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폰 사용 감시 1).jpg

과속이나 교통신호등 위반 차량을 적발하는 카메라처럼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운전자를 포착해내는 신기술의 감시 카메라가 내년 시드니의 주요 도로에서 시범 운용된다. 주 정부는 이 과정을 거쳐 이를 시드니 전역으로 확대하고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엄격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이다. 사진은 테스트 과정에서 감시 카메라가 포착한 운전자의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장면. 이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또한 제한 속도에서 20km 이상을 주행한 사실까지 잡아냈다.

 

내년 1월부터 M4 motorway-Anzac Parade에서 시범 운용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불법 행위에 대한 새로운 단속 기술이 내년부터 시범 운용된다. 현재 운전 중 휴대전화기 사용(통화, 문자 메시지 주고받기 등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433의 범칙금과 함께 4점의 벌점이 부과된다.

이처럼 과중한 범칙금에도 불구하고 운전 중 휴대전화기 사용 사례가 많고 또 이런 상황에서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줄어들지 않자 NSW 주 정부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 카메라 시스템을 활용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자를 적발해낸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기술의 감시 카메라는 내년 1월부터 서부 M4 및 도심 동부의 안작 퍼레이드(Anzac Parade)에서 적용된다.

NSW 주 도로교통부 멜린다 페이비(Melinda Pavey) 장관은 지난 일요일(16일) 이 같은 계획과 함께 단속을 강화할 것임을 밝혔다. 운전자의 휴대전화 사용을 잡아내는 새로운 기술은 ‘Acusensus’ 사가 개발한 것으로, 이 회사의 첨단 카메라는 지난 10월 주 도로교통부의 테스트 결과 운전 중 전화기를 사용하는 운전자 1만1천 명을 적발한 바 있다.

이 새로운 카메라에 적발된 운전자들은, 아직은 범칙금을 내지는 않는다. 도로교통부는 일정 기간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본격적인 단속을 통해 불법 행위 운전자를 적발, 범칙금과 함께 벌점을 부과할 예정이다.

페이비 장관은 “시범적 운영을 통해 이 감시 카메라 기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면 시드니 전 지역으로 확대할 것”임을 밝혔다.

장관은 이어 “NSW 거주자의 74%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을 감시하는 단속 카메라 운용을 지지했다”며 “이 신기술이 운전자들의 습관을 변화시키고 사고로 인해 누군가가 희생되는 일이 없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Acusensus’ 사의 알렉스 재닌크(Alex Jannink) 대표는 5년 전, 한 친구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던 운전자의 과실로 사망하자 카메라를 통해 이를 단속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Acusensus’의 시스템은 모든 기상조건에서도 작동되며 고화질 및 인공지능 카메라를 사용해 불법 행위의 운전자를 적발해낸다.

 

종합(폰 사용 감시 2).jpg

운전 중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조작하는 운전자. 주 정부가 이미 테스트한 신기술의 감시 카메라는 어떤 기상조건에서도 위반자를 생생하게 포착한다.

 

지난 10월, 도로교통부가 이 기술을 테스트하고자 설치, 운용해본 결과 이 카메라는 운전 도중 어이없는 행동을 하는 운전자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해냈다.

페이비 장관은 “시속 80km로 주행하면서 운전자가 두 손을 사용해 휴대전화기를 만지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며 “이는 다른 모든 운전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감시카메라 기술을 제공하는 ‘One Task’ 사의 조사에 따르면 자동차 운전자들이 고속으로 운전하면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비율은 5-7%에 달한다.

2017년까지 지난 5년 사이 NSW 주에서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다가 충돌사고가 발생한 사례는 184건에 달하며, 이 사고로 7명이 사망하고 105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폰 사용 감시 1).jpg (File Size:44.0KB/Download:14)
  2. 종합(폰 사용 감시 2).jpg (File Size:47.2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97 호주 턴불 총리 “더 많은 기술 이민자, 외곽지로 보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2796 호주 이민자 제한 정책에 배우자-가족초청 비자 승인 대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279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릭빌의 작은 주택, ‘부동산 시장 피크’ 재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4 호주 빅토리아 주 경제, NSW 주 앞질러... WA는 여전히 취약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3 호주 The world's 10 most dangerous countries for women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2 호주 NSW 주, 차량 소유자에 ‘CTP 그린슬립’ 비용 일부 환급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1 호주 전 세계 억만장자 중 ‘자산증가폭 최상위’에 호주 부자 2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90 호주 시드니 지역 학교들, ‘교실 수 부족’ 해결 지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9 호주 두 발로 즐기는 도시 여행, The world's 10 best city walks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8 호주 NSW 거주자 떠난 자리, 해외 이민자들이 채워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7 호주 “이민자 3만 명 줄이면 한 해 50억 달러 예산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6 호주 ‘7.28 연방 보궐선거’, 노동당의 ‘Super Saturday’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5 호주 2009년 이래 호주인들 임금, 거의 정체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2784 호주 ‘마이 헬스 레코드’ 개인정보 유출 우려 증폭…정부, 보안 대폭 강화 톱뉴스 18.08.03.
2783 호주 “대기업 법인세 인하 접고 이민감축하라” 톱뉴스 18.08.03.
2782 호주 콜스 ‘일회용 비닐 쇼핑백' "이랬다 저랬다"...8월 29일부터 다시 중단 톱뉴스 18.08.03.
278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포츠포인트 1 침실 아파트, 예상 외 높은 가격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80 호주 기록으로 본 올해 호주 가뭄 정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79 호주 문자 메시지-음식물 섭취... 호주인의 가장 위험한 운전 습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2778 호주 서서 일하는 업무용 데스크, 비용 측면의 가치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