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가격에 하락한 상황이지만 일부 지역 경매 매물에는 투자자와 첫 주택 구입자들이 몰리고 있다. 사진은 지난 주말(16일) 경매가 진행된 뉴트럴베이(Neutral Bay) 소재 아파트 내부.

 

일부 지역 매물, 높은 낙찰가 기록... 주택 시장에 투자자들 눈독 ‘여전’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가격에 하락한 상황이지만 일부 지역 경매 매물에는 투자자와 첫 주택 구입자들이 몰리고 있다. 지난 주말(16일) 뉴트럴베이(Neutral Bay)의 한 아파트는 보다 낮은 가격에 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입찰자들의 눈치 싸움이 두드러진 경매 현장 중 하나였다.

하이뷰 애비뉴(Highview Avenue) 상에 자리한 3개 침실 아파트는, 경매 시작을 선언했지만 입찰자들의 침묵이 10여분이나 지속됐다.

이날 경매를 맡은 앤드류 로빈슨(Andrew Robinson) 경매사는 에이전트 매튜 스미드(Matthew Smythe)와 함께 계속 입찰자들을 설득했다고 말했다.

그런 침묵이 이어진 끝에 13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4명의 입찰자가 1만 달러씩 가격을 제시하면서 불이 붙기 시작했다.

입찰자들의 제시 가격이 160만 달러 가까이 이르렀을 때, 시드니 현지 의뢰인을 내세운 한국 거주 투자자가 전화를 통해 경매를 포기했고, 곧이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투자자가 160만 달러를 제시, 낙찰자로 결정됐다.

레아(Rhea)라고만 밝힌 싱가포르 투자자의 딸은 “우리는 지난 2년간 적합한 투자용 주택을 찾고 있었다”면서 “그렇다고 진지하게 경매 현장을 둘러본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 주택을 일단 임대 시장에 내놓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4명의 입찰자 가운데 끝까지 경쟁을 펼친 한 명의 투자자도 제시 가격이 155만 달러에 이르자 더 이상의 입찰을 포기했다. 그는 “이 금액이라면 현실적으로 높은 가격이라고 판단했다”는 게 입찰 포기 이유였다.

이 아파트의 최종 낙찰 가격은 잠정 가격(152만5천 달러)에서 7만5천 달러 높아진 것으로, 가장 최근 거래된 기록은 지난 2012년이며 당시 매매가는 105만 달러였다.

매매를 진행한 ‘Belle Property Neutral Bay’의 매튜 스미드 에이전트는 “좋은 거래 결과”라고 말했다.

“현재의 주택 시장 분위기를 보여주는 경매 상황이었다”는 그는 “입찰을 시작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됐지만 이는 입찰자들이 공정한 가격을 치르고 싶어 하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입찰이 시작되면서 가격 경쟁이 펼쳐진 것은 현 주택 시장을 감안할 때 좋은 징조임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이 아파트는 이날 시드니 전역에서 진행된 421채의 매물 중 하나였다. 이날 저녁,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에 보고된 285채의 경매 낙찰률은 56.1%로 이전에 비해 한결 높게 집계됐다.

 

종합(경매 4).jpg

레인코브(Lane Cove)의 2개 침실 아파트. 잠정 가격(71만5천 달러)에서 4만2천 달러 높은 75만7천 달러에 낙찰됐다.

 

그런 한편 레인코브(Lane Cove) 소재 아파트 또한 잠정 가격을 넘긴 금액에 낙찰됐다.

투자자와 첫 예비 주택 구입자 등 7명이 입찰한 리틀 스트리트(Little Street) 상의 2개 침실 아파트는 55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된 후 5만 달러, 1만 달러씩 빠르게 가격이 올라 75만7천 달러에 거래가 마무리됐다. 이는 잠정 가격(71만5천 달러)에서 4만2천 달러 높은 금액이었다. 이 매물의 낙찰자 또한 투자용으로 구매한 것이었다.

매매를 맡은 ‘Belle Property Lane Cove’의 팀 홀게이트(Tim Holgate) 에이전트는 현 주택 시장에 투자자들이 여전히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것이 그리 놀랄 만한 일은 아니라는 반응이다. “좋은 조건을 갖춘 경매 매물 입찰에는 언제나 투자자가 있어 왔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앞으로 주말 경매 시장은 한층 더 가열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주말 경매가 시작되는 2월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이스터 시즌 이전까지 시드니 주택 시장은 늘 뜨거웠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57.8KB/Download:18)
  2. 종합(경매 4).jpg (File Size:86.8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17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캔버라-퍼스-브리즈번이 주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6 호주 NSW 정부의 프리스쿨 보조, 실질 수혜자는 17.5%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5 호주 지구촌 화제- World's Ugliest Dog contest 20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4 호주 시드니 신공항과 함께 펜리스 지역, 크게 변모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상태의 주택에 예비 구매자들 입찰 각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2412 호주 주택 태양열판 “더 이상 선택 아닌 필수” 톱뉴스 18.06.25.
2411 호주 “주택 임대료보다 비싼 호주의 전기세” 톱뉴스 18.06.25.
2410 호주 사커루즈도, 태극전사도 울린 ‘VAR’ 톱뉴스 18.06.25.
2409 호주 연방인권위원회, 직장 내 성희롱 실태조사 톱뉴스 18.06.25.
2408 호주 NSW 2018-19 예산 계획- Winners &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7 호주 NSW 2018-19 예산 계획- 교육 및 보건 분야에 우선 집중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6 호주 Pitched battles: ‘월드컵’ 축구 전쟁,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1)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5 호주 호주인들이 느끼는 생활비 압박감, 가장 심한 도시는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4 호주 시드니-멜번 지역별 임금성장 큰 차이, 소득격차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3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지연으로 주 정부, 소송 휘말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2 호주 부동산 인지세, NSW 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1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패키지, ‘myGov’에서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400 호주 길어진 수명, 질병도 늘어... 호주인 2명 중 1명 만성질환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39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키리빌리 1개 침실 아파트, 187만5천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398 호주 영주권 신청자 대상 영어시험 도입 움직임 거센 반발 촉발 톱뉴스 1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