족난 ⊳대중 교통난 ⊳학교의 과밀학급 등의 문제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고충이 커지고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시개발 전문가들 다수는 “상황은 악화될 수 밖에 없다”면서 “이민을 통한 시드니 인구는 계속 증가추세이고 주택 수요를 맞추기 위한 고층 아파트 공급은 확대되고 있어 전통적 주택가의  특성은 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NSW 대학의 도시 및 인구문제 전문학자 빌 랜돌프 교수는 “개발붐을 통한 인구밀도 급증 현상을 겪은 지역의 특성은 돌이킬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시드니 CBD에 20층짜리 고층 건물이 들어서는 것은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리버풀 지역에 새로운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 지역 전체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그 지역의 모습은 영구히 달라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991년 이후 시드니에는 주거용 건축물이 총 62만8천채가 들어섰다.

이는 브리즈번 시 전체에 들어선 가구 수의 2/3를 넘는 물량이다. 

이같은 현실을 반영하듯 시드니 인구는 지난 2017년 6월을 기해 510만명을 돌파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년 동안 인구가 10만 명 이상 증가하는 기록을 남겼다.

이같은 시드니 인구 증가분의 70%가 이민자라는 점에서 연방정부와 NSW 주정부는 시드니의 이민자 감축 및 지방분산의 필요성을 적극 역설하고 있다.

특히 NSW주정부는 ▶과잉개발 ▶교통혼잡 ▶이민자 급증 이슈가 전체 주민들의 핵심 우려 사안으로 조사됐다는 점에 각별히 주목하고 있다.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는 “지난 2005년부터 2017년 사이에 평방 킬로미터 당 라이드 지역의 인구가 41% 증가했고, 2022년까지 시드니 북서부 지역에는 주거지가 총 9500여채 들어설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http://topdigital.com.au/node/6922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97 호주 턴불 총리 “더 많은 기술 이민자, 외곽지로 보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2796 호주 이민자 제한 정책에 배우자-가족초청 비자 승인 대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279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릭빌의 작은 주택, ‘부동산 시장 피크’ 재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4 호주 빅토리아 주 경제, NSW 주 앞질러... WA는 여전히 취약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3 호주 The world's 10 most dangerous countries for women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2 호주 NSW 주, 차량 소유자에 ‘CTP 그린슬립’ 비용 일부 환급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1 호주 전 세계 억만장자 중 ‘자산증가폭 최상위’에 호주 부자 2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0 호주 시드니 지역 학교들, ‘교실 수 부족’ 해결 지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9 호주 두 발로 즐기는 도시 여행, The world's 10 best city walks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8 호주 NSW 거주자 떠난 자리, 해외 이민자들이 채워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7 호주 “이민자 3만 명 줄이면 한 해 50억 달러 예산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6 호주 ‘7.28 연방 보궐선거’, 노동당의 ‘Super Saturday’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5 호주 2009년 이래 호주인들 임금, 거의 정체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4 호주 ‘마이 헬스 레코드’ 개인정보 유출 우려 증폭…정부, 보안 대폭 강화 톱뉴스 18.08.03.
2783 호주 “대기업 법인세 인하 접고 이민감축하라” 톱뉴스 18.08.03.
2782 호주 콜스 ‘일회용 비닐 쇼핑백' "이랬다 저랬다"...8월 29일부터 다시 중단 톱뉴스 18.08.03.
278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포츠포인트 1 침실 아파트, 예상 외 높은 가격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80 호주 기록으로 본 올해 호주 가뭄 정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79 호주 문자 메시지-음식물 섭취... 호주인의 가장 위험한 운전 습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78 호주 서서 일하는 업무용 데스크, 비용 측면의 가치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