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전철 1).jpg

시드니 경전철 프로젝트를 맡은 ‘Transport for NSW’가 첫 번째 구간인 서큘라키-랜드윅 사이의 공사 완료를 앞두고 있다며 올해 12월 개통을 예정하고 있지만 공사 각 구간 곳곳에 공사 시설물들이 여전히 방치되어 있어 이 기한이 지켜질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시범운행 중인 시드니 경전철. 사진 : aap

 

첫 구간(서쿨라키-랜드윅) 공사, 조만간 마무리... 12월 개통 논의 중

 

그동안 공사 기간 연장으로 비난을 받아왔던 시드니 경전철 일부 구간 공사가 완료돼 첫 번째 경전철 구간은 올해 12월 개통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주 금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서큘라키(Circular Quay)에서 동부 랜드윅(randwick) 및 킹스포드(Kingsfoed)를 잇는 12킬로미터 구간의 시드니 경전철 공사 중 첫 번째 구간인 서큘라키-랜드윅 구간의 공사가 조만간 완료 예정인 가운데, 주 정부 교통 기관인 ‘Transport for NSW’는 공사 컨소시엄과 함께 이 구간의 12월 개통을 목표로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개통 예정인 구간은 수십억 달러가 소요된 최첨단 트램 서비스이다. ‘Transport for NSW’는 몇 주에 걸친 테스트 기간 동안 무어파크(Moore Park)에서 출발해 하이 스트리트(High Street)까지의 구간을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서큘라키-랜드윅 구간이 정식 개통된 후 몇 달 뒤에는 킹스포드까지 운행되는 서비스도 시작될 전망이다

하지만 안작 퍼레이드(Anzac Parade)-킹스포드(Kingsford) 구간 공사에 문제가 발생,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아직까지 정확한 개통 날짜는 미지수이다. 다만 전체 공사는 내년 3월 경 마무리 될 것이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이번 경전철 운행은 프랑스 기반의 세계적인 공공 및 민간 교통 운영기업 ‘Transdev’가 맡는다. ‘Transdev’는 경전철 구간 공사 완공을 앞두고 첫 번째 채용을 통해 100명가량의 경전철 기관사를 고용했다. 이들은 올해 중반까지 67미터의 경전철 운행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된다. 해당 경전철은 120명이 앉을 수 있는 좌석과 330명이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있다.

정부와 건설 컨소시엄이 개통일을 발표했음에도 계약사들은 아직까지 12킬로미터 길이의 노선에 있는 대규모 공사 관련 시설물 제거 기일을 지키지 못해 여전히 비난을 사고 있다.

특히 서리힐(Surry Hills) 지역 데번셔 스트리트(Devonshire Street)에 설치된 공사 시설물들은 제거 마감일을 세 달이나 넘긴 상태다. 서리힐에 있는 유명 제과점 ‘Bourke Street Bakery’의 문 앞에는 1미터 거리에 세워진 임시 소음 방지 커튼은 이 업소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상황으로, 최근 손님이 급격히 줄어 영업부진을 호소하고 있다.

타운홀(Town Hall)과 차이나타운(Chinatown)에 이르는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의 남쪽 끝 부분을 따라 이어져 있는 시설물도 한 달이 넘도록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며, 킹스포드(Kingsford)에도 안작 퍼레이드(Anzac Parade) 일부 구간에는 이 시설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다.

시드니 경전철 공사는, 원래 계획대로라면 NSW 주 선거(3월23일) 전에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가 완공을 축하하며 테이프 커팅식을 치뤘어야 하지만, 지난 3년간 지속된 공사 기일 연장, 법정 싸움, 늘어난 공사비 문제를 드러내며 아직도 완공되지 못한 상태이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전철 1).jpg (File Size:100.9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97 호주 외국인 부동산 투자 규제, “또 다른 문제 야기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2896 호주 턴불 총리 “배저리스 크릭 인근 신도시, 인천공항 신도시 성공사례 본받을 것” 톱뉴스 18.06.11.
2895 호주 ‘$15만 출연료 외도행각 인터뷰’ 조이스•캠피언, 턴불 맹비난…가족엔 사과 톱뉴스 18.06.11.
2894 호주 NSW주 “낙태 시술 의료기관 안전 출입 보호법” 채택 톱뉴스 18.06.11.
28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자선단체 기부 테라스 주택, 446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2 호주 지난 5년 사이, 인프라 개발 지역 주택 가격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1 호주 2026년 월드컵, 미국-캐나다-멕시코 공동개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90 호주 ‘Socceroos’의 러시아 월드컵 본선 경기 일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9 호주 ‘부부젤라’는 잊어라, 러시아는 ‘Spoons of Victory’...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8 호주 주택경기 둔화 속, ‘홈론’ 승인 비율 하락... 18개월 만에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7 호주 NSW 주, 시드니 외 지방 지역 ‘관광 활성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6 호주 온라인 시대, 네티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스워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5 호주 NSW 주 음주운전자 증가... 지방 지역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4 호주 오는 7월1일부터 고령 연금 수급 기준,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3 호주 디지털 기술, 학생들 수업에 유익? 아니면 유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2882 호주 2018 FIFA 월드컵 개막…다음달 15일까지 러시아 11개 도시에서 톱뉴스 18.06.17.
2881 호주 호주정부, 북미정상회담에 “신중한 환영” 톱뉴스 18.06.17.
2880 호주 영주권 신청자 대상 영어시험 도입 움직임 거센 반발 촉발 톱뉴스 18.06.17.
287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키리빌리 1개 침실 아파트, 187만5천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2878 호주 길어진 수명, 질병도 늘어... 호주인 2명 중 1명 만성질환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