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_2.jpg

호주 럭비 왕중왕전으로 불리는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의 2019 시즌 개막식에서 일부 선수들이 호주국가(Advance Australia Fair) 제창을 거부하면서 사회 일각에서 호주 국가 가사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파문은 2019 스테이트 오리진 개막전 식전 행사에서 NSW 대표 ‘블루즈’ 소속의 원주민 계 선수인 코디 워커와 동료 원주민 선수 조쉬 아도-카 및 윌 챔버스가 국가 제창을 거부하면서 촉발됐다.

이들 세 원주민 선수의 호주국가 거부 움직임에는 이번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 개막전에 출전한 양측의 선수 34명 가운데 11명의 선수가 동참했다.

 

NSW 선발 팀 ‘블루즈’에서는 패인 하스, 라트렐 미첼 등이 그리고 QLD 선발팀 ‘머룬즈’에서는 조쉬 파팔리, 데인 가게이, 딜런 나파, 캘린 퐁아 등이 국가 제창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선수 대부분은 호주 출생이 아닌 뉴질랜드와 남태평양 도서국가 출신들이다.

호주국가 제창 거부를 선도한 원주민 선수들은 “호주국가 ‘Advance Australia Fair’가 우리 원주민들을 대표하지 않는다.  바꿔야 한다”면서 이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이들은 “우리는 분명 모두 호주인이다.  하지만 이 땅의 첫 주민들은 원주민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들 원주민 선수들의 호주국가 제창 거부 움직임에 원주민 럭비 선수 출신의 복서 앤소니 먼딘과 미국의 흑인운동가 스파이크 리 감독도 공개적으로 지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호주 국가 가사 내용 중 “…For we are young and free…” 소절은 ‘고쳐야 한다’는 여론이 일각에서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즉, 호주 땅에서 이미 6만여 년에 걸쳐 원주민들이 거주해왔던 만큼 이 소절은 원주민에 대해 지나치게 무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지적인 것.

자유당 소속의 크레이그 켈리 의원(휴스, 시드니 남부지역)도 “국가 가사는 암석에 새긴 것은 아니다.  반감이 높은 ‘we are young and free…’ 소절을 바꿔야 한다는 일부의 주장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노동당 중진 타나 플리버세크 의원도 “문제의 소절을 고쳐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원주민 출신의 래퍼로 당일 경기 개막 공연을 펼친 브릭스(Briggs)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노던 테러토리 교도소 내의 소년범 전원이 원주민 어린이다. 우리 원주민의 수감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다. 어떻게 호주 국가를 통해 우리를 자유롭다(free)고 명시할 수 있느냐”고 반분했다.   

한편 이날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1차전 경기에서 퀸슬랜드 선발 ‘머룬즈’는 NSW주 선발 ‘블루즈’를 18-14로 누르고 서전을 장식했다.

 

2차전은 오는 23일 서부호주 퍼스 옵투스 스타디움에서, 그리고 최종 3차전은 오는 7월 10일 시드니 ANZ 스타디움에서 거행된다.

지난해 NSW주 선발 ‘블루즈’는 2승1패로 우승한 바 있다.

 

사진(AAP Image/Glenn Hunt)= 2019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 개막전 사전 행사에서 호주국가를 부르고 있는 선수들과 입을 다물고 있는 선수들.

개막전에 앞서 국가 제창 거부를 ‘선언’한 NSW 대표 ‘블루즈’ 소속의 원주민 계 선수인 코디 워커와 동료 원주민 선수 조쉬 아도-카와 더불어 국가 제창 거부에 합류한 패인 하스, 라트렐 미첼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TOP Digital

  •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37 호주 금융 및 IT 부문 노동자 행복감, NSW 주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036 호주 시드니 ‘셀렉티브 스쿨’ 학생, 등교 거리 최대 100km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035 호주 호주인들, “83만 달러 있어야 재정적 자유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034 호주 옴부즈만, “실질적인 국외추방 사면권 제공 권한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033 호주 호주, 캐나다 보훈부사이트 한국역사 왜곡 file 뉴스로_USA 18.04.05.
3032 호주 폐쇄 앞둔 리들 화력발전소 대체 방안 ‘설왕설래’...업계 ‘전력대란’ 경고 톱뉴스 18.04.05.
3031 호주 장애복지수당 수급자 1명 포박에 경찰 6명 "무차별 물리력" 톱뉴스 18.04.05.
3030 호주 대표적 석탄 수출국 호주, 석탄 화력 발전 문제로 골머리 톱뉴스 18.04.05.
3029 호주 전 경제학과 부교수, 저임금 지급 혐의로 법정 서게 돼 톱뉴스 18.04.05.
3028 호주 500만 시드니를 마비시킨 정신병력의 남성 1명 톱뉴스 18.04.05.
3027 호주 “입주 가정부에게 특별 비자를 발급하라” 톱뉴스 18.04.05.
3026 호주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법안을 지지하십니까?” 톱뉴스 18.04.05.
3025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윤택한 삶을 누리는 지역 순위 공개 톱뉴스 18.04.05.
3024 호주 중국의 국가대표 술 ‘마오타이’ 황제의 술일까, 민중의 술일까? 톱뉴스 18.04.05.
3023 호주 마음을 선물하세요, 아이케이크 박지영 톱뉴스 18.04.05.
302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둔화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3021 호주 올해 ‘캠시음식축제’에 ‘스타 셰프’ 미구엘 마에스트레 출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3020 호주 싱가포르 항공, ‘트립어드바이저’ 선정 ‘최고 항공사’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3019 호주 NSW 주 정부, 중간 정도의 인구밀도 주택 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
3018 호주 9 Popular Australian camping and bushwalking spots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2.