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공약).jpg

근래 시드니의 최대 사회 문제로 부각된 주택 관련 정책 또한 이번 선거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가운데 자유-국민 연립과 노동당, 녹색당은 제각각의 주택, 임차인 보호 방안으로 승부를 던지고 있다.

 

첫 주택 구입자 지원-인지세 면제 혜택-공공주택 확대 등

임차인 보호 방안, 임대료 인상 제한... 야당, 홈리스 대책안도 제시

 

NSW 주는 호주 전역에서 가장 심각한 주택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NSW 주 유권자 3분의 1이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절반가량이 저소득 계층으로, 임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이런 점에서 각 정당의 주택 관련 정책은 이번 선거의 가장 큰 쟁점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약도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자유-국민 연립, 노동당, 녹색당이 내놓은 관련 정책을 소개한다.

 

■ 자유-국민 연립

▲ 주택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전 주 총리 사임 후 NSW 주 자유당 대표 자리에 오른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취임 인사에서 저렴한 주택 공급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현 주 정부는 저렴한 주택 공급을 통해 첫 주택 구입자들에게도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첫 주택 구입자에게 제공하는 보조금 확대

-인지세(stamp duty) 면제 대상 주택 가격을 $65만 달러로 높임

-최대 80만 달러 주택까지 인지세 경감

-75만 달러의 주택 건설업자 및 60만 달러의 새 주택 구입자에게 1만 달러 보조금 지원

-모기지 대출자에 대한 의무적 보험 폐지

 

▲ 주택 공급

-‘광역시드니 주택위원회’(Greater Housing Commission)에서 각 지방정부 지역의 주택건설 목표 제시

-주택건설 우선 구역을 파악하고 3만 채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 주도의 재건축 가속화

-빠른 개발신청 승인

-정부 토지개발 기구인 ‘Landcom’으로 하여금 저렴한 주택 공급 요구

(주 정부는 2018년 6월까지 연간 6만5천 채의 주택이 공급됐다고 주장한다).

 

▲ 임대

자유-국민 연립 정부는 집권 이후 임대법에서 가장 두드러진 임차인 보호 조항을 삽입했다.

-가정폭력 피해자가 임대차 계약을 파기한 경우 별도의 벌금을 부여하지 못함

-임대료 인상을 연 1회로 제한

-정해진 기간의 임대 계약 위반에 대한 수수료 고정

-임차인이 소소한 부분에서 주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

-전기 및 가스 설비 이용을 포함해 자연광, 환기를 포함한 임대주택의 최소 조건 제시

 

 

■ 노동당

NSW 노동당 마이클 데일리(Maley) 대표는 주택공급 확대 및 공평성을 강조했다.

 

▲ 주택 공급

-모든 주택개발부지 및 정부 부지의 신규 주택 개발시 전체 주택 중 저렴한 주택 25% 건축 의무화

-민간주택개발 부지의 신규 주택에 저렴한 주택 15% 의무화

-정부 부지개발기관인 ‘Landcom’의 업무 조정을 통해 통합형 저렴한 주택 공급

-민간주택 빠르게 추진

-‘광역시드니위원회’(Greater Sydney Commission)가 각 지역에 대한 주택건설 목표를 다시 입안하여 공정한 주택 확대를 보장하고 주택 공급에 맞추어 사회기반 시설이 이루어지도록 추진

-주택 개발자가 지역개발 계획을 비껴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역 재조정 금지

-시드니 서부와 남부 지역의 새 인프라 및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 우선 추진

 

▲ 임대

-(노동당 정부가 들어설 경우) 100일 이내 집주인이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근거 목록 명시(무과실 퇴거 방지)

-업계와의 협의를 통해 최대 5년간의 임대약관 도입

-임대조건 검토를 년 1회로 제한(임대료 인상을 년 1회로 한정)

-기본 12개월 임대 조건 도입

 

 

■ 녹색당

녹색당은 주택 임대를 메디케어와 같은 보편적 권리로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주택 공급

-자격을 갖춘 모든 이들의 신청을 허용할 수 있는 30만 채의 사회주택 건설

-민간 주택개발 부지에 저렴한 주택 건설을 전체 주택의 30%로 확대

-모든 신규 주택에 전력 요금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제로 탄소배출’(zero-emissions) 적용

 

▲ 홈리스 대책

-사회주택 이용자를 위해 사회주택 또는 공공 부지의 매각, 이들의 강제 이주 금지

-소득이 늘어나더라도 기존 사회주택 입주자들이 머물 수 있도록 소득 제한 철폐

-사회주택 유지-관리를 위해 3억 달러 확보

-영리 목적의 기업의 사회주택 공급 사업 진출 금지

 

▲ 임대

-임차인 강제 퇴거 금지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을 고려한 임대료 인상(현재는 임대료 인상 관련 규정이 없음)

-주택 임대에 대한 표준 확정

-애완동물 금지 규정 철폐

-합법적 집행 가능한 보호 및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임대주택 거주자 보호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공약).jpg (File Size:84.5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97 호주 외국인 부동산 투자 규제, “또 다른 문제 야기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2896 호주 턴불 총리 “배저리스 크릭 인근 신도시, 인천공항 신도시 성공사례 본받을 것” 톱뉴스 18.06.11.
2895 호주 ‘$15만 출연료 외도행각 인터뷰’ 조이스•캠피언, 턴불 맹비난…가족엔 사과 톱뉴스 18.06.11.
2894 호주 NSW주 “낙태 시술 의료기관 안전 출입 보호법” 채택 톱뉴스 18.06.11.
2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자선단체 기부 테라스 주택, 446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2 호주 지난 5년 사이, 인프라 개발 지역 주택 가격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1 호주 2026년 월드컵, 미국-캐나다-멕시코 공동개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0 호주 ‘Socceroos’의 러시아 월드컵 본선 경기 일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9 호주 ‘부부젤라’는 잊어라, 러시아는 ‘Spoons of Victory’...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8 호주 주택경기 둔화 속, ‘홈론’ 승인 비율 하락... 18개월 만에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7 호주 NSW 주, 시드니 외 지방 지역 ‘관광 활성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6 호주 온라인 시대, 네티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스워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5 호주 NSW 주 음주운전자 증가... 지방 지역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4 호주 오는 7월1일부터 고령 연금 수급 기준,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3 호주 디지털 기술, 학생들 수업에 유익? 아니면 유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2 호주 2018 FIFA 월드컵 개막…다음달 15일까지 러시아 11개 도시에서 톱뉴스 18.06.17.
2881 호주 호주정부, 북미정상회담에 “신중한 환영” 톱뉴스 18.06.17.
2880 호주 영주권 신청자 대상 영어시험 도입 움직임 거센 반발 촉발 톱뉴스 18.06.17.
287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키리빌리 1개 침실 아파트, 187만5천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878 호주 길어진 수명, 질병도 늘어... 호주인 2명 중 1명 만성질환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