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백신 1).jpg

올해 1월부터 NSW 주에서 독감 바이러스 관련 사망자가 37명에 이르고 또 겨울 시즌이 되면서 호주 전역에 독감이 빠르게 확산되자 NSW 주 보건 당국이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올 들어 독감 관련 사망 37명 발생... 아동들에게 치명적

 

NSW 주에서 독감으로 인한 37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보건 당국이 특히 어린 자녀에게 치명적 인플루엔자에 대한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을 촉구했다.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는 3명의 어린이가 독감으로 사망했으며 호주 전역의 독감 관련 사망자 가운데는 5세 미만의 어린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NSW 주 당국은 치명적 독감 바이러스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어린 자녀들에게 예방 접종을 할 것을 부모들에게 당부했다.

NSW 주 보건 당국이 출생-사망-결혼신고 등록소인 ‘NSW Registry of Births Deaths & Marriages)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NSW 주에서 독감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현재까지 총 37명에 이른다. 이들 중 65세 이상은 30명, 20세에서 64세 사이 사망자는 7명으로 모두 성인들이었지만 보건 당국은 이번 겨울 시즌, 호주 전역으로 독감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NSW 주에서도 독감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5월19일까지의 이달 셋째 주에는 1,320건의 새로운 사례가 확인됐다. 이는 둘째 주 확인된 979건보다 늘어난 것이다.

5월 3주까지, 올해 독감으로 확정된 환자는 1만3,888명에 달하며, 실제 유병율은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특히 날씨가 더운 시즌에 독감 환자가 다수 발생했고, 이어 이번 겨울을 앞둔 가운데 독감 환자가 다수 발생한 것은 지난 20년 만에 처음이다. 현재 호주에서 유행하는 대부분의 독감은 ‘A형 인플루엔자’이다.

NSW 보건부의 전염병 담당국장인 비키 쉐피어드(Vicky Sheppeard) 박사는 “어린이들은 특히 독감에 취약하다”면서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 아동의 경우 꼭 독감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부모들에게 촉구했다.

지난 2017년에는 NSW 주에서 5세 미만 어린이 2명, 5세에서 19세 사이의 어린이-청소년 4명이 독감으로 사망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5세 이하 어린이 2명이 독감으로 사망했다.

쉐피어드 박사는 “독감에 대한 최고의 무기는 예방 접종”이라며 “이미 독감 시즌이 시작된 지금이 예방 접종의 적기”라고 강조했다.

박사의 조언에 따르면 백신 접종이 독감을 막기까지는 약 2주가 소요된다. 따라서 처음 예방접종을 받은 9세 미만 어린이는 한 달 간격으로 두 차례 받아야 한다.

NSW 주 정부가 6개월에서 5세 사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시작한 지난해에는 같은 연령대의 어린이 4명 중 1명이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임신 여성, 65세 이상 고령자, 원주민, 천식-당뇨-심장병 등 질환자에게도 ‘National Immunisation Program’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이달 3주 현재 NSW 주에는 196만 개의 독감 백신이 배부된 상태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백신 1).jpg (File Size:54.8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77 호주 광역시드니, 최고 ‘Workholic’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6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5 호주 자유당 알렉산더 의원, “주택가격 안정화 전쟁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4 호주 멜번, ‘라이브 음악’ 메카로... 공연장 수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3 호주 사립학교 한 해 수입, 공립학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2 호주 전 세계 1% 상위 부자들의 자산 증가 가속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1 호주 ‘인터랙티브 맵’으로 시드니 전역의 ‘불안전’ 구역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70 호주 NSW 주, ‘바위낚시 구명조끼’ 자발적 참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6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예비 구매자 선호지역 주택 수요,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268 호주 청소 세제 주1회 이상 노출, 여성 폐 기능 저하 가속화 톱뉴스 18.04.12.
2267 호주 대다수 국민이 모르는 ‘배당세액공제’…정치권은 시끌벅적 톱뉴스 18.04.12.
2266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2265 호주 울워스, 6월 20일부터 일회용 비닐봉지 제공 중단 톱뉴스 18.04.12.
2264 호주 소규모 사업체에 타격 가할 수 있는 ATO의 막강 권력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63 호주 대학 학위 취득 위한 높은 비용, 그 가치 정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62 호주 자유-국민 연립 지지도, 30개월 연속 노동당에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61 호주 “NAPLAN 작문 시험은 ‘기계적 글쓰기’, 수준 낮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60 호주 9 Popular Australian camping and bushwalking spots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59 호주 NSW 주 정부, 중간 정도의 인구밀도 주택 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2258 호주 싱가포르 항공, ‘트립어드바이저’ 선정 ‘최고 항공사’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