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Sydney Water).jpg

‘시드니 워터’(Sydney Water)가 시드니의 지속되는 가뭄의 심각성에 대해 알렸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시드니 주민 중 3분의 2가 현재 가뭄 상황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 제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은 시드니 워터가 관리하는 수자원 댐 중 하나.

 

‘Sydney Water’ 우려... “시드니 주민 3분의 2, 인식 못해”

 

올해 연방총선 선거 캠페인에서 수자원 관리 문제가 주요 안건 중 하나로 떠오른 가운데, 광역시드니 수도 담당국인 ‘시드니 워터’(Sydney Water)가 지속되는 가뭄의 심각성을 우려했다.

시드니 워터는 “최근 조사 결과 시드니 주민 중 3분의 2 가량이 현재의 가뭄 상황을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초목이 무성한 공원과 정원이 많아 주민들이 인지하지 어렵지만, 댐 수위가 지난 수십 년과 비교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등 광역시드니가 심각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했다.

시드니 워터가 조사기업인 ‘칸타 퍼블릭’(Kantar Public)에 의뢰해 진행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주민들이 가뭄이 심각하지 않다고 느끼는 원인은 지난 3월 내린 폭우로, 응답자의 19%가 가뭄이 지방이나 시골 지역의 문제로만 인식하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멜린다 페이비(Melinda Pavey) 수자원 장관은, “현재 시드니에는 기록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 3월 일부 지역에 충분한 비가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수자원 댐 수위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광역 시드니, 블루 마운틴, 일라와라(Illawarra) 지역 주민 모두 물 절약에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시드니 워터의 캐서린 포트(Catherine Port) 가뭄 부서 책임자는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놀라운 사실은 시드니 도심 인근 지역 주민들 중 4분의 1(26%) 이상이 (자신들은) '가뭄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라고 지적한 뒤, “지난 4월은 특히 건조했으며, 기상청에 따르면 이 같은 건조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포트씨에 따르면, 지난 18개월 동안 집수지역 댐으로 흘러 들어간 물의 양은 1940년 이래 거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드니 지역의 전체 댐 저수율은 현재 54%에 그치며, 매주 평균 0.4%씩 낮아지고 있다.

호주 수자원서비스(Water Services Australia)의 애덤 러블(Adam Lovell) 최고 책임자는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해 주민들이 물 절약을 실천해 주기를 바란다”고 권고했다. 그는 “절수 샤워헤드, 최신 절수형 관개 설비,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에 물 사용량 표시 등 시드니 워터 웹사이트에 다양한 절수 방법들이 소개돼 있다”고 설명하면서 “밀레니엄 가뭄(2001-2009) 사태 이래 많은 지역 주민들이 집 안팎에서 물을 아껴 쓰고 있지만, 현재 호주 대다수 지역의 가뭄은 밀레니엄 가뭄 당시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시드니의 댐 수위, 현재 가뭄 상태, 가정에서 절수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LoveWater.Sydney를 방문하면 된다.

 

▲ ‘시드니 워터’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사실

-가뭄에 대한 불확신 : 시드니의 기록적인 건조 날씨에도 불구하고 시드니 주민의 절반가량(47%)이 ‘가뭄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며, 15%는 ‘불확실하다’고 느낌.

-가뭄에 대한 인식 : 댐 유역의 강수량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상황(49%)보다 비가 오랫동안 거의 또는 전혀 오지 않았을 때(72%) 가뭄을 겪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더 큼. 즉 가뭄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개별적으로 자신이 사는 지역의 강수량임.

-걱정 없는 도시 주민들 : 푸른 공원과 정원에 둘러싸인 도시 인근 주민들 중 4분의 1 이상(26%)이 (자신들은) 가뭄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5분의 1(19%)은 가뭄의 영향을 받는 곳은 오직 지방이나 시골이라고 믿고 있음.

-과소평가되는 물 절약 실천 : 가뭄은 NSW 주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사이지만 주민들 중 약 3분의 2(60%)는 자신들이 물을 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 5명당 1명(18%)은 이 같은 물 절약 실천이 상황을 크게 변화시키지 못한다고 생각함.

-물은 금전적 가치가 없다 : 생존을 위해 음식만큼이나 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지만, 주민들 중 10분의 1 이상(12%)은 수도요금을 주요 가계지출이라고 보지 않기에 물을 절약하지 않음.

*광역 시드니 18세 이상 거주민 1천명 대상.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Sydney Water).jpg (File Size:80.4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17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필립 스트리트를 ‘Smart Street’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2316 호주 올해 ‘캠시음식축제’에 ‘The Voice’ 출신 스타들 출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2315 호주 NSW 주 정부의 ‘액티브 키즈’ 계획, ‘성공적’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2314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발메인 해안가 주택, 잠정가서 50만 ↑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2313 호주 시드니 인구 증가 연 10만 명 돌파 톱뉴스 18.05.04.
2312 호주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법안 온라인 설문조사” 논란 속 종료 톱뉴스 18.05.04.
2311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광역시드니 상위 소득 10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10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호주의 고소득 상위 10개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9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남성 비해 여성 수입 높은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8 호주 곤스키 보고서, 학년별 아닌 ‘개인 맞춤형 교육’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7 호주 시드니 저소득층 대상 ‘적정 임대료’ 주택, 턱없이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6 호주 ‘파워하우스 뮤지엄’, 2023년 파라마타로 이전 개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5 호주 “트리-멘더스”... 시드니에 나무 500만 그루 심기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4 호주 NSW 주, 다문화 커뮤니티 독감 예방 프로그램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3 호주 크라운그룹, 시드니 도심 프로젝트 ‘Eastlakes Live’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라이드 주택, 60년 전 675파운드→124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30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간판 및 차림표에 영어 문구 삽입 ‘의무화’ 톱뉴스 18.05.03.
2300 호주 2018-19 예산안 ‘준 적극재정안…?’…법인세수 급증에 정부 ‘안도’ 톱뉴스 18.05.03.
2299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의 승리” 톱뉴스 18.05.03.
2298 호주 [정상회담 D-0]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의 ‘이정표 설정’ 톱뉴스 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