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The Basement 1).jpg

지난 45년간 재즈 음악을 전문으로 해 오다 지난해 3월 31일, 마지막 공연으로 문을 닫았던 서큘라키(Circular Quay) 소재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자리에 다시 라이브 음악 무대가 만들어진다. 사진은 호주 출신의 3인조 록 밴드 ‘John Butler Trio’에서 보컬을 맡고 있는 존 버틀러의 ‘The Basement’ 공연 장면. 사진 / Facebook: The Basement

 

‘라이브 공연’ 호텔 운영자, “모든 뮤지션들에게 기회 주고 싶다” 취지

 

서큘라키(Circular Quay)에 자리한 ‘The Basement’는 지난 45년간 전 세계 유명 대중 가수, 밴드, 재즈 뮤지션들이 공연을 펼쳐온, 시드니에서 가장 오래된 라이브 음악 클럽이었다.

특히 지난 2014년 킹스크로스와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지역을 대상으로 유흥업소에 대한 영업시간 및 주류 제공 시간을 제한한 ‘Lockout Laws’ 적용 이래 시드니의 유명 클럽과 바(bar)들이 줄줄이 문을 닫은 가운데서도 이곳만은 시드니사이더들의 사랑을 받아 살아남았던(?) 곳 중 하나였다.

하지만 ‘베이스먼트’가 자리한 건물의 사무용 빌딩 개조 계획에 따라 이 업소는 지난해 3월31일을 마지막으로 문을 닫아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그리고 10개월이 지난 뒤, ‘베이스먼트’에 애정을 갖고 있던 사업가들이 이 라이브 클럽을 다시 살리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종합(The Basement 2).jpg

시드니 도심 인근 브로드웨이(Broadway)에 자리한 랜스다운 호텔(Lansdowne Hotel)과 패딩턴(Paddington)의 유니콘 호텔(Unicorn Hotel)을 공동 소유한 제이크 스미스(Jake Smyth. 왼쪽)-케니 그레이엄(Kenny Graham. 오른쪽). ‘베이스먼트’가 문을 닫은 것에 아쉬움을 가졌던 이들은 그 자리에 ‘Mary's Underground’를 열고 모든 장르의 음악을 수용하겠다는 계획이다.

 

금주 화요일(5일) ABC 방송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시드니 도심 인근 브로드웨이(Broadway)에 자리한 랜스다운 호텔(Lansdowne Hotel)과 패딩턴(Paddington)의 유니콘 호텔(Unicorn Hotel)을 공동 소유한 제이크 스미스(Jake Smyth)-케니 그레이엄(Kenny Graham)씨가 ‘베이스먼트’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날 ‘ABC 라디오 시드니’에서 “이곳에서 노래했던 이들이 다시 음악을 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싶다”고 말했다.

‘The Basement’가 있던 자리에 다시 문을 여는 라이브 클럽은, 다만 기존 상호를 버리고 ‘Mary's Underground’라는 이름을 붙일 예정이다. “시드니의 라이브 음악 무대가 죽지 않았음을 증명할 것”이라는 스미스-그레이엄씨는 “이곳의 크지 않은 공간은 다양한 분야의 뮤지션들이 대중음악을 탐구하고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던 곳이었으며, 이 점이 우리가 놓친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스미스씨는 브로드웨이에 있는 ‘랜스다운 호텔’의 라이브 무대에 서기 위해 찾아오는 음악가들의 열정에 놀랐다면서 “우리 지역사회의 뮤지션들을 육성하고 싶다”고 고 말했다.

 

종합(The Basement 3).jpg

지난해 3월31일(토), ‘The Basement’의 마지막 재즈 공연. 사진 / Instagram: @vincenthoooooo

 

종합(The Basement 4).jpg

영국 태생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로 지난 2016년 'Grammy Award' 신인상 및 'Best Rock Album' 상을 차지했던 제임스 베이(James Michael Bay)의 'The Basement' 공연. 사진 / Facebook: The Basement

 

그는 이어 “문을 닫은 ‘베이스먼트’ 자리에 라이브 클럽을 다시 개장하기로 한 뒤 이곳을 둘러보는 가운데 뭔가 모를 에너지를 느꼈다”며 “(Lockout Laws로 인해) 우울한 시드니의 야간 유흥산업에도 불구하고 이곳은 다시 번성할 것을 확신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라이브 음악을 즐기고자 랜스다운 호텔을 찾는 이들도 줄어들고 있다”면서 “더 많은 음악가들이 나올수록 라이브 무대도 더 많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스먼트는 애초 재즈를 전문으로 하는 라이브 클럽으로 시작했으며, 지난해 문을 닫을 때까지 재즈 공연이 주를 이루었다. 스미스씨는 “새로 문을 여는 ‘Mary's Underground’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두루 수용할 것”이라며 “국내외 모든 음악가들에게 기회를 제공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그레이엄씨는 기존 ‘베이스먼트’에 대해 “라이브 무대로써 좋은 전통을 이어왔지만 현재 시드니는 관객들의 기대에 부응할 만한 공연 무대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의견을 내비췄다. ‘베이스먼트’가 좋은 라이브 무대로 이어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주로 재즈에 편중되다 보니 다른 장르를 선호하는 이들의 만족도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스미스-그레이엄씨가 새롭게 시도하는 ‘Mary's Underground’는 오는 5월 문을 열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The Basement 1).jpg (File Size:59.6KB/Download:22)
  2. 종합(The Basement 2).jpg (File Size:43.6KB/Download:16)
  3. 종합(The Basement 3).jpg (File Size:63.6KB/Download:17)
  4. 종합(The Basement 4).jpg (File Size:40.1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7 호주 고령연금, 해외여행 시에도 받을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6 호주 100달러 위조지폐 기승... 의심 위조지폐 신고 및 배상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5 호주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바람직하다?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4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올해 공사 개시... 비행경로는 미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3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2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1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3개월 연속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30 호주 건설현장 사망원인 1위, ‘고공 작업장’ 안전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2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시드니 하버 전망 아파트, 높은 낙찰가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2428 호주 호주 청량음료업계, 설탕 함유량 20% 감량 계획 발표…의학계 반응은 ‘써늘’ 톱뉴스 18.07.01.
2427 호주 연방상원, 취약계층 이민자 시민권 신청비 할인 혜택 폐지조치 백지화 톱뉴스 18.07.01.
2426 호주 새 회계연도의 획기적 변화들 [7월 달라지는 제도] 톱뉴스 18.07.01.
2425 호주 지속적 이민자 유입 속, 호주를 떠나는 이들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24 호주 아침 피크 시간대, ‘교통체증’ 악화-향상된 시드니 도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23 호주 호주 유권자들 표심, 집권여당보다 ‘개인 집중’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22 호주 학자금 대출 상환 연소득 45,000달러 이상으로 하향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21 호주 NSW 주 정부, “예산은 풍족하나 관리는 부족”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20 호주 Pitched battles: ‘월드컵’ 축구 전쟁,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2)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9 호주 시드니 지역서 100달러 위조지폐 또 유통,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8 호주 전 세계 국가 평판도 조사... 호주, 6위로 두 단계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